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p. [532]-557 이 저서는 2007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한국ㆍ대만 식민지 문학 공동 기획을 출간하며 [정병호] 머리말 [진방명]
. 한국, 대만의 극대 국민문학 구축과 일본어 문학이라는 제도 한국 <국문학사> 기술에 보이는 '친일문학(이중언어 문학)'의 위치와 변용 언과 불언의 사이: 마스기 시즈에의 '국책문학'서사와 대만
Ⅱ. 친일, 황민화 문학에 나타난 아시아 주의와 아시아 표상 '동문'의 경계 이동에서 바라본 대만 문학의 특성 대만 고전시학에 나타난 우정갱가의 전통문화 서방의 뮤즈와 동방의 뮤즈 야담잡지를 통한 역사소설가로서의 김동인 재조명 유진오의 「여름」, 「복남이」 소고 파시즘 미학의 소설 형상화 방식 탐정소설과 식민지적 아이덴티티
Ⅲ. 여성, 지식인, 아동의 전쟁동원과 문학 전쟁동원, 일생생활, 대만여성: 『롼무비일기』를 중심으로 최정희의 문학에 나타난 여성성과 전쟁동원논리 이시카와 다쓰조의 「봉청화」론 식민지말 일제의 항공정책과 아동의 전쟁동원 식민지 조선의 저항문학으로서의 아동문학
Ⅳ. 내지, 외지 지식인의 이동과 인적 네트워크 '대동아' 중의 지식과 문학 '내지'로 이동한 김종한 시 대동아공영권의 지도자로서 재 대만 내지인 작가 동인잡지 『문예수도』를 통해 보는 식민지 작가의 글쓰기에 대한 제국 독자들의 독서 상상 '동아의학' 이라는 문제영역
참고문헌
이용현황보기
동아시아 문학의 실상과 허상 : 한국 친일문학과 대만 황민(皇民)문학의 대화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