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머리말 3

제1장 의약품 개발 9

제1절 Drug Discovery 11

1. 일반적인 과정 11

2. 타겟 선정 15

3. High Throughput Screening (HTS) 17

4. 의약품 개발과정에서 화학의 역할 19

5. 의약품 개발시 약동학적인 문제 21

6. 의약품 개발에 있어서 약리학의 역할 23

7. 생물의약품 25

제2절 Drug Development 27

1. 일반적인 과정 27

2. 안전성 평가 28

3. 제형개발 33

4. 임상 개발 37

참고문헌 44

제2장 제조 및 품질관리(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 45

제1절 원료의약품의 특성 분석과 제조 47

1. 원료의약품에서 출발물질의 정의 및 요건 47

2. 출발물질 및 합성방법의 선택 49

3. 주요 핵심물질 또는 원료의약품의 특성분석 50

4. 원료의약품의 제조방법 52

제2절 완제의약품 제형 개발 54

1. 목적 54

2. 투여 제형 종류 54

3. 의약품 개발 초기 단계 고려사항 55

4. 제형 개발 56

5. 개발 초기 제형 개발과 용해도 증가 57

6. 제형별 제조방법 60

7. 제조방법 공정 개발 64

제3절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의 품질관리 65

1. 개발 단계별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의 품질수준 65

2.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의 분석법 개발 70

제4절 용기 및 포장 시스템 83

1. 정의 83

2. 일반적인 고려사항 83

제5절 안정성 87

1. 정의 및 개요 87

2. 시험 종류 및 의의 88

3. 사용기간(또는 유효기간)의 설정 91

4. 브래케팅 디자인과 매트릭스 디자인 92

5. 안정성에 관한 자료 심사 및 평가시 일반적인 고려사항 94

제6절 규제적 관점에서의 고려사항 96

1. 일반적 고려사항 96

2. 원료의약품에 관한 자료 96

3. 완제의약품에 관한 자료 100

4. 안정성시험자료 102

참고문헌 103

제3장 독성에 관한 자료(Toxicology) 105

제1절 단회투여독성시험(Single Dose Toxicity Study) 107

1. 단회투여독성시험이란? 107

2. 단회투여독성시험의 시험방법 108

3. 단회투여독성시험 국내외 규정 109

4. 단회투여독성시험 가이드라인 목록 110

제2절 반복투여독성시험(Repeated Dose Toxicity Study) 111

1. 반복투여독성시험이란? 111

2. 반복투여독성시험의 시험방법 111

3. 반복투여독성시험 국내외 규정 114

4. 반복투여독성시험 가이드라인 목록 114

제3절 유전독성시험(Genetic Toxicity Study) 116

1. 유전독성시험이란? 116

2. 유전독성시험의 시험방법 116

3. 유전독성시험의 국내외 규정 123

4. 유전독성시험 가이드라인 목록 124

제4절 생식발생독성시험(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Studies) 126

1. 생식발생독성시험이란? 126

2. 생식발생독성시험의 시험방법 126

3. 통계분석 131

4. 생식발생독성시험 국내외 규정 132

5. 생식발생독성시험 가이드라인 목록 133

제5절 발암성시험(Carcinogenicity Study) 135

1. 발암성시험이란? 135

2. 발암성시험의 시험방법 136

3. 발암성시험의 국내외 규정 139

4. 발암성시험 가이드라인 목록 139

제6절 국소독성시험(Local Toxicity Study) 141

1. 국소 독성시험이란? 141

2. 국소독성시험의 시험방법 142

3. 국소독성시험의 국내외 규정 143

4. 국소독성시험 가이드라인 목록 144

제7절 항원성시험 및 면역독성시험 145

1. 항원성시험 및 면역독성시험이란? 145

2. 항원성시험법 및 면역독성시험법 146

3. 면역독성시험 국내외 규정 149

4. 항원성 및 면역독성시험 가이드라인 목록 151

제8절 기타독성시험 152

1. 흡입독성시험(Inhalation Toxicity Study) 152

2. 의존성시험 154

3. 독성동태시험(Toxicokinetic Study) 156

4. 기타 독성시험 가이드라인 목록 157

제9절 비임상시험관리기준(Good Laboratory Practice) 159

제10절 규제적 관점에서의 고려사항 160

1. 일반적인 고려사항 161

2. 단회투여독성시험 시 고려사항 162

3. 반복투여독성시험 시 고려사항 162

4. 유전독성시험 시 고려사항 163

5. 생식발생독성시험 시 고려사항 164

6. 발암성시험 시 고려사항 164

7. 기타 독성시험 시 고려사항 164

참고문헌 165

제4장 약리에 관한 자료(Pharmacology) 167

제1절 효력시험(pharmacodynamic study) 169

1. 효력시험이란? 169

2. 효력시험 설계 시 고려사항 170

3. 효력시험 관련 가이드라인 172

4. 비임상효력시험 시 동물시험 관련 표준작업수순서 173

제2절 일반약리시험과 안전성약리시험(General Pharmacology Study and Safety Pharmacology Study) 178

