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신약탐색기술과 전략 - 63 1. 고효율약효검색(HTS)의 역사 및 개요65 2. HTS에 사용되는 주요 요소 기술68 3. HTS를 이용한 신약개발72 4. 가상검색을 이용한 약물후보물질 발굴76 5. 신약재창출 (Drug Repositioning)82 6. 결론 및 전망87
제5장 신약개발 후보 선정 - 89 1. 신약 개발 계획의 수립91 2. 약물성(drug-likeness)100 3. 신약 후보물질의 경쟁력116
제6장 유효성 평가 - 121 1. 유효성 평가의 역사 및 개요123 2. 신약 유효성 평가의 정량적 해석 기초125 3. 수준별 유효성 평가 분류128 4. 맞춤형 의약 시대의 유효성 평가133 5. 유효성 평가와 신약타깃의 컨셉입증 (proof of concept)136 6. 미래의 과제138
제7장 신약의 체내동태 평가 - 139 1. 약물체내동태 개요141 2. 신약개발을 위한 주요 체내동태 파라미터 및 그 의미143 3. 신약개발을 위한 체내동태 평가 및 최적화 과정149 4. 체내동태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학적 인자157 5. 체내동태의 임상적 의의 및 향후 전망165
제8장 비임상시험 - 173 1. 비임상시험의 범위 및 의미175 2. 신약의 종류 및 적응증에 따른 비임상시험 프로그램179 3. Good Laboratory Practice(GLP) 및 비임상시험관련 규정184 4. 맺음말186
제약산업학 = Pharmaceutical industry : from bench to market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99432
338.47615 -1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799433
338.47615 -1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제약산업학” 발간에 따른 머리말 약학대학 6년제 학제개편에 따라 약학대학 졸업 후 진출하는 제약 및 공직, 연구직 등 약사자격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직무 수행에 필요한 지식이 약학대학의 핵심교육과정(산업약학)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그 핵심 과목인 제약산업학을 통해 산업현장에서 약사의 역할을 이해하고 약학적 지식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결정 과정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제약산업학은 산업현장에서 의약품의 제품기획, 연구, 개발, 생산, 허가, 유통 등의 업무수행이 가능하도록 실질적이고 종합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책을 구성함에 있어서, 약대 6년제 표준교과과정에 따른 산업약학 분야 교과과정 중에서 산업체 경험을 바탕으로“의약품 개발 및 제약산업”에 관한 지식을 최대한 담을 수 있도록 세부 내용을 구성하였다. 특히 약학 관련 전공자가 졸업 후 산업현장에서 전문가로서 역량을 발휘하는데 상당기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여, 보다 빠르게 의약품 또는 바이오 전문인으로서 역할을 준비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특히, 의약품 관련하여 세부과목별(의약화학, 약리, 분석, 제제 등) 기초지식을 습득한 약학대학 학부 3-4학년 학생들이 기초지식을 응용하여 의약품기획부터 연구/개발, 허가 및 마케팅까지 총괄적이고 통합적 식견을 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다른 약학전공서적들과 중복성을 최소화하기 세부 기술 혹은 방법의 나열을 지양하고 이론적 서술보다 의약품개발 현장에서 바로 활용될 수 있는 천연물, 제네릭, 개량신약 및 혁신 신약(바이오신약 포함)의 연구, 제조, 임상개발, 허가 및 마케팅에 이르는 총체적 지식을 학습하도록 구성하였다. 더불어 각종 허가 규정 및 개발 프로세스와 의약품의 해외 허가제도를 소개함으로써 조금이나마 의약품 개발에 대한 글로벌 시각을 확보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