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과 찾아보기(p. 453-456) 수록 부록 수록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이용현황보기
유성 석진경과 한국 유도 : 유성 석진경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 논문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57431
796.8152 -1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757432
796.8152 -1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유성 석진경과 한국 유도』는 석진경 선생의 사상과 철학이 한국 유도계에 미친 영향을 여상환, 이학래, 정삼현·유성연, 조재기, 김의환, 양동자, 송영수 등 여덟 분의 석학들이 학술적으로 연구하고 정리한 논문집으로, 앞으로 한국 유도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유성(柔聖) 석진경(石鎭慶)은 1912년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나 배재고보 입학과 함께 유도에 입문했고, YMCA를 거쳐 일본 리쓰메이칸(立命館) 대학 법학부에 다니며 학업과 유도를 병행했다. 간사이 학생유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고, 대학 재학 중 5단까지 초고속 승단한 데 이어 유도 연사(鍊士) 칭호도 획득했다. 1936년 귀국 후 YMCA, 제주 농업학교, 함흥 영생중학교 등에서 후진 양성에 진력했다. 복 전후에는 일본어로 된 유도 용어를 우리말로 바꾸고, 조선유도연맹(현 대한유도회) 창립, 한국유도원과 대한유도학교(현 용인대) 설립 등 한국 유도의 기초 확립에 심혈을 기울였다. 1955년에는 유도사절단을 이끌고 스위스, 프랑스 등 유럽 6개국을 순회하며 한국 유도의 우수성을 대외에 과시했고, 1960년대 들어 대한유도회 회장, 국제유도연맹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1964년 도쿄 올림픽을 비롯한 여러 국제 대회에서 심판으로 활약했으며, 동아대, 중앙대, 숭실대, 고려대 등에서 교수 또는 강사로 수많은 제자들을 배출했다. 1990년 3월 우리나라 최초로 유도 10단에 올랐으며, 같은 해 11월 78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유도로 시작해서 유도로 끝난 유시유종(柔始柔終)의 인생역정이었다. 별호 유성(柔聖)’은 사후 제자들이 ‘유도의 성인(聖人)’이라는 의미로 지어 헌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