1. 일반약리시험과 안전성약리시험이란? 178

2. 안전성약리시험 178

3. 일반약리시험 187

4. 안전성약리시험과 일반약리시험의 비교 188

5. 국내외 동향 190

제3절 흡수ㆍ분포ㆍ대사ㆍ배설시험(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Excretion) 191

1. 흡수분포대사 및 배설시험이란? 191

2.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 시 고려사항 192

3.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 194

제4절 약물상호작용(Drug-Drug Interaction) 200

1. 약물상호작용이란? 200

2. 약동학적상호작용 201

3. 약력학적상호작용 203

제5절 규제적 관점에서의 고려사항 204

1. 의약품의 안전성유효성심사자료 평가 시 고려사항 204

2. 임상시험단계별로 요구되는 비임상약리에 관한 자료 207

참고문헌 208

제5장 임상시험에 관한 자료(Clinical Trial) 211

제1절 임상시험 개요 214

1. 임상시험의 단계적/목적별 분류 214

2. GCP(Good Clinical Practice, 임상시험관리기준) 216

3. 임상시험의 요건 217

4. 임상시험 실태조사 218

5. 임상시험심사위원회 224

6. 국내 임상시험 실시기관 225

제2절 임상시험 종류 226

1. 1상 임상시험(임상약리시험) 226

2. 2상 및 3상 임상시험(치료적 탐색ㆍ확증 임상시험) 230

3. 기타 임상시험 종류 235

제3절 임상시험 계획 승인 신청(IND) 249

1. 개요 249

2. 제출자료 249

제4절 생물학적동등성시험 252

1. 정의 252

2. 목적 253

3. 생물학적동등성시험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 254

제5절 규제적 관점에서의 고려사항 256

1. 임상시험 계획시 고려사항 256

2. 임상시험자료 검토시 고려사항 262

참고문헌 268

제6장 국제공통기술문서 작성 269

제1절 의약품국제공통기술문서(CTD)의 배경 271

1. CTD 도입의 필요성 271

2. 외국의 CTD 도입현황 및 국내현황 272

3. 국제공통기술문서의 원칙 273

제2절 국제공통기술문서의 구성 및 상세 275

1. CTD의 구성 275

2. 제1부 신청내용 및 행정정보 등 275

3. 제2부 CTD의 자료개요 및 요약 276

4. 제3부(품질평가자료) 280

5. 제4부(비임상시험자료) 280

6. 제5부(임상시험자료) 281

제3절 국내 CTD 도입으로 인한 변화 282

참고문헌 288

부록 289

[부록 1] 유용한 사이트 291

[부록 2] 신약개발관련 분야별 용어 297

1. 품질 299

2. 독성 304

3. 임상 307

4. 국제기구 및 의약품 관련 기관 311

[부록 3] 국내정책자료 315

1. 원료의약품신고(DMF) 관련 민원업무 세부처리방안 개정 319

2. 원료의약품신고(DMF) 관련 민원업무 세부처리방안 320

3. 원료의약품 품목별 사전 GMP 평가 운영지침 321

4. 수입 원료의약품 허가(신고) 처리 지침 322

5. 신고대상 원료의약품(DMF) 연차보고 전자신청 알림 323

6. 원료의약품 중 안정성 자료 처리방안 324

7. 주요원자재업체관리(Vendor Audit)방안 325

8. 비동물유래성분 사용 시 허가 신고 처리지침 326

9. 품목별 사전 GMP 제도 운영지침 개정 327

10. 품목별 사전 GMP 제도 운영지침 개정 328

11. 품목별 사전 GMP 제도 운영지침 개정 329

12. 품목별 사전 GMP제도 운영지침 330

13. 기허가 의약품에 대한 밸리데이션 운영 개선방안 332

14. 한약(생약)제제 품목별 사전 GMP 평가지침 333

15. 한약(생약)제제 밸리데이션 등 제외 대상 처리방안 334

