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 청말 疏通정치의 新舊변화 -전통적 문서제도에서 의회정치를 통한 소통구조의 전환 (이춘복) Ⅰ. 들어가는 말 Ⅱ. 청대 문서제도를 통한 소통정치와 문제점 Ⅲ. 소통관련 의회제도의 논의와 새로운 소통구조의 탐색 Ⅳ. 의회제도를 중심으로 한 소통구조의 전환과 그 의미 Ⅴ. 나오는 말
05 》 소통의 관점에서 본 독일 종교개혁 -종교개혁 공공영역과 종교개혁 초기의 소통방식 (황대현) Ⅰ. 들어가며 Ⅱ. 부르주아 공공영역과 종교개혁 공공영역 Ⅲ. 독일 종교개혁 초기의 소통방식 Ⅳ. 나오며
06 》 권력과 소통의 정치학 -영국 근대사회계약 담론을 중심으로 (이화용) Ⅰ. 들어가는 말 Ⅱ. 권력의 정치학, 소통의 정치학 Ⅲ. 토마스 홉스: 국가와 개인의 소통 Ⅲ. 로크: 저항권과 소유권을 위한 새로운 소통 Ⅴ. 결론
2부 타자인식과 교류와 역사대화
07 》 맨드빌의 『여행기』와 동양 (성백용) Ⅰ. 맨드빌과 그의 『여행기』 Ⅱ. 가까운 타자들: 그리스인과 무슬림 Ⅲ. 선한 야만인, 선량한 이교도 Ⅳ. 맺음말
08 》 역사적 관점에서 본 한일문화교류의 성격과 상호관계의 변화 (이지원) Ⅰ. 들어가는 말 Ⅱ. 기축적 질서, 문화교류의 유형, 단계 구분 Ⅲ. 전근대 : 조선통신사와 유교적 우열관계 Ⅳ. 근대 : 일본의 제국주의화와 근대적 우열관계 Ⅴ. 현대 : ‘반일’과 ‘무관심’, ‘몰이해’의 시기 Ⅵ. 최근의 한일문화교류 : 상호대등한 쌍방적 대중적 교류의 일상화 Ⅶ. 나오는 말
09 》 독일과 폴란드의 역사 화해 -접경지역의 탈민족주의적 해석을 중심으로 (차용구) Ⅰ. 머리말 Ⅱ. ‘1914년의 이념’ Ⅲ. 나치 치하의 접경지역 연구 Ⅳ. 폴란드의 서유럽 연구(Polskie badania zachodnie) Ⅴ. 분쟁의 역사에서 소통과 화해의 역사로 Ⅵ. 맺음말
(동서양 역사 속의)소통과 화해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680518
909 -12-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680519
909 -12-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709180
909 -12-3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0001709181
909 -12-3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학문이란 시대와 함께 호흡하고, 사회적 고민에 동참해야 한다는 당위적 문제의식과 역사 속에서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해본다는 취지 아래 이 연구총서를 기획하였다. 동서양 역사 속에 발견되는 “소통”과 “화해”의 장면을 다룬 10편의 논문을 선별하였고, 최대한 동서양사와 한국사의 균형을 맞추고자 하였다. 소통(화해)의 내적 구조와 방법 및 변화와 타자인식과 교류와 역사대화로 나누어 배치했다.
저자소개 성백용 최종학력: 서울대학교 박사 현재직책 : 현재 한남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주요논저 : <영웅만들기: 신화와 역사의 갈림길> (공저), <기억의 장소> (공역), 「노년의 사회ㆍ문화사: 중세의 노년에 관한 몇 가지 시각과 문제들」
오종록 최종학력 : 고려대학교 박사 현재직책 : 성신여자대학교 사학과 부교수 주요논저 : 「朝鮮初期 兩界의 軍事制度와 國防體制」, <조선정치사1800~1863>(상, 하; 공저), 「조선시기의 관료제도 및 그 운영의 특성 -부정부패의 구조적 원인과 관련하여-」, <한국사연구> 이지원 최종학력 : 서울대학교 박사 현재직책 : 한림대학교 일본학과 부교수 주요논저 : <일본의 문화산업체계>(공저), <기지의섬, 오키나와>(공저), 「‘소프트파워’론과 일본의 ‘문화전략’」
이춘복 최종학력 : 중국 북경대학교 박사 현재직책 : 중앙대학교 연구교수 주요논저 : <戊戌時期康有爲議會思想硏究>, 「淸末 정치사상의 中西融合과 儒家 정치사상의 近代化」, 「중국 근대 지식인들의 민족국가 인식」
이행훈 최종학력 : 성균관대학교 박사 2005년. 현재직책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HK연구교수 주요논저 : <한국철학사>, <한국실학사상사>, 「新舊 관념의 교차와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
이화용 최종학력 :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박사 현재직책 :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부교수 주요논저 : 「중세에서 근대로? : 마르실리우스(Marsilius of Padua) 인민주권론에 관한 하나의 역사적 이해」(2001), 「서양 중세후기 세속화의 이해: John of Paris를 중심으로」, Political Representation in the Later Middle Ages: Marsilius in Context(2007)
정재정 최종학력 : 서울대학교 박사 현재직책 : 동북아 역사재단 이사장,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주요논저 : <일제침략과 한국철도, 1892~1945>, <한국의 논리-전환기의 역사교육과 일본인식>, <일본의 논리-전환기의 역사교육과 일본인식>
정호훈 최종학력 : 연세대학교 박사 현재직책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주요논저 : <朝鮮後期 政治思想 硏究>, 「朝鮮後期 새로운 經書解釋과 그 政治思想 尹?의 ≪大學≫ 해석과 君主學」, 「朝鮮後期 새로운 政治思想의 전개와 ≪孝經≫」
차용구 최종학력 : 독일 파사우 대학교 박사 현재직책 :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주요논저 : <중세유럽 여성의 발견>, <영화로 읽는 서양중세 이야기>, 「중세 문화 속의 그리스 신화」
황대현 최종학력 : 독일 아우크스부르크(Augsburg) 대학교 박사 현재직책 : 목원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주요논저 : <서양 기독교 세계는 왜 분열되었을까>, 「아우크스부르크 평화축제로의 길 -아우크스부르크 시의 30년전쟁 극복과정과 동등권 체제의 수립-」「도시 수공업자는 종교개혁을 어떻게 수용했는가? -아우크스부르크의 직조공 우츠 리히스너의 사례-」<한글로 쓴 중국여행기 무오연행록>(공역, 박이정, 2002), <연행록연구총서>(1-10 공편, 학고방, 2006),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총서>(1-12 공편, 학고방, 2008), 「조선시대 대일사행문학연구」(2005), 「통신사가 기록한 국내사행노정에서의 전별연」(2008), 「신유의 해사록에 나타난 일본체험과 인식고찰」(2009), 「국내 통신사 길에 나타난 지방 공연문화의 양상과 의미고찰」(2009), 「사행록에 기록된 지방 공연문화의 변모양상」(2010), 「조선시대 지방관아에서의 공연양상 고찰」(2010), 「통신사행록에 나타난 대마도」(2011) 등을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