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총서 = Academic library of NRF. 학술명저번역 서양편 ; 505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7332177 ISBN: 9788957332146(세트)
제어번호
MONO1201138328
주기사항
원표제: (Die)Religion innerhalb der Grenzen der bloßen Vernunft 찾아보기: p. 469-522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책을 펴내면서
제 1부 『순전한 이성의 한계들 안에서의 종교』해제
해제 Ⅰ. 책 출간의 우여곡절 Ⅱ. 책 제목의 함축 Ⅲ. 책의 구성 Ⅳ. 칸트의 철학적 종교론 0. 서론 1. 인간 자연본성에서의 근본악 2. 인간에 대한 지배를 둘러싼 선한 원리와 악한 원리의 투쟁 3. 선한 원리의 승리 그리고 지상에 신의 나라 건설 4. 종교와 승직제도 00. 결여 ※ 해제와 주해에서 우리말 제목을 사용한 칸트 원논저 제목[약호], 이를 수록한 베를린 학술원판 전집[AA]권수(와 인용 역본)
관련 주요 문헌 Ⅰ. 원전의 주요 판본 Ⅱ. 사전류 Ⅲ. 학술지 Ⅳ. 서지 Ⅴ. 집류 및 대회보 Ⅵ. 칸트 종교철학 형성과 관련 깊은 저술들 Ⅶ. 연구논저 1.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중심 연구논저 2. 종교철학 일반 연구논저 3. 종교철학 관련 주제별 연구논저 4. 종합연구서 5. 발간경위 및 영향사 연구논저 6. 한국어 연구논저
제 2부 『순전한 이성의 한계들 안에서의 종교』역주
※ 역주의 원칙 ※ 유사어 및 상관어 대응 번역어 표 『순전한 이성의 한계들 안에서의 종교』번역 및 주석
찾아보기 일러두기 인물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670648
193 -11-3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670649
193 -11-3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673956
193 -11-34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0001673957
193 -11-34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칸트의 ‘철학적 종교론’이자 제4비판서 -사변이성과 실천이성, 반성적 판단력에 대한 총괄적 비판 작업의 귀착점
1. 칸트는 이 책(줄여서 『이성의 한계』)에서 도덕과 종교, 철학과 (성서)신학의 관계를 밝히고 각 영역의 의의를 훼손하지 않고 화해하는 길을 제시하면서 현실 기독교의 ‘참종교’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이 책에 실린 네 편의 논고는 칸트가 이미 오랫동안 그의 도덕철학과 역사철학 저술을 통해 부분적으로 피력한 ‘철학적 종교론’의 중추를 보여준다. 특히 이 책은『판단력 비판』의 후반부에서 이미 시도된 종교적 물음(“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에 대한 답변을 완수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는 저작으로 평가된다.
2. 옮긴이 백종현 교수에 따르면 『이성의 한계』는 ‘제4비판서’의 성격을 지닌다. 즉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 진(眞,) 선(善,) 미(美)의 의미를 각각 밝힌 제1비판서(『순수이성비판』), 제2비판서(『실천이성비판』), 제3비판서(『판단력비판』)의 연장선에서 사변이성과 실천이성, 반성적 판단력 일반에 대한 총괄적 비판 작업을 통해 ‘성(聖)’의 가치를 다룸으로써 인간이 의식하는 궁극의 가치에 대한 철학적 해명을 완성했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칸트의 이 철학적 종교론은 그의 비판철학의 귀착점을 보여준다.
3. 『이성의 한계』의 주해 작업은 옮긴이가 이미 출간한 칸트의 주저 3비판서와 긴밀한 연관 아래서 작업된 것이다. 주제상 제4비판서의 자리에 있는 만큼 무엇보다 선행하는 비판서들과 번역어 통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옮긴이는 또한 기존의 한국어 번역본을 포함해 최근의 영어 번역본과 일본어 번역본을 참조하여 철학 용어를 선택했다. 특히 이 책은 칸트의 철학적 종교론의 요약 해제와 상세한 개념 찾아보기, 그리고 칸트 종교철학 관련 국내외의 문헌 목록을 함께 편집, 소개함으로써 독자들의 원전 접근을 돕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