16. 포장 전 반제품시험을 완제품시험으로 대체 허용 운영방안 335

17. 품목관리자제도(Product manager) 세부운영방안 336

18. 의약품 허가(신고) 신청ㆍ처리 안내 337

19. 의약품 등 심사결과 정보공개 처리지침 개정 338

20. 의약품 허가심사 처리지침 -재심사 관련 민원처리 방안 339

21. 개량신약 인정 및 우선ㆍ신속심사제도 운영 지침 340

22. 에스테르 화합물 처리방안 341

23. 희귀의약품 지정해제 후 신약 변경허가 시 처리방안 342

24. 일반의약품 허가ㆍ심사 규정 운영 지침 343

25. 항암제 가교자료 면제를 위한 세부지침 (Ver 2.0) 345

26. 항암제 가교자료 면제를 위한 세부지침 346

27. 생동성입증품목과 함량이 다른 제제의 생동성 입증방안 개선 348

28. 함량이 다른 복합성분의약품의 생물학적동등성시험 지침 349

29. 국내ㆍ외 제조소 변경에 대한 허가 관리 방안 350

30. 의약품등 제조원 기재방법 개선방안 351

31. 생물의약품 허가사항 연차보고제 운영 지침 353

[별첨 1] 원료의약품신고 (DMF) 관련 민원업무 세부 처리방안 개정(2010.12.31) 원문 354

[별첨 2] 원료의약품신고 (DMF) 관련 민원업무 세부 처리방안(2010.9.29) 원문 359

[별첨1-1] : 원료의약품신고서(DMF) 처리흐름도 362

[별첨1-2] : DMF / 허가(신고) 신청시 제출자료 비교 363

[별첨1-3] : (예시) DMF 자료 공유 허여서 서식(국문) 364

[별첨1-4] : (예시) DMF 자료 공유 허여서 서식(국문) 365

[별첨1-5] : (예시) DMF 자료 공유 허여서 서식(영문) 366

[별첨 3] 원료의약품 품목별 사전 GMP 평가 운영지침(2009.12.21)원문 367

[별첨 4] 수입 원료의약품 허가(신고) 처리지침 원문 372

[별첨 5] 품목별 사전 GMP 제도 운영지침 개정(2011.6.29) 원문 375

[별첨 6] 품목별 사전 GMP 제도 운영지침 개정(2010.7.5) 원문 383

[별첨 7] 품목별 사전 GMP 제도 운영지침 개정(2009.7.3) 원문 388

[별첨 8] 품목별 사전 GMP 제도 운영지침 (2008.3.28) 원문 391

[별첨 4-1] GMP 실시상황평가에 필요한 자료 395

[별첨 9] 기허가 의약품에 대한 밸리데이션 운영 개선방안 원문 396

[별첨 10] 한약(생약)제제 품목별 사전 GMP 평가지침 원문 398

[별첨8-1] 한약(생약)제제 GMP 실시상황평가에 필요한 자료 401

[별첨 11] 한약(생약)제제 밸리데이션 등 제외 대상 처리방안 원문 405

[별첨 12] 포장 전 반제품시험을 완제품시험으로 대체 허용 운영방안 원문 407

[별첨 13] 의약품 허가(신고) 신청ㆍ처리 안내 원문 409

[별첨 14] 의약품 등 심사결과 정보공개 처리지침 원문 416

[별첨 15] 개량신약 인정 및 우선ㆍ신속 심사제도 운영 지침 원문 419

[별첨 16] 에스테르 화합물 처리방안 원문 424

[부록 4] 식약청 가이드라인 목록 427

1. 의약품 429

2. 생물의약품 432

4. 의약외품 437

5. 체외진단용의약품 437

[부록 5] 해외 가이드라인 목록 439

1) FDA 441

2) EMA 471

3) ICH 509

표목차

[표 1-1] 병리생리학적 분석 및 기존약물의 분석을 통해 발견된 의약품 타겟 15

[표 1-2] 경구투여에 적합한 후보물질 및 의약품 후보의 약물대사 및 약동학적 특성 22

[표 1-3] 약리시험계의 특성 24

[표 2-1] 첨가제의 목적별 종류 56

[표 2-2] 비임상, 임상약리시험 단계의 제조 및 품질관리 고려사항 65

[표 2-3] 용량설정 임상시험 단계의 제조 및 품질관리 고려사항 66

[표 2-4] 임상시험 단계별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에 대한 품질관련서류 제출기준 68

