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재활서비스헌장
목차
1. 인지와 인지재활 / 김은주 4
2. 가정에서의 인지재활 / 권재성 18
1. 인지 훈련의 이해 19
1) 인지란 무엇인가? 19
2) 환경을 어떻게 지각하는가? 20
3) 어떻게 학습하는가? 22
4) 어떻게 행동이 변하는가? 22
5) 뇌 손상과 인지 기능 23
6) 퇴행성 뇌병변과 인지 기능 23
2. 가정환경 인지 재활 훈련 활동 24
1) 관찰과 면접을 통하여 평가할 항목 24
2) 활동 개입의 원칙 25
3) 활동선정 시 고려사항 25
4) 인지강화 훈련 활동의 영역 26
5) 일상 환경 인지훈련 프로그램 26
6) 인지 기능영역 별 활동 사례 29
7)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 활동 42
3. 작업수행과 인지 - 일상생활동작(ADL) 과 인지 - / 임문희 44
4. 컴퓨터프로그램을 활용안 인지재활 / 전선영 50
1. 인지란 무엇인가 50
2. 인지능력에 속하는 기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51
3. 인지 재활의 중요성 및 목적은 무엇인가 52
4. 전산화인지재활이란 무엇인가 52
가. 전산화인지재활에 사용되는 인지 평가 및 훈련 프로그램으로 어떤 것이 있는 가 53
나. 전산화인지재활 프로그램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60
다. 전산화인지프로그램을 이용한 재활 치료적 접근 방향은 무엇인가 60
5.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들 61
가. 지남력(Orientation) 61
나. 주의집중력(Attention) 63
다. 기억력(Memory) 64
5. 인지손상환자의 운전재활 / 최현 67
1. 운전과 인지 67
2. 인지손상 환자와 특징 70
가. 인지손상환자란? 70
나. 뇌졸중 71
다. 외상성 뇌손상 72
라. 노인 73
3. 인지손상환자의 운전재활 74
4. 국립재활원의 운전재활 75
5. 인지손상 환자를 위한 운전재활의 나아가야 할 방향 77
참고문헌 78
6. 인지재활의 심리적 접근 / 김효진 79
7. 장애인의 성재활 상담 / 유정아 90
1. 성관계의 치료효과(Healing Effect) 91
가. 여러 가지 통증을 없애 준다. 91
나. 근육의 긴장을 이완시켜 준다. 91
다. 신진대사를 촉진해 준다. 92
라. 피부가 고와지고 윤기가 흐르게 된다. 92
마. 월경주기를 확실하게 만들어 준다. 92
바. 여성의 경우, 질 내의 건강을 유지해 준다. 92
사. 남성의 경우, 전립선을 보호해 준다. 92
아. 남성의 경우, 성기의 기능을 계속해서 보존할 수 있다. 93
자. 자긍심을 높여주고 정신건강을 유지해 준다. 93
차. 가정을 화목하게 만들어 부부의 금실은 물론 자녀를 위한 가정교육에 좋은 표본이 된다. 93
2. 성상담의 절차 및 방법 93
3. 척수 장애인의 성재활 96
가. 기능상의 변화 96
나. 척수 손상과 심리적인 문제 97
4. 뇌졸중 장애인의 성재활 99
가. 뇌졸중 후 성생활을 하면 재발을 일으키지 않나요? 100
나. 배우자가 성관계를 거절하지는 않을까요? 100
다. 뇌졸중 환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성문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100
라.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약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101
마. 뇌졸중 발병 이후 언제부터 성생활이 가능한가요? 101
바. 성생활을 다시 시작하고 싶습니다. 주의해야 할 점이 있나요? 101
사. 질이 건조하여 성교가 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102
아. 뇌졸중 이후 감각에 이상이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102
8. 가족의 심리와 상담 / 유양숙 103
9. 공감 / 윤화영 117
1. 공감(empathy 共感)의 사전적 의미 117
2. 공감의 심리학적 의미 118
3. 공감을 위한 필수 조건 119
10. 장애인 심리치료 / 임호찬 126
1. 심리·사회적 재활의 기초 126
가. 적응을 저해하는 요인 126
나. 심리·사회적 재활의 성격 127
다. 심리·사회적 재활 방법 128
라. 지역사회 자원의 조직과 운영의 활성화 129
마. 생태학적 접근 중심의 프로그램 적용 130
바. 장애인 가족상담 131
사. 부정적 장애의식의 개선 132
2. 장애에 따른 자아형성 134
가. 외상 혹은 결함의 중요성 137
나. 사고 이전손상 유무 137
3. 심리적 적응단계 138
가. 충격 138
나. 부정 139
다. 우울반응 140
라. 독립에 대한 저항 141
마. 적응 142
바. 대응 전략 143
11. 장애인의 심리적 역량강화 / 최은영 146
1. 재활의 기본 이념 146
2. 장애로 인한 심리적 영향 146
가. 장애심리와 의식 형성의 원리 146
나. 장애인의 적응과 관련된 두 심리적 사태 147
다. 장애인의 적응을 저해하는 심리·사회적 요인 148
라. 장애인의 자기파괴적 사고유형 및 접근(Robertson & Brown, 1992) 148
3. 역량강화 패러다임 152
4. 심리적 역량강화 153
5. 심리적 역량강화를 위한 통합적 접근 157
가. 사람-환경의 관점 157
나. 전인적 인간 및 적응의 관점 157
6. 실제 적용의 예 157
가. 지적장애인을 위한 KEAD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이민영, 홍자영, 구인순, 김명실, 김은숙, 2012) 157
나. 청각장애인을 위한 KEAD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김경애, 구인순, 안태희, 윤중오, 이민영, 진흥섭, 2012) 159
다. 장애수용 및 직업탐색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최은영, 조경은, 2011) 160
라. 선-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김보경, 이상훈, 한현민, 안정애, 최은영, 2008) 161
참고문헌 163
판권기 16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817809 | 362.4 -13-3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817810 | 362.4 -13-3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