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10

Ⅰ. 서론 54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54

2. 선행연구 58

3. 연구목적, 연구방법 및 연구구성 60

Ⅱ. 국민연금 대체투자 개관 62

1. 대체투자 현황 62

가. 대체투자 투자규모 추이 62

나. 국내부동산 64

다. 국내SOC 67

라. 국내사모(기타대체) 70

마. 해외부동산 72

바. 해외인프라 74

사. 해외사모 75

2. 벤치마크의 필요요건 및 현실적 한계 76

가. 벤치마크의 일반요건 76

나. 대체투자 벤치마크 설정 상의 한계 및 문제점 77

3. 현행 벤치마크의 개요 79

가. 국내사모 79

나. 국내부동산 80

다. 국내SOC 81

라. 해외사모 82

마. 해외부동산 82

Ⅲ. 국민연금 대체투자 벤치마크 SWOT분석 85

1. 벤치마크 설정 개요 85

가. 기본방향 85

나. 벤치마크 설정결과 86

다. 설정과정 상의 주요 쟁점사항 88

라. 기타 쟁점사항 127

2. 자산군별 벤치마크 SWOT분석 133

가. 국내사모 133

나. 국내부동산 135

다. 국내SOC 138

라. 해외사모 141

마. 해외부동산 142

바. 해외인프라 146

3. SWOT 대응방안 148

가. 국내사모 대응방안 148

나. 국내부동산 대응방안 149

다. 국내SOC 대응방안 151

라. 해외사모 대응방안 151

마. 해외부동산 대응방안 152

바. 해외인프라 대응방안 153

Ⅳ. 대체투자 벤치마크 프리미엄 개선방안 154

1. 국내사모 154

가. BM산출의 기초공식 154

나. 대리변수와 프리미엄 결정 155

2. 국내부동산 160

가. BM산출의 기초공식 160

나. 대리변수와 프리미엄 결정 161

3. 국내SOC 173

가. BM산출의 기초공식 173

나. 대리변수와 프리미엄 결정 174

4. 해외사모 179

5. 해외부동산 180

6. 해외인프라 182

Ⅴ. 결론 185

1. 주요 연구결과 185

가. 국내 대체투자 벤치마크 및 프리미엄 개선방안 185

나. 벤치마크 설정과 관련한 SWOT분석결과 187

2. 정책적 시사점 198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203

참고문헌 205

판권기 217

표목차

[표 Ⅰ-1] 대체투자 성과평가 벤치마크 설정 관련 주요 추진경과 58

[표 Ⅱ-1] 국민연금 대체투자 규모 추이 63

[표 Ⅱ-2] 국민연금 대체투자 투자수익률 64

[표 Ⅱ-3] 투자방식별 국민연금 국내부동산 투자추이 65

[표 Ⅱ-4] 투자유형별 국민연금 실물부동산 투자추이 65

[표 Ⅱ-5] 시설용도별 국민연금 실물부동산 투자비중 추이 66

[표 Ⅱ-6] 투자유형별 국민연금 국내부동산프로젝트 투자추이 66

[표 Ⅱ-7] 국민연금 국내부동산 투자성과 67

[표 Ⅱ-8] 사업유형별(건설/운영) 국민연금 국내SOC 투자추이 67

[표 Ⅱ-9] 사업유형별(투자방식) 국민연금 국내SOC 투자추이 68

[표 Ⅱ-10] 투자방식별 국민연금 국내SOC 투자추이 68

[표 Ⅱ-11] 투자유형별 국민연금 국내SOC 투자추이 69

[표 Ⅱ-12] 국민연금 국내SOC 투자성과 69

[표 Ⅱ-13] 국내사모(기타대체) 세부자산군별 투자추이 70

[표 Ⅱ-14] 국내사모 PEF 및 CRC의 프로젝트 투자추이 71

[표 Ⅱ-15] 국민연금 국내사모(기타대체) 투자성과 71

[표 Ⅱ-16] 투자유형별 해외부동산 투자추이 72

[표 Ⅱ-17] 투자지역별 해외부동산 투자비중 추이 73

[표 Ⅱ-18] 투자지역별 해외부동산프로젝트 투자비중 추이 73

[표 Ⅱ-19] 국민연금 해외부동산 투자성과 74

[표 Ⅱ-20] 국민연금 해외인프라 투자현황 74

[표 Ⅱ-21] 국민연금 해외인프라 투자성과 75

[표 Ⅱ-22] 투자유형별 국민연금 해외사모 투자비중 추이 75

[표 Ⅱ-23] 국민연금 해외사모 투자성과 76

[표 Ⅲ-1] 국내사모(기타대체투자)의 지분형과 대출형 비중 90

[표 Ⅲ-2] 국내사모 수익률 및 벤치마크 수익률 91

[표 Ⅲ-3] 국내사모BM 운용본부안의 적용결과 95

[표 Ⅲ-4] IPD 한국 부동산 지수 참여기관(18개기관) 99

[표 Ⅲ-5] IPD인덱스 투자성과 비교분석 99