[표 2-5] 제제학적 시험항목 80

[표 2-6] 안정성 평가를 위한 시험 종류 및 실시조건 88

[표 2-7] 반투과용기의 시험조건에 대한 국내규정과 ICH가이드라인의 비교 90

[표 2-9] 예1. 1/2 생략 시험 94

[표 2-10] 예2. 1/3 생략 시험 94

[표 3-1] 단회투여독성시험방법 109

[표 3-2] OECD의 급성경구독성시험 요약 109

[표 3-3] 반복투여독성시험방법 112

[표 3-4] 제1상 및 제2상 임상시험을 위한 반복투여독성시험의 최소 투여기간 113

[표 3-5] 제3상 임상시험 및 신약허가를 위한 반복투여독성시험의 최소 투여기간 113

[표 3-6] 권장투여용량(허용 최대 투여용량) 114

[표 3-7] 복귀돌연변이시험방법 118

[표 3-8] 체외염색체이상시험 방법 119

[표 3-9] 체내소핵시험 방법 121

[표 3-10] 체외 마우스 림포마 TK시험 122

[표 3-11] OECD 유전독성시험 기준 123

[표 3-12] 수태능 및 초기배 발생시험방법 127

[표 3-13]/[표3-12] 배태자 발생시험방법 129

[표 3-14]/[표 3-12] 출생 전후 발생 및 모체기능시험방법 130

[표 3-15]/[표 3-13] 발암성시험의 대체시험법 137

[표 3-16]/[표 3-14] 발암성시험의 용량설정 시 고려사항 139

[표 3-17]/[표 3-15] 피부자극시험의 시험방법 142

[표 3-18]/[표 3-16] 안점막자극시험의 시험 방법 143

[표 3-19]/[표 3-17] 국소독성시험의 가이드라인 비교 143

[표 3-20]/[표 3-18] 국내 면역독성시험 가이드라인 148

[표 3-21]/[표 3-19] 면역독성시험 가이드라인 종류 149

[표 3-22]/[표 3-20] 미국 NTP 추천 마우스이용 면역독성시험 가이드라인 150

[표 4-1] In vitro, ex vivo, in vivo 효력시험 171

[표 4-2] 효력시험 관련 가이드라인 172

[표 4-3] 비임상동물시험 관련 표준작업수순서 173

[표 4-4] QT 간격연장 유발가능성이 있는 약물 183

[표 4-5] 안전성약리시험의 심혈관계, 호흡기계 및 중추신경계의 시험항목과 시험방법 187

[표 4-6] 일반약리시험의 시험항목 및 시험방법 187

[표 4-7] 안전성약리시험과 일반약리시험의 비교 189

[표 4-8]/[표 4-7] 흡수분포대사배설시험 시 고려사항 193

[표 4-9]/[표 4-8] 약물의 체내동태 각 단계별 평가항목 199

[표 4-10]/[표 4-9] 임상약동학적 상호작용시험이 필요한지에 대한 예측을 위해 고려사항 202

[표 4-11]/[표 4-10] 임상시험단계별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 시 요구되는 비임상약리에 관한 자료 207

[표 5-1] 목적별 임상시험 분류 214

[표 5-2] 단계별 임상시험 분류 215

[표 5-3] 실태조사 향후 계획 비교 219

[표 5-4] 정기ㆍ수시 실태조사 비교 220

[표 5-5] 조사내용에 따른 조치사항 220

[표 5-6] 임상시험 실태조사 점검사항 221

[표 5-7] 약동학적 변수의 종류 230

[표 5-8] 임상시험 단계별 제출자료 목록 251

[표 6-1] 외국에서의 CTD 도입현황 272

[표 6-2]. 외국에서의 신약, 자료제출의약품 및 제네릭의약품중 CTD적용범위 273

[표 6-3] CTD의 구성 275

[표 6-4] 모듈 2 전반구성 277

그림목차

[그림 1-1] 새로운 합성의약품 생성을 목적으로 하는 전형적인 프로젝트의 의약품 개발 단계 12

[그림 1-2] Drug discovery의 단계 14

[그림 1-3] 자동화된 HTS 장치 18

[그림 1-4] 생화학적 분석 시험법의 종류 18

[그림 1-5] 세포기반 시험법의 종류 19

[그림 1-6] 전형적인 의약품 개발 프로젝트에 있어서 주요 기술 및 연구 분야 28

[그림 2-1] 원료의약품 제조(합성)과정 순서도의 예 48

[그림 2-2] 출발물질의 선택하기 위하여 확보해야하는 데이터 49

[그림 2-3] 사용기간등 신청을 위한 흐름도 95

[그림 3-1] 복귀돌연변이 개요 117

[그림 3-2] 체외염색체이상시험 119

[그림 3-3] 체내 소핵시험 120

[그림 3-4] 랫트의 발생단계별 표준시험법 분류 127

[그림 3-5] 발암성시험의 실시 135

[그림 3-6] 국소독성시험 141

[그림 4-1] 탈분극/재분극으로 움직이는 hERG 채널의 모식도 181

[그림 4-2] hERG 채널과 심장의 활종전위(action potential), 심전도(ECG)와의 상관관계 182

[그림 4-3] 비임상시험 전략 185

[그림 4-4]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 191

[그림 4-5] 시간별 혈중농도곡선 196

[그림 4-6]/[그림 4-63] 약물학적 상호작용 203

[그림 5-1] 신약개발과정에서 임상시험의 단계와 임상시험의 종류와의 관계 216

[그림 5-2] 최초 건강한 성인에게 투여하는 시작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 227

[그림 5-3] 외국임상자료등의 평가방법 245

[그림 5-4] 가교시험 결정을 위한 흐름도 246

[그림 6-1] CTD 개요도 275

이용현황보기

성공적인 신약개발 제품화를 위한 길라잡이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39461 363.194 -12-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739462 363.194 -12-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