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5

제1장 서론 21

1. 문제제기 22

2. 기존 연구 검토와 이론적 설명틀 30

가. 중국 노동시장, 특히 중국의 청년노동시장에 관한 기존 연구 30

나. 중국 조선족 동포, 특히 조선족 청년에 관한 기존 연구 32

다. 이민과 소수 인종의 사회통합에 관한 기존 이론 검토 33

라/나. 조선족 청년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 39

3. 연구방법과 연구대상 44

가. 연구방법 44

나. 연구대상 46

다. 면담대상자 47

라. 면담대상자의 특성 58

제2장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 교육과 노동시장 진출 61

1. 중국의 산업화와 노동시장 변화 62

가. 중국의 산업화와 산업별 고용의 변화 62

나. 중국의 노동시장 개혁 65

다. 도시로 대량이주한 중국의 농민공 68

라. 대졸자들의 노동시장 71

2. 조선족의 대량 이주와 조선족 청년들의 교육 79

가. 중국 조선족 집거지역 인구의 감소 및 인구구성의 심각성 80

나. 중국 도시로의 대량 이주 85

다. 노무제공목적의 한국으로의 대량 이주 89

라. 중국 조선족의 해외 이주 95

마. 중국 조선족의 대량이주와 조선족 학교의 축소 97

바. 조선족들의 대량 이주를 반영하여 104

3. 조선족 청년들의 교육과 이주 106

가. 조선족 청년들의 진학과 교육수준 106

나. 과거의 진학과 단조로운 노동시장 진출 형태 110

다. 조선족 청년들의 대학진학과 이주 113

4. 중국 조선족 청년들의 지역별 노동시장 진출의 다양성 115

가. 베이징(북경) 116

나. 상하이 132

다. 다롄(대련) 134

라. 칭따오(청도) 143

마. 센양(심양) 150

바. 연변 151

사. 장춘 157

5. 조선족 청년들의 대학 진학, 이주 및 취업경로 167

가. 학력별 대학진학에 따른 이주 167

나. 대학졸업 후 학력별, 학교순위별 노동시장 진출 170

6. 중국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 형태와 유형 185

가. 중국 조선족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출-분화와 계층성 185

나.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과 언어능력 191

다. 조선족 청년들에 대한 재중 한국기업 취업 수요의 변화 196

라.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 후 취업과 생활환경 206

제3장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과 언어 및 문화 210

1. 언어적 능력, 언어적 동화와 다언어 구사능력 211

가. 언어적 능력과 언어적 동화(linguistic assimilation) 211

나. 조선족 청년들의 해외진출과 다언어 능력 219

2. 문화적 공유와 문화적 차이 224

가. 조선족 청년들의 한국문화 공유 225

나. 조선족 청년들과 한국주재원 간의 문화적 차이와 갈등 227

다. 한족과의 결혼 증가 234

제4장 요약과 결론-조선족 청년들의 장래 전망과 과제 239

1.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의 한계와 전망 240

가. 한국인과 조선족 청년들로 구성된 민족 고용집중처 형성 240

나. 한국기업과 조선족 청년들의 상호의존적 공생협력과 내부의 갈등 243

다. 조선족 선후배 세대 간의 기회의 차이 245

라. 한족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의 어려움 247

마. 조선족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출 전망 248

2. 중국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 노동시장 진출 속 문화적 동화 vs 조선족 네트워크의 재구축 250

가. 조선족 청년들의 한족사회로의 문화적 동화 250

나. 인종적 고용집중처를 통한 정체성 유지 253

다. 조선족 청년들의 국제화 속 다원화된 분화 254

3. 조선족 미래세대의 민족교육 위기와 분절화된 동화 257

4. 중국 내 도시 조선족 공동체의 전망 259

5. 조선족 동포 정책에 주는 함의 264

6.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270

참고문헌 272

판권기 3

표목차

표 1-1. 면담대상자 기본사항 49

표 2-1. 중국의 각 산업의 GDP 비중 62

표 2-2. 중국의 산업별 고용구조의 변화 63

표 2-3. 소유형태별 고용의 질적 변화 63

표 2-4. 각 성과 도시간 임금격차 64

표 2-5. 농민공들의 출신지역과 취업지역 69

표 2-6. 대학신입생수, 대학재학생수 및 대졸자수 71

표 2-7. 조선족 인구의 변화 80

표 2-8. 연변조선족 인구가 연변조선족 자치주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 82