[표 Ⅲ-6] 국내부동산투자 BM안에 따른 성과분석결과 비교 101

[표 Ⅲ-7] 국내SOC투자 투자유형별 현황 102

[표 Ⅲ-8] 국내SOC투자 직접운용 세부투자 현황 103

[표 Ⅲ-9] 해외사모투자 세부 투자유형 110

[표 Ⅲ-10] 해외사모투자 Peer Group Index 사례 111

[표 Ⅲ-11] 해외연기금 중 공정가치 평가를 유예하는 기관의 사례 112

[표 Ⅲ-12] 동종유형(peer Group) 벤치마크 113

[표 Ⅲ-13] Large Buyout 벤치마크 113

[표 Ⅲ-14] 해외사모투자 Peer Group 벤치마크 사례 분석 115

[표 Ⅲ-15] 해외사모투자 동종유형 비교지수(Peer Group Index) 사례 118

[표 Ⅲ-16] 국민연금 해외부동산 투자비중 및 IPD지수 반영비중 122

[표 Ⅲ-17] OECD국가 평균CPI 연도별 추이('00.~'09. 연말기준) 124

[표 Ⅲ-18] 해외인프라투자 현황 125

[표 Ⅲ-19] 우리나라 및 OECD 국가 평균 CPI 연도별 추이('01.~'10.) 126

[표 Ⅲ-20] 약정금액 100 기준 연 1.5% 운용보수 지급시 사례 예시 129

[표 Ⅲ-21] 현재 수익률 산출 방식 예시 131

[표 Ⅲ-22] 국내채권 직접운용 BM과 기타대체 채권형의 스프레드 159

[표 Ⅳ-1] 지분형 투자 프리미엄 산출 기초자료 157

[표 Ⅳ-2] 지분형 투자 프리미엄 산출결과 158

[표 Ⅳ-3] 국내사모투자 신규벤치마크 시뮬레이션 결과 160

[표 Ⅳ-4] 국내부동산 예상초과수익률(CPI상승률 대비) 추이 161

[표 Ⅳ-5] CPI상승률 대비 IPD Korea Index 수익률 초과수준 추이 163

[표 Ⅳ-6] 국내부동산 신규벤치마크 시뮬레이션 결과 164

[표 Ⅳ-7] 국내부동산 투자현황 164

[표 Ⅳ-8] 국내부동산 유형별 투자현황 165

[표 Ⅳ-9] 국내부동산 지분형 대 대출형 투자 현황 166

[표 Ⅳ-10] 상업용 부동산 수익률 167

[표 Ⅳ-11] 국토해양부 및 IPD 투자수익률 비교 168

[표 Ⅳ-12] 국내 거시경제 중장기 동향 169

[표 Ⅳ-13] 국내부동산 시장 및 거시경제 중장기 동향과 연기금수익률 비교 169

[표 Ⅳ-14] BTO 민간투자사업 적정수익률 175

[표 Ⅳ-15] BTL사업 수익률의 CPI대비 초과수준 추정 176

[표 Ⅳ-16] 국내SOC투자 전체 수익률의 CPI상승률대비 초과수준 추정 176

[표 Ⅳ-17] 신규벤치마크 시뮬레이션 177

[표 Ⅳ-18] 국내SOC투자 벤치마크 프리미엄 개선방안 적용결과 179

[표 Ⅳ-19] 국민연금 해외사모투자 신규 벤치마크 시뮬레이션 결과 180

[표 Ⅳ-20] 국민연금 해외사모투자 신규 벤치마크 시뮬레이션 결과 182

[표 Ⅳ-21] 국민연금 해외인프라투자 신규 벤치마크 시뮬레이션 결과 184

그림목차

[그림 Ⅰ-1] 현행 대체투자 벤치마크의 설정 체계 57

[그림 Ⅲ-1] 국내부동산투자 BM안에 따른 성과분석결과 비교 101

[그림 Ⅲ-2] MSCI 지수 수익률 추이 109

[그림 Ⅲ-3] 기금 해외사모투자 포트폴리오 자금 입출 추이 112

[그림 Ⅲ-4] 해외사모투자 포트폴리오 전략별 구성 비중('11.09.30.기준) 114

[그림 Ⅲ-5] 해외부동산 국가별 투자비중 현황('11. 6월말 기준) 121

[그림 Ⅳ-1] CPI상승률 대비 국토부 투자수익률 추계자료 비교 162

[그림 Ⅳ-2] 미국 CPI상승률과 NPI Index 수익률 비교 162

[그림 Ⅳ-3] 유형별 연기금 부동산 투자현황('11년 9월 기준) 166

[그림 Ⅳ-4] 투자자산의 용도별 투자현황 167

[그림 Ⅳ-5] 연간시계열과 연기금수익률 비교 171

[그림 Ⅳ-6] 3개년 이동평균시계열과 연기금수익률 비교 171

[그림 Ⅳ-7] 5개년 이동평균시계열과 연기금수익률 비교 171

[그림 Ⅳ-8] 국토부수익률 가중치(w1) 시뮬레이션 결과 172

[그림 Ⅳ-9] 국내부동산 합성지수 BM수익률과 연기금수익률 비교 173

[그림 Ⅳ-10] 물가연동채권의 금리 추이 174

[그림 Ⅳ-11] 만기별 국고채 금리추이 178

이용현황보기

국민연금 대체투자 벤치마크의 프리미엄 설정에 관한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821693 332.67254 -13-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