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책을 펴내며
해제-유배지에서 역사를 노래하다,낙하생 이학규의 영남악부
일러두기

영남악부

영남악부서
금합을 열어보다
기출변
진풍탑
회소가
시림계
경성내
치흔왕
영오랑
물계자
초선대
장부인
박제상
묵호자
용저악
달도가
풍월주
구형왕
팔관회
가야금
비형랑
성제대
왕이여,가지 마소서
김화랑
천관녀
송화방
원효대사
김원술
만파식적
장미 여인
옥보고
죽죽사
용치탕
처용무
포석정
동경구
황창랑
효불효
유두연
시를 새긴 돌
상서장
절영마
구인랑
삼분수
능화봉
정과정
두 가마솥 안의 시신
대혼자
금시랑
안회헌
황마포
이문학
이익재
무신탑
참된 정언
문공의 목면
소주도
철문어
까치 쫓는 명령
무고악
옥섬섬
정당매
정시중
김농암
길재야
산유화
영동신
월명총
만어석

부록

영남악부 원문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유배지에서 역사를 노래하다, 영남악부(嶺南樂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644748 811.91 -11-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644749 811.91 -11-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궁벽한 유배지에서 부른 ‘역사의 노래’

이 책은 순조 연간을 대표하는 시인인 낙하생洛下生 이학규李學逵(1770-1835)가 신유박해를 당해 경상도 김해 지방에서 24년 간 유배자의 몸으로 적거謫居하면서, 그 지역의 역사적 인물과 유적들을 ‘악부樂府’ 체의 시로써 표현한 시문집 《영남악부嶺南樂府》를 오늘날의 언어로 옮긴 것이다. 이 시집에는 주로 신라와 고려 때의 인물과 사적에 관한 이야기들이 시와 함께 수록되어 있으며, 그 수효는 신라 유리왕 때의 <계금합啓金盒(금합을 열어보다)>으로부터 고려말·조선초의 <만어석萬魚石>에 이르기까지 모두 68수에 이른다. 요컨대 궁벽한 유배지에서 ‘유가적 비판의식’을 지닌 시인이 국토의 옛 역사와 인물들을 자신의 언어로 새롭게 해석한 작품들이다.


조선조 비판적 지식인의 현실 체감과
적극적인 문학 의식의 한 표명


이학규는 성호학파星湖學派의 일원으로 일찍이 역사에 관심이 많은데다, 특히 “역사는 독서하는 선비가 몰라서는 안 된다.”고 말하며, 역사를 독서하는 선비의 필수지학必須之學으로 인식한 이다. 그가 궁벽한 적거지에서 역사적 인물과 사건, 그리고 민간의 풍속과 전설 이야기 등을 자신의 문집 속에 녹여 담아낼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역사적 자각에 힘입은 바 크다.
특히 이학규가 유배생활을 하던 19세기 초는 조선왕조의 붕괴를 재촉하는 말기적 현상들이 도처에서 포착되고 있었다. 또한 세도정치로 국정은 극히 어지러웠고, 지방에서는 수령과 아전, 토호들의 착취가 날로 심해져 삼정三政이 문란하였으며, 그에 따라 민民의 생활도 도탄에 빠졌다.
이학규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 아래서 24년 동안 유배 생활을 겪는다. 물론 그 역시 같은 배경 하에서 비참한 양반의 처지로 전락하였으며, 그의 집안 또한 정치적·경제적 고통을 겪게 된다. 이는 봉건 지배계급 내부의 심각한 모순과 갈등이 고질화함에 따라 소수의 문벌 귀족이 정치권력을 독점하면서 필연적으로 나타나게 된 현상이었다. 이 와중에 억울하게 유배 생활을 했던 이학규는 유배지에서의 체험에 기초하여 당대 사회 현실의 구조적 병폐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가짐으로써 부패한 관리들의 실정을 낱낱이 포착하고 기록해 나간다.

또한 그가 《영남악부》를 짓게 된 데는 절친했던 선배인 다산 정약용이 유배지 강진에서 쓴 《탐진악부耽津樂府》의 영향도 적지 않았다. 1801년 신유사옥이 일어나자 정약용은 경상도 장기로, 이학규는 전라도 능주로 유배되었다가, 그해 겨울에 정약용은 전라도 강진으로 이학규는 경상도 김해로 이배되는데, 이러한 유배의 와중에서도 둘은 서로가 서로의 시에 화답하며, 자신의 글과 생각을 주고받는다. 일례로 <강창농가江滄農歌>는 다산의 <탐진농가耽津農家>에 화답하여 쓴 작품이며, 이 《영남악부》도 다산의《탐진악부》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후에도 다산의 <전간기사田間紀事>에 화답하여 <기경기사己庚紀事>를 짓기도 한다. 두 사람의 긴밀한 관계는 해배 후에도 지속되어, 이학규는 충주로 이주한 뒤에도 남한강의 뱃길을 이용하여 정약용을 자주 방문하였다.
정약용과의 이러한 교유交遊를 통해 이학규는 실학파의 ‘현실주의적 문학의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그 결과 그의 작품 속에서 김해 지역의 민간 풍속과 농촌 주민들의 생활상이 ‘가감 없이’ 형상화되고, 나아가 유배지에서 체험한 관리들의 부정부패와 그로 인해 고통 받는 민民의 현실이 적실하게 묘파되기도 하였다.

