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4

제1장 서론 6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6

1) 우주강국 진입을 위한 우주개발 인력 수요의 증대 7

2) 우주항공 기술개발연구·산업 인력양성 교육기관 설립 8

3) 수요 지향적 우주항공 특성화 연구교육기관 육성 전략 필요 10

2. 연구의 내용과 범위 10

1) 우주항공 융합특성화 연구교육기관 적실성과 개념 10

2) 우주항공 융합특성화 실제 적용 전략 10

3) 융합특성화 정책 방향 및 중점과제 도출 11

3. 연구방법론 11

1) 우주항공 연구 및 교육기관 국내외 선행연구 조사 분석 11

2) 국내외 관련 기관과의 협조방안 11

3) 우주항공 분야별 전문가 자문 및 인터뷰 조사 심층 강화 11

제2장 항공우주 인력수급 현황과 학·연사업 한계 13

1. 항공우주 분야 인력수급 현황 13

1) 산업개요 13

2) 세계 산업 현황 및 전망 14

3) 국내산업 현황 16

2. 국내 인력구조 및 수요 전망 17

1) 우주개발 인력 양성 현황 17

2) 국내 인력 구조 및 수요전망 18

3) 우주산업분야 인력 현황 20

4) 소결론 25

3. 학·연 협력 인력양성 사업 성과와 한계 25

1) 경상대·항우연 DRC(Degree & Research Center·공동연구센터) 25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학연협력사업 (인재양성형) 26

3) 학연 공동연구의 한계 27

제3장 과학기술대학 특성화 전략과 배경 28

1. 과기대 특성화 및 육성방안 28

1) 과기대 특성화와 연구중심대학 육성 28

2) 중점 추진과제 29

2. 과학기술원법안 의원입법 발의안 분석 35

1) 창원과학기술원법안 (김학송 의원 대표 발의, 2011. 5. 30) 35

2) 부산과학기술원법안 (김세연 의원 대표 발의, 2011. 5. 30) 38

3) 한국녹색과학기술원법안 (박희태 의원 대표 발의, 2011. 7. 28) 40

4) 한국해양과학기술원법안 (박희태 의원 대표 발의, 2011. 7. 28) 42

제4장 우주개발 전문인력 양성 패러다임의 변화와 새로운 전략 44

1. 우주개발 활성화를 위한 인력 양성 44

1) 대학의 우주 관련 전공학과 인원현황 44

2) 2010년 석사 이상 졸업인원 및 우주산업 취업현황 45

3) 국내 항공우주 관련 대학 현황 46

4) 해외 항공우주 전문기관과의 인력 비교 47

5) 일본과 미국의 우주개발 인력 사례 47

2. 우주전문인력 양성 패러다임의 전환 54

1) 맞춤형 육성 전략 제시 54

2) 우주개발사업 수요를 고려한 전문인력 양성 55

3) 다학문적 접근 55

3. 사례분석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소 57

1) 설립 개요 58

2) 주요 기능 58

3) 주요 실적 59

제5장 산업·연구 맞춤형 인력양성기관 설립 추진 61

1. 이공계 인력 육성·지원 기본계획의 수정 내용과 의미 61

1) 이공계 대학교육제도 개선 61

2) 핵심 연구인력 양성 64

3) 우수인력 국제교류 확대 67

4) 수요 지향적 인재 양성 69

5) 이공계 인력 육성·활용 기반 확충 73

2. 맞춤형 연구개발 및 현장경험 인력양성 76

1) 목적과 취지 76

2) 항공 우수 인력 확보 및 원활한 인력 공급 76

3) 항공우주인력이 갖춰야 할 기본 소양(Spec.) 설정과 외국 사례 78

3. 필요성과 타당성 : 수요자 중심의 대학(원) 교육시스템 확립 유도 82

1) 항공우주 기술의 특성 82

2) 출연(연)의 교육기능 확충 83

4. 설립 방안과 전략 84

1) 우주항공 융합특성화를 위한 효과적 추진전략 및 방안 84

2) 우주항공 융합특성화 연구교육기관 단계적 육성 방안 제시 85

5.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85

1) 기대성과 86

2) 활용방안 86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향후 과제 88

1. 결론 88

1) 항공우주기술 전문인력 양성 방향 88

2) 학연협력 인력양성사업의 패러다임 전환 89

3) 산업·연구 맞춤형 인력양성기관 설립 89

2. 정책 제언 90

3. 향후 과제 90

1) 우주개발전문인력과 항공전문인력 간 통합 운영 90

2) 항공과 우주 담당 정부부처 조정·통합 91

부록 92

부록1. 전문가 인터뷰 : 김종범 박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책협력센터 정책개발팀장) - 항공우주 인력 양성 대책 방안 92

부록2. 우주개발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심포지엄 발표문 93

부록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대성 항공혁신기술연구소장 자문자료 95

참고 97

참고1. 『제2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에 반영된 인력양성 97

참고2. 항공산업발전 기본계획 (2010.1)에 반영된 인력양성 100

참고문헌 101

초록보기

- 항공우주 산업·연구 맞춤형 인력양성 전문기관 설립 추진

- 산업과 미래성장 고려한 '융합특성화 한국과학기술원' 새모델 제시

- 우주개발진흥법 제5조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포함 사항으로 '우주개발에 필요한 전문인력의 양성에 관한 사항'이 들어가 있지만 고급전문인력과 관련해 종합적이고 구체적 시행계획은 마련돼 있지 않음

- 국가우주개발사업과 인력 양성을 실질적으로 연계하면서 연구전문성과 현장경험을 갖춘 새로운 형태의 우주전문인력 양성 기관을 설립

- 연구와 교육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고급 인력양성 시스템

- 교육과 과학기술 연계, 항공우주 산학연 공동연구의 Hub 필요성

- 우주항공 분야 맞춤형 현장 및 연구 인력 양성을 위한 산·연·관 공동출연 연구교육기관 설립 필요성

- 지자체와 산업계가 참여하는 지역혁신클러스터 모형으로 확대·발전

- 특정 대학 중심 기존 학연사업 모델의 한계점 노출

- 범대학 차원의 우주항공 특성화 연구중심 대학원 필요

('특정대' 항공우주특성화 대학원 => '한국' 항공우주 과학기술원)

- 출연연과 대학, 산업체 공동으로 연구와 교육이 이뤄지고 출연금 역시 국가·지방자치단체·기업도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

- 기존 항공우주과 포함한 대학 항공우주 전공 학부생 가운데 근 70%의 대다수 미취업 졸업생들을 전문우주인력으로 키워냄으로써 취업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이는 기존 대학 경쟁력 키우는 요소로 작용

- 한국항공우주과학기술원의 지역 대학 및 기업연구소와 Co-Petition 관계를 확립해 연구역량 동반 신장 유도

- 지역혁신클러스터 연계한 연구교육 융합 과학기술원 특성화의 새로운 모델(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산업체 적극 참여)

- 맞춤형 연구개발 및 현장경험 인력양성 목적 산·연·관 공동출연

- 항공우주 산업·연구 맞춤형 인력 양성 전문기관 설립 방안

1단계 : 범대학 차원 우주항공특성화 학·연 협력 프로그램 운영

(현장 경험 고급인력양성과 공동연구 수행 우수교원 양성)

2단계 : 가칭 한국항공우주과학기술원 설립

이용현황보기

우주항공 특성화 연구교육기관 육성 방안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6697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