표 2-9. 중국 조선족 연령별, 성별 인구구성 83

표 2-10. 조선족과 중국의 한족 및 중국 전체와 도시로 이주 비교 86

표 2-11. 중국 조선족의 지리적 분포(2010년 기준) 87

표 2-12. 연도별 중국조선족 동포 체류자 추이 90

표 2-13. 한국정부의 중국 조선족 동포관련 출입국, 방문, 취업정책 91

표 2-14. 중국 조선족의 한국 체류 현황 : 2012년 1월 기준 93

표 2-15. 연변조선족 소학교, 중/고등학교의 학교수와 학생수의 변화 98

표 2-16. 연변조선족자치주의 2006년~2009년 사이에 도시와 농촌의 학생수 비교 99

표 2-17. 1982년 인구 10만명당 연변조선족과 전국의 최종학력 비교표 106

표 2-18. 중국 조선족, 한족 및 기타 소수민족의 대학학력자 비율 107

표 2-19. 2000년, 2010년 인구조사 중 6세 이상 조선족과 한족인구의 학력 비교 109

표 2-20. 1980년대 베이징(북경) 진출 조선족 1세대 119

표 2-21. 1990년 중후반 베이징(북경)에 진출한 1970년대 출생 세대 123

표 2-22. 2000년대 베이징(북경)에 진출한 30대 125

표 2-23. 1980년대 출생 세대 대졸자들의 베이징(북경) 진출 128

표 2-24. 다국적 기업에 취업한 30대 전반의 조선족 청년그룹 132

표 2-25. 다롄(대련) HP 한국팀 인터뷰 대상자 개요 135

표 2-26. 다롄(대련) HP 일본팀 인터뷰 대상자 개요 137

표 2-27. 다롄(대련) IBM 일본팀 인터뷰 대상자 개요 138

표 2-28. 다롄(대련) IBM 한국팀 인터뷰 대상자 개요 140

표 2-29. 칭따오(청도)청년층A 인터뷰 대상자 개요 143

표 2-30. 칭따오(청도)청년층B 인터뷰 대상자 개요 145

표 2-31. 칭따오(청년)장년층A 인터뷰 대상자 개요 146

표 2-32. 칭따오(청도)장년층B 인터뷰 대상자 개요 147

표 2-33. 센양(심양) 인터뷰 대상자 개요 150

표 2-34. 연변의 공무원, 공공사업단위에 취업한 조선족 청년 152

표 2-35. 연길의 한국기업에 고용된 조선족 청년 153

표 2-36. 장춘에 정착한 조선족 40대 158

표 2-37. 장춘 한국대기업에 취업한 조선족 청년 161

표 2-38. 조선족 청년의 직장 유형과 학력ㆍ언어능력ㆍ전공의 관계 191

표 4-1. 중국 조선족 청년 직종과 정체성 262

그림목차

그림 1-1. 조선족청년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 설명요인 39

그림 1-2. 특정 민족(인종)의 지리적 집거촌에서 특정 민족의 고용집중처로 41

그림 2-1. 중국에서 매년 배출되는 대졸자수 73

그림 2-2. 대학원생과 졸업자수 74

그림 2-3. 연도별 대졸자들의 기대월급 75

그림 2-4. 학력별 기대월급의 추이 76

그림 2-5. 중국의 해외유학과 귀환 77

그림 2-6. 중국 조선족 연령별, 성별 피라미드 84

그림 2-7. 과거의 조선족 청년들의 학교와 취업경로 111

그림 2-8. 중국 산업화 이후 조선족 청년들의 학교졸업과 취업경로 171

그림 2-9. 조선족 청년 해외유학생들의 취업경로 172

그림 2-10. 중국 대도시 명문대학 졸업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경로 173

그림 2-11. 중국의 우수대학을 졸업한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경로 176

그림 2-12. 중간 이하 대학졸업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경로 179

그림 2-13. 3류 대학, 전문대 졸업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경로 180

그림 2-14. 대학미진학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진로 182

그림 2-15. 조선족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출의 계층화 189

그림 2-16. 중국내 조선족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양상 190

그림 4-1. 조선족 청년들의 대도시, 연해도시로의 이주 251

그림 4-2. 노동시장 진출과 언어/문화 및 동화 253

그림 4-3. 조선족 청년들의 중국내외 진출 255

이용현황보기

중국 조선족 청년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972200 331.6252 -14-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972201 331.6252 -14-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