‘사실’을 보는 눈, 객관적이며 적극적인 취재

이학규는《영남악부》를 지을 때, 자잘한 이야기들을 찾아 풀고 주위에서 본 바에 증험하되, 고증을 통한 사실적 기록이 아니면 취재하지 않았음을 분명히 하였다. 때문에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하더라도 연대가 틀리거나 사실과 어긋나는 것들은 취재의 대상에서 배제한 반면,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라도 부정부패한 세상을 비판하고 도를 담론하는 것이라면 기꺼이 기록하였음을 아울러 밝혔다. 이를 통해 유배지라는 제한된 공간과 부족한 서적이나마, 그 속에서 고증을 통해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기록을 지향하였다.
그는 실제로《삼국사기三國史記》《삼국유사三國遺事》《고려사高麗史》《금관군지金官郡志》《문경현지聞慶縣志》《개령현지開寧縣志》《경주부지慶州府志》《보한집補閑集》《동국사략東國史略》《탁영집濯纓集》등의 문헌을 두루 참고하였으며, 인용된 문헌은 역사서와 영남지방의 읍지가 대부분이다. 그는 또한 《삼국사기》《삼국유사》《동국여지승람》등을 참고하여 고증함으로써 《영남악부》가 황탄荒誕한 이야기가 아님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이학규의 악부 창작 태도를 다시금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또한 이 책에는 영남 지역의 민풍과 토속 및 전설과 민담·고사 등을 예시하는 흥미로운 시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그는 이를 적극 취재하여 기록함으로써, 생동하는 기층 민民의 생활상을 탁월하게 보여준다. 특히 그 저변에는 민民을 향한 애상哀傷의 정조가 담겨 있어, 그의 문학적 자세와 역량을 가늠해볼 수 있게 한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30] 내가 이것을 지음은 대개 바른 체재體裁와 엄격한 성률聲律을 택한 것이 아니다. 다만 본래 사적을 서술하고 참된 마음을 전달하여 향산香山 백거이白居易와 석호石湖 범성대范成大가 했던 바와 비슷하게 되면 되는 것이다. 또다시 생황과 종소리의 절주에 어울리고 고운 베와 수놓은 비단의 문채와 나란히 하여 높은 벼슬의 여러 군자들의 반열에 아첨하기를 바랄 일이 있겠는가?
|본문 30쪽, ‘영남악부서嶺南樂府序’ 중에서
[P. 61] 백결선생百結先生은 그 이름을 잃었다. 신라 자비왕慈悲王 때 사람으로, 집이 매우 가난하여 백여 곳 기운 옷을 입었으므로 그렇게 불렀다. 금琴을 잘 다루었는데 무릇 희로애락의 일에 있어 반드시 금琴으로 마음을 풀어내었다. 한 해가 저물려 할 때 이웃 마을에서 곡식을 찧었는데 그 처가 절구 소리를 듣고 “남들은 모두 곡식을 찧는데 우리집만 홀로 그러질 못하니 어떻게 한 해를 넘기리요?”라고 하였다. 선생은 탄식하며 “죽고 사는 데에는 천명이 있고, 부귀는 하늘에 달린 것인데 당신은 어찌 걱정을 하는지요?”라고 하였다. 이어 금을 튕겨 방아 찧는 소리를 내어 그를 위로하였다. 그뒤 세상에 전해져 대악?樂이라 하였다.
|본문 61쪽, ‘용저악?杵樂’ 중에서
[P. 81] 김후직金后稷은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 사람이다. 왕이 사냥을 좋아하여 후직이 간절히 간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그가 죽을 때에 아들에게 이르기를 “내가 신하가 되어 군주의 잘못을 바로잡지 못하였구나. 내가 죽거든 왕이 사냥 다니는 길가에 묻어라.”하였다. 그의 아들이 그대로 따랐다. 훗날 왕이 사냥을 나가는데, 도중에 “왕이여, 가지 마소서.”라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였다. 왕이 이것을 듣고서 물으니, 시종侍從이 “김후직의 무덤입니다.”하고, 드디어 임종 때의 말로써 간하였다. 왕이 눈물을 글썽이고 종신토록 다시는 사냥을 다니지 않았다. 사람들이 이것을 ‘묘간墓諫’이라 하였다.
|본문 81쪽, ‘왕이여, 가지 마소서王毋去’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