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 1장 춤, 사유로 읽다
춤 읽기, 미학, 실존, 철학, 오브제 투르베,
무의식,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형식미학,
주정주의, 미, 표현, 예술, 고전주의,
개념무용, 모방, 추, 자연, 엔투시아스모스, 총체성

제 2장 춤, 일상으로 보다
눈, 색, 패션, 가면, 욕망, 음악, 유희
문학, 회화, 재즈, 몸, 스캔들, 집시,
타나토스, 알레아토릭, 아카데미

제 3장 춤, 과학과 만나다
필름댄스, 버추얼 퍼포먼스,
인터렉티브 아트, 미디어, 소통, 패러디,
레디 메이드, 광고, 컨버전스

제 4장 춤, 사회와 공존하다
주술, 정치, 법, 외설,
혁명, 페미니즘, 여성, 마녀, 게이,
남성, 이교도, 공동체, 타자, 얼터리티,
키치, 퀴어, 유물론, 낯설게 하기

주 400
그림목차 417
참고자료 421
부록 431
찾아보기 473

이용현황보기

춤, 테마로 읽다 = Thematic approach to dance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862222 792.8 -13-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901755 792.8 -13-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901756 792.8 -13-3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본 서는 특정 테마를 중심으로 역사 속 예술을 주목하고, 춤의 가치와 움직임을 언어로 실체화하는 데 주력하였다. 과거 역사 속 무용의 흔적과 의미를 해석하고 평가하는 동시에 포스트모던 이후 명명되지 못하고 난항을 거듭한 컨템포러리 무용의 단층적 모습을 키워드로 접근하여 춤의 현상과 개념을 파피에 콜레(papier colle)처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의 서술은 포스트히스토(post-histoire)와 시간 진행으로서의 역사 서술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전통과 해체, 그리고 변증법적인 노력으로 잉태된 테마가 춤과의 연결고리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중서로서의 이해와 관심을 도모하기 위해 삽화와 사진을 삽입하고 예술의 다양한 해석을 통해 춤에 관한 이해의 기반을 다지는 데 중점을 두었다.
춤이 단지 눈에 보이는 무대 위의 현상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고를 통해 열정을 불어넣는 매개로서 그리고 학문적 논의의 대상으로서 받아들여지기를 기원하는 데 있다. 본서가 춤에 관한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고 학제간의 연구로 이어지는 데 효과적인 밑거름이 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