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9

Ⅰ. 서론 26

Ⅱ. 총요소생산성의 개념과 기존 연구결과의 비교 30

1. 총요소생산성의 개념 31

2. 총요소생산성의 국내외 측정사례 비교 32

3. 성장률 기여요인 분해결과의 비교 37

Ⅲ. 총요소생산성 측정과 성장기여도의 분석 44

1. 원형 총요소생산성(Primal Total Factor Productivity)의 측정과 성장요인 분해 45

2. 쌍대 총요소생산성(Dual Total Factor Productivity)의 측정을 통한 검증 52

Ⅳ. 경제성장에서 기술진보의 역할 측정 57

1. 총요소생산성과 기술진보의 차이 58

2. 완전경쟁 가정의 완화를 통한 기술진보의 측정 60

3. 규모의 보수와 기술진보의 통계적 추정 64

Ⅴ. 결론 69

참고문헌 73

부록 75

판권기 83

[첨부] 국회예산정책처, 「총요소생산성의 추이와 성장률 변화요인 분석」 발간 84

[참고] 총요소생산성의 추이와 성장률 변화요인 분석 주요 내용 86

표목차

[표 1]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국제비교: 한국생산성본부(2012) 35

[표 2]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국제비교: OECD(2012) 36

[표 3]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국제비교: The Conference Board(2012) 37

[표 4] 기존 연구의 우리나라 성장률 기여요인 분석 결과 비교 39

[표 5] 원형 총요소생산성(Primal TFP) 측정 결과 49

[표 6] 산업별 성장요인 분해 51

[표 7] 원형 및 쌍대총요소생산성의 비교(1988~2006) 55

[표 8] Hall 총요소생산성 측정 결과 62

[표 9] Hall 총요소생산성을 이용한 성장요인의 분해 63

[표 10] 기술진보 및 규모의 보수 추정 결과 67

[표 11] 한계비용 초과가격(Markup) 측정 결과 68

그림목차

[그림 1] 부가가치 증가율에 대한 기여비중 국제비교: 노동투입 41

[그림 2] 부가가치 증가율에 대한 기여비중 국제비교: 자본투입 42

[그림 3] 부가가치 증가율에 대한 기여비중 국제비교: 총요소생산성 43

[그림 4] 세금을 고려한 투자 1원당 사전적 사용자 비용 54

[그림 5] 원형 및 쌍대 총요소생산성의 비교(1988~2006) 56

부록표목차

[부록표 1] 성장요인 분해: OECD 자료 이용 75

[부록표 2] 성장요인 분해: The Conference Board 자료 이용 78

[부록표 3] 성장요인 분해: 한국생산성본부 자료 인용 81

이용현황보기

총요소생산성의 추이와 성장률 변화요인 분석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834862 338.06 -13-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834863 338.06 -13-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834864 338.06 -13-3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