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1부 6
Ⅰ. 개요 8
1.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개요 9
1.1. 개요 및 범위 9
1.2. 필요성 및 목적 10
1.3. 구성체계 12
Ⅱ. 유니버설디자인의 이해 14
1/2. 유니버설디자인의 개요 15
1.1.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 및 범위 15
1.2. 유니버설디자인의 원리와 원칙 17
1.3. 유니버설디자인의 접근방법 19
2.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사용자 21
2.1. 영유아, 어린이 및 동반가족 21
2.2. 임산부 21
2.3. 외국인 및 관광객 22
2.4. 노인 22
2.5. 장애인 22
Ⅲ. 조사 및 분석 26
1. 경기도의 특성 27
1.1. 일반현황 27
1.2. 경기도민의 다양성 28
2.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 현황 35
2.1. 현장조사 35
2.2. 관련조직 및 추진사업 40
3. 국내ㆍ외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동향 41
3.1.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동향 41
3.2. 국외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동향 46
4. 종합분석 50
4.1. 시사점 50
4.2.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의 방향 51
Ⅳ.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 52
1.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 53
1.1.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의 기본 개념 53
1.2.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의 7원칙 54
2.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 실천방안 56
2.1. 단계별 추진전략 56
2.2. 법제화 방안 58
2.3. 정책 및 사업 방안 61
2부 66
Ⅰ. 가이드라인 개요 68
1. 가이드라인 개요 69
1.1. 정의 69
1.2. 가이드라인 범위 70
1.3/1.2. 가이드라인 구성 71
Ⅱ. 공공공간 72
1. 공공공간 개요 73
1.1. 개요 73
2. 가로 79
2.1. 정의 및 적용대상 79
2.2. 보도 80
2.3. 보차도 분리 86
2.4. 횡단보도 88
2.5. 차량진출입부 95
2.6. 속도저감시설 97
2.7. 자전거도로 100
3. 공원 104
3.1. 정의 및 적용대상 104
3.2. 공원 입구 105
3.3. 공원 보행로 109
3.4. 화장실 113
3.5. 휴게시설 116
3.6. 편의시설 120
3.7. 안내시설 122
Ⅲ. 공공건축물 126
1. 공공건축물 개요 127
1.1. 개요 127
2. 공통공간 133
2.1. 정의 및 적용대상 133
2.2. 접근공간 134
2.3. 이동공간 151
2.4. 위생공간 171
3. 개별 공공건축물 186
3.1. 공공청사 186
3.2. 문화ㆍ복지시설 193
3.3. 교통시설 200
3.4. 환경시설 204
Ⅳ. 도시기반시설물 206
1. 도시기반시설물 개요 207
1.1. 개요 207
2. 도시기반시설물 210
2.1. 보도육교 210
2.2. 지하보도 214
Ⅴ. 가로시설물 216
1. 가로시설물 개요 217
1.1. 개요 217
2. 교통시설물 220
2.1. 정의 220
2.2. 보도펜스 221
2.4. 버스ㆍ택시 승차대 224
2.5. 신호기 227
3. 편의시설물 229
3.1. 정의 229
3.2. 음수대 230
3.3. 벤치 231
3.4. 공중전화 233
4. 공급시설물 235
4.1. 정의 235
4.2. 맨홀 236
4.3. 배전함ㆍ가로등제어함 등 237
Ⅵ. 공공정보매체 238
1. 공공정보매체 개요 239
1.1. 개요 239
2. 공공정보매체 242
2.1. 시각정보 242
2.2. 촉각ㆍ청각ㆍ후각정보 248
2.3. 안내시설물 250
[부록 1] 참여자 교육프로그램 259
[부록 2] 국외 유니버설디자인 사례 269
참고문헌 280
판권기 281
1부 11
〈그림 1-1〉 경기도의 다양한 지역 특성 11
〈그림 1-2〉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구성체계 12
〈그림 2-1〉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 15
〈그림 2-2〉 유니버설디자인의 범위 16
〈그림 2-3〉 유니버설디자인과 무장애디자인 16
〈그림 2-4〉 유니버설디자인의 접근방법 19
〈그림 2-5〉 연속된 장면의 설정 및 평가/검증 예시 : 공공건축물 20
〈그림 3-1〉 시사점 51
〈그림 3-2〉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의 방향 51
〈그림 4-1〉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 53
〈그림 4-2〉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의 7원칙 54
〈그림 4-3〉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 추진전략 56
〈그림 4-4〉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의 중점정책 61
2부 69
〈그림 1-1〉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과 경기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과의 관계 69
〈그림 1-2〉 경기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범위 70
〈그림 2-1〉 경기도 공공공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대상 73
〈그림 2-2〉 공공공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기본원칙 74
〈그림 2-3〉 가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대상 79
〈그림 2-4〉 공원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대상 104
〈그림 3-1〉 경기도 공공건축물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대상 127
〈그림 3-2〉 공공건축물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기본원칙 128
〈그림 3-3〉 공통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대상 133
〈그림 3-4〉 접근공간의 공간요소 134
〈그림 3-5〉 이동공간의 공간요소 151
〈그림 3-6〉 위생공간의 공간요소 171
〈그림 4-1〉/〈그림 4-2〉 도시기반시설물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기본원칙 208
〈그림 5-1〉 가로시설물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대상 217
〈그림 5-2〉 가로시설물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기본원칙 218
〈그림 6-1〉 공공정보매체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적용대상 23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826219 | 711.4095195 -13-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826220 | 711.4095195 -13-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