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제1부 장애인 직업교육 이론>
제1장 장애인 직업교육 개요
제2장 직업교육과정
제3장 직업평가
제4장 전환교육
제5장 직업교육 관련 법규 및 제도

제2부 장애인 직업교육 실제>
제6장 특수학교 직업교육 운영의 실제
제7장 특수학급 직업교육
제8장 장애학생 직업교육 및 평생교육 정책
제9장 직무 분석 및 직무 개발
제10장 직업상담 및 사례관리
제11장 지원고용 및 네트워크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장애인 직업교육의 이론과 실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869899 371.9 -13-4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869900 371.9 -13-4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오늘날 모든 사람들의 견해가 같은 것은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이 특수교육의 목적은 미래 사회의 삶을 준비하는 데 있고, 그 삶의 질은 주로 직업생활의 성공 여부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고 말한다. 교육부 등 정부에서도 이러한 관점을 받아들여 특수교육 관련 법규나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왔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진로 및 직업교육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전공과 설치·운영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고,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5~6학년군의 실과와 중학교·고등학교의 진로와 직업, 그리고 선택교육과정의 전문교과의 하나인 직업 교과에 이르는 연속적이고 광범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직업교육은 특수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높아져 감에 따라 그에 따른 특수교육 관련자들의 책무도 점차 무거워지고 있다. 이 무거운 짐을 특수교육 분야에서 직접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만 지울 수는 없다. 특수교육교원이라면 누구나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직업교육에 어떤 형태로든 관여하고 있고 또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대상 학생들이 졸업 후 일을 하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미리 준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특수교육 종사자, 그리고 장애인의 직업교육이나 직업훈련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집필되었다.
이 책은 Ⅰ부 이론편과 Ⅱ부 실제편으로 나뉜다. 이 책에서의 이론은 여느 분야처럼 심오한 학문적 이론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직업교육과정, 관련 법규, 직업평가, 전환교육 등 학교나 직업훈련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제와 구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용어다. 그리고 실제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서의 직업교육, 평생교육, 직무분석·직무개발, 직업상담·사례관리, 지원고용·네트워크 등 실제로 직업교육이나 직업훈련이 실시되고 있는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