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발간사 / 구길본
목차
제1장 서론 7
1.1. 국제적인 목재펠릿 시장 동향 7
1.2. 펠릿 수요를 촉진하는 정책 7
1.3. 목재펠릿 수출 및 수입 기회 8
1.4. 세계화 8
1.5. 톱밥 부산물 이용의 이론적 가능성 9
제2장 목재펠릿 개요 10
2.1. 목재펠릿 생산 10
2.1.1. 공급 원료(Feedstock) 12
2.1.2. 건조(Drying) 12
2.1.3. 분쇄(Grinding) 13
2.1.4. 조절(Conditioning) 13
2.1.5. 펠릿 성형(Pelletizing) 14
2.1.6. 냉각(Cooling) 16
2.1.7. 선별(Screening) 16
2.1.8. 유통 및 저장(Distribution and Storage) 16
2.2. 품질기준 17
[참고자료] 국내 목재펠릿 품질규격 19
제3장 목재펠릿 시장의 정책 현황 22
3.1. 국제적인 협약 22
3.1.1. 교토의정서 22
3.1.2. 요하네스버그 이행 계획(Johannesburg Plan of Implementation) 23
3.1.3. 청정개발 및 기후에 관한 아태지역 6개국 파트너십(The Asia Pacific Partnership on Clean Development and Climate) 23
3.2. 지역·국가별 정책 현황 24
3.2.1. 유럽연합(EU) 24
3.2.2. 러시아 25
3.2.3. 북미지역 26
3.2.4. 라틴 아메리카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30
3.2.5. 아시아 31
3.2.6. 뉴질랜드 34
제4장 유럽의 목재펠릿 산업 및 시장 35
4.1. 유럽의 목재펠릿 시장 개요 35
4.2. 유럽의 목재펠릿 시장 분류 45
4.2.1. 유럽의 성숙된 펠릿 시장 국가 45
4.2.2. 유럽의 발전하고 있는 펠릿 시장 국가 55
4.2.3. 유럽의 신흥 펠릿 시장 국가 68
4.2.4. 신흥시장으로 분류되는 유럽 내 기타 국가 75
제5장 유럽의 펠릿시장 유형별 정책제언 및 시나리오 77
5.1. 유럽펠릿 시장에서 성숙된 국가들을 위한 제안 78
5.1.1. 펠릿의 품질을 위해서 구체적인 표준에 따라서 생산되어야 한다. 78
5.1.2. 대규모 공공사업 78
5.1.3. 재정적 지원 79
5.1.4. 시장의 투명성 80
5.1.5. 국내 생산과 수입의 균형 (Biomass Action Plan) 81
5.2. 유럽 펠릿 시장에서 발전하는 국가들을 위한 제안 81
5.2.1. 현재의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82
5.2.2. 펠릿을 원료로 하는 스토브나 보일러 구매를 지원한다. 83
5.2.3. 국내 바이오매스 에너지 협회의 경쟁력을 증진시킨다. 84
5.2.4. 각 시장의 천연자원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공급 망을 발전시킨다. 85
5.2.5. 대규모 소비자 시장을 창출한다. 85
5.2.6. 지역난방을 재정비한다(바이오매스 행동 계획). 86
5.3. 유럽 펠릿 시장에서 신흥국가들을 위한 제안 86
5.3.1. 바이오연료의 성장과 사용에 따른 이윤 증진 87
5.3.2. 국가 차원의 바이오 연료협회 설립 독려 87
5.3.3. 지역사업자들을 위한 원자재 공급라인을 강화하고 공급 망 기본구조의 최적화 88
5.3.4. 바이오연료 사용 증가를 위한 재정지원의 중요성 88
5.3.5. 목재펠릿 생산성 높이기 89
5.3.6. 바이오연료 생산자들의 지식을 공통 매뉴얼로 정비 89
5.3.7. 지역난방의 부활(바이오매스 실현 계획) 90
5.4. 유럽의 펠릿 시장 성장 시나리오 90
5.4.1. 시나리오 1 : 유럽 펠릿 시장, 2020년 까지 성장 시나리오 90
5.4.2. 시나리오 2 : 유럽 펠릿 공급량, 2020년 까지 성장 시나리오 92
5.5. 초본계 혼합 펠릿(Mixed Biomass Pellets, MBP)의 미래 경향 예측 95
5.5.1. 초본계 혼합 펠릿의 현황 96
5.5.2. 장기적인 목표 97
5.5.3. 시장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 97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목록 98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기술서비스헌장 102
고객여러분께 부탁드리는 말씀 102
의견 제출·신고 또는 연락주실 곳 102
판권기 103
〈표 1〉 목재펠릿 국가 표준의 실례 비교: Onorm M 7135 DIN 51731 and DIN plus(이미지참조) 18
〈표 2〉 국내 목재펠릿 품질규격 21
〈표 3〉 유럽의 국가별 생산량 및 소비량 비교(2008년 기준) 41
〈표 4〉 유럽의 수입/수출 국가별 분류표 43
〈표 5〉 유럽의 국가별 목재펠릿 시장 분류표 45
〈표 6〉 성숙된 목재펠릿 시장 국가별 현황(2008년 기준) 46
〈표 7〉 발전하는 목재펠릿 시장 국가별 현황(2008년 기준) 55
〈표 8〉 신흥 목재펠릿 시장 국가별 현황(2008년 기준) 68
〈표 9〉 시나리오 1에 사용된 데이터 - 목재펠릿 예측 91
〈표 10〉 시나리오 2에 사용된 데이터 - 목재펠릿 예측 93
[그림 1] 목재펠릿 제조공정 11
[그림 2] 플랫 다이 펠릿성형 장치. 15
[그림 3] 링 다이 펠릿성형 장치. 15
[그림 4] 유럽의 펠릿공장 위치 (2007년 현재). 36
[그림 5] 전 세계 펠릿공장 위치 (2009년 12월 현재). 37
[그림 6] 유럽의 국가별 생산/소비 및 수출/수입 지수 비교표. 42
[그림 7] 유럽의 국가별 국민 1인 당 펠릿 사용량 비교표. 44
[그림 8] 국가별 생산량 및 소비량 : 성숙된 목재펠릿 시장(developed pellet markets) 46
[그림 9] 국가별 생산량 및 소비량 : 발전하는 목재펠릿 시장(emerging pellet markets) 55
[그림 10] 국가별 생산량 및 소비량 : 신흥 목재펠릿 시장(new pellet markets) 68
[그림 11] 시나리오 1 유럽 펠릿 시장 - 2020년까지의 시나리오. 92
[그림 12] 시나리오 2 유럽 펠릿 시장 - 2020년까지의 시나리오. 9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699606 | 333.794 -12-19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699607 | 333.794 -12-19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