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3
1. 건강관련 삶의 질(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13
2. 보건의료의 경제성 평가 14
3. EQ-5Ds 15
가. EQ-5D-3L 15
나. EQ-5D-5L 16
4. 효용(utility), 가치 (value), 선호도(preference) 17
가. 개념 17
나. 등급 척도방법 18
다. 표준도박법 21
라. 시간교환법 21
제2절 연구목적 22
제2장 국내외 연구현황 24
제3장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26
제1절 연구방법 26
1. EQ-5D-5L 한국어 버전 26
2. 선호도 조사 29
가. 건강상태의 선택 29
나. 응답대상자의 선정 32
다. 면접조사 34
라. 가치평가방법 38
3. 분석 44
가. 선호도 값의 계산 (Torrance, 1986) 44
나. 기본분석 45
다. 모형 개발 47
라. 개인특성 및 면접조사자의 효과 50
제2절 연구결과 51
1. 응답자 특성 51
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51
나. 응답자의 자가건강평가 53
2. 실행가능성(feasibility) 55
가. 설문난이도 55
나. 모순값(inconsistency) 56
3. 타당도 57
가. 질 가중치 계산 57
나. 수렴타당도 61
4. 추정모형개발 64
가. 종속변수 64
나. 모형 선택 65
다. 개인 특성 및 면접조사자 효과 70
제3절 고찰 71
1. 연구대상 71
2. 자가평가결과 73
3. 실행가능성 75
4. 타당도 79
5. 추정모형 81
제4장 연구목표 달성도, 연구의 제한점 및 대외기여도 85
제1절 연구목표의 달성도 85
제2절 연구의 제한점 85
제3절 연구의 대외기여도 및 활용계획 85
참고문헌 87
부록 1. 건강 상태 선호도 측정을 위한 조사 95
그림 1. EQ-5D-5L 버전의 EQ-VAS 20
그림 2. 죽는 것보다 나은 만성상태의 표준도박법 개념도 21
그림 3. 죽는 것보다 나은 만성상태의 시간교환법 개념도 22
그림 4. SPSS 직교배열법을 이용한 건강상태 선택과정 32
그림 5. 표본 추출과정 흐름도 34
그림 6. 건강상태 기술카드의 예 35
그림 7. 시각보조도구(확률판) 36
그림 8. 죽는 것보다 나은 상태를 위한 시간판 36
그림 9. 죽는 것보다 못한 상태를 위한 시간판 37
그림 10. 확률판으로부터 선호도 점수를 결정하는 단계 도식표. 41
그림 11. 면접대상 흐름도 52
그림 12. 자가평가 EQ-VAS 점수 분포 55
그림 13. 가치측정방법별, 건강상태별 평균 질 가중치 값 61
그림 14. SG와 TTO로 구한 질 가중치값의 산점도 62
그림 15. SG와 TTO로 구한 질 가중치값을 비교한 Bland-Altman 도표 62
그림 16. SG와 VAS로 구한 질 가중치값의 산점도 63
그림 17. SG와 VAS로 구한 질 가중치값을 비교한 Bland-Altman 도표 64
그림 18. 건강상태 질 가중치 계산의 예 70
I. 제목
EQ-5D-5L 건강상태의 효용추정
II. 연구의 목적
- EQ-5D-5L 건강상태에 대해 시각아날로그척도법, 시간교환법 혹은 표준 도박법을 이용하여 가치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EQ-5D-5L 건강상태에 대한 효용 예측모형을 구축해서 효용값을 탐색하고자 한다.
-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EQ-5D-5L 건강상태에 대한 가치평가결과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평가한다.
III.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 EQ-5D-5L의 가능한 건강상태 중 연구하고자 하는 건강상태 선택
- EQ-5D-5L로 생성 가능한 3,125개의 상태 중에 조사할 건강상태 결정하였다. 모델링에 필요한 최소 상태와 기존 연구에서 자주 응답이 되는 상태를 포함하였고, 총 70개의 상태가 되도록 나머지 상태를 중증도를 고려하여 무작위 추출하였다.
2) 설문준비
- 다단계 층화 할당추출법에 따라 서울, 인천, 경기지역에서 응답대상자를 선정하였다.
- 인구사회학적 정보, 상태별 가치평가 내용을 포함한 설문조사지를 완성하고 상태카드, 설문보조도구를 만든 후, 조사기관의 조사자를 교육하였다.
3) 설문수행
- 응답자가 기본정보 조사 후 먼저 무작위로 추출된 7개 건강상태와 11111, 55555, 사망, 무의식 상태에 대해 순위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 이 후 동일한 11개 상태에 대해 시각아날로그척도법으로 가치를 평가하게 한 후, 그 결과를 기록하였고, 11111, 사망을 제외한 나머지 상태를 죽는 것보다 나은 상태와 못한 상태로 구분하게 하였다.
- 표준도박법과 시간교환법을 이용하여 11111, 사망을 제외한 나머지 상태를 평가하게 하였다. 이때 죽는 것보다 나은 상태와 못한 상태는 다르게 질문을 수행하였다.
4) 분석
- 세 가지 방법의 실행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난이도, 소요시간, 모순값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 세 가지 가치 방법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가치평가 방식을 고려하여 질 가중치를 계산하고, 일치정도를 Bland-Altman 도표를 이용해서 살펴보았다.
- 표준도박법으로 구한 질 가중치를 이용하여 효용 추정에 대한 다양한 모형을 탐색하였고, 모형적합성, 논리적 일관성, 간결성(parsimony)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모형을 탐색하였다.
IV. 연구결과
표준도박법은 시간교환법과 비교해서 난이도, 소요시간에서 차이가 없었다. 표준도박법으로 측정한 질 가중치에서 모순값이 4개 이상인 분율은 1.6%였고, 시간교환법의 경우 2.2%였다. 표준도박법으로 측정한 질 가중치와 시간교환법으로 측정한 질 가중치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0.992), 평균 0.034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표준도박법과 시각아날로그척도법 간에는 지수 함수 변환식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SG=1-(1-VAS)1.487). 절편이 없는 주효과모형(각 영역별, 수준별 가변수만을 설명변수로 한 모형)이 표준도박법으로 측정한 질 가중치에 가장 잘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Mean Absolute error가 0.031이었고, 절대 차이가 0.1를 넘는 건강 상태는 70개 중 1개뿐이었다.
V.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이 연구를 통해 EQ-5D-5L로 표현한 다른 건강상태들에 대한 사회적 관점의 질 가중치를 추정할 수 있었고, 이 연구의 결과는 삶의 질 평가, 보건 경제성 평가 등 다양한 연구와 정책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표준도박법을 이용한 건강상태 가치평가는 설행가능성 측면에서 시간교환법에 비해 떨어지지 않아 한국인을 대상으로 효용을 측정하는데 표준도박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시간교환법과 표준도박법은 평균 0.034의 차이를 보였으나 임상적으로 중요한 차이를 0.03-0.09정도로 볼 때 시간 교환법은 표준도박법의 대체방식으로 사용할 만하다.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T000036221 |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 이용불가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