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5
제1장 서론 21
1. 문제제기 22
2. 기존 연구 검토와 이론적 설명틀 30
가. 중국 노동시장, 특히 중국의 청년노동시장에 관한 기존 연구 30
나. 중국 조선족 동포, 특히 조선족 청년에 관한 기존 연구 32
다. 이민과 소수 인종의 사회통합에 관한 기존 이론 검토 33
라/나. 조선족 청년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 39
3. 연구방법과 연구대상 44
가. 연구방법 44
나. 연구대상 46
다. 면담대상자 47
라. 면담대상자의 특성 58
제2장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 교육과 노동시장 진출 61
1. 중국의 산업화와 노동시장 변화 62
가. 중국의 산업화와 산업별 고용의 변화 62
나. 중국의 노동시장 개혁 65
다. 도시로 대량이주한 중국의 농민공 68
라. 대졸자들의 노동시장 71
2. 조선족의 대량 이주와 조선족 청년들의 교육 79
가. 중국 조선족 집거지역 인구의 감소 및 인구구성의 심각성 80
나. 중국 도시로의 대량 이주 85
다. 노무제공목적의 한국으로의 대량 이주 89
라. 중국 조선족의 해외 이주 95
마. 중국 조선족의 대량이주와 조선족 학교의 축소 97
바. 조선족들의 대량 이주를 반영하여 104
3. 조선족 청년들의 교육과 이주 106
가. 조선족 청년들의 진학과 교육수준 106
나. 과거의 진학과 단조로운 노동시장 진출 형태 110
다. 조선족 청년들의 대학진학과 이주 113
4. 중국 조선족 청년들의 지역별 노동시장 진출의 다양성 115
가. 베이징(북경) 116
나. 상하이 132
다. 다롄(대련) 134
라. 칭따오(청도) 143
마. 센양(심양) 150
바. 연변 151
사. 장춘 157
5. 조선족 청년들의 대학 진학, 이주 및 취업경로 167
가. 학력별 대학진학에 따른 이주 167
나. 대학졸업 후 학력별, 학교순위별 노동시장 진출 170
6. 중국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 형태와 유형 185
가. 중국 조선족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출-분화와 계층성 185
나.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과 언어능력 191
다. 조선족 청년들에 대한 재중 한국기업 취업 수요의 변화 196
라.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 후 취업과 생활환경 206
제3장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과 언어 및 문화 210
1. 언어적 능력, 언어적 동화와 다언어 구사능력 211
가. 언어적 능력과 언어적 동화(linguistic assimilation) 211
나. 조선족 청년들의 해외진출과 다언어 능력 219
2. 문화적 공유와 문화적 차이 224
가. 조선족 청년들의 한국문화 공유 225
나. 조선족 청년들과 한국주재원 간의 문화적 차이와 갈등 227
다. 한족과의 결혼 증가 234
제4장 요약과 결론-조선족 청년들의 장래 전망과 과제 239
1.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의 한계와 전망 240
가. 한국인과 조선족 청년들로 구성된 민족 고용집중처 형성 240
나. 한국기업과 조선족 청년들의 상호의존적 공생협력과 내부의 갈등 243
다. 조선족 선후배 세대 간의 기회의 차이 245
라. 한족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의 어려움 247
마. 조선족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출 전망 248
2. 중국 조선족 청년들의 이주, 노동시장 진출 속 문화적 동화 vs 조선족 네트워크의 재구축 250
가. 조선족 청년들의 한족사회로의 문화적 동화 250
나. 인종적 고용집중처를 통한 정체성 유지 253
다. 조선족 청년들의 국제화 속 다원화된 분화 254
3. 조선족 미래세대의 민족교육 위기와 분절화된 동화 257
4. 중국 내 도시 조선족 공동체의 전망 259
5. 조선족 동포 정책에 주는 함의 264
6.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270
참고문헌 272
판권기 3
그림 1-1. 조선족청년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 설명요인 39
그림 1-2. 특정 민족(인종)의 지리적 집거촌에서 특정 민족의 고용집중처로 41
그림 2-1. 중국에서 매년 배출되는 대졸자수 73
그림 2-2. 대학원생과 졸업자수 74
그림 2-3. 연도별 대졸자들의 기대월급 75
그림 2-4. 학력별 기대월급의 추이 76
그림 2-5. 중국의 해외유학과 귀환 77
그림 2-6. 중국 조선족 연령별, 성별 피라미드 84
그림 2-7. 과거의 조선족 청년들의 학교와 취업경로 111
그림 2-8. 중국 산업화 이후 조선족 청년들의 학교졸업과 취업경로 171
그림 2-9. 조선족 청년 해외유학생들의 취업경로 172
그림 2-10. 중국 대도시 명문대학 졸업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경로 173
그림 2-11. 중국의 우수대학을 졸업한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경로 176
그림 2-12. 중간 이하 대학졸업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경로 179
그림 2-13. 3류 대학, 전문대 졸업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경로 180
그림 2-14. 대학미진학 조선족 청년들의 취업진로 182
그림 2-15. 조선족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출의 계층화 189
그림 2-16. 중국내 조선족의 이주와 노동시장 진출양상 190
그림 4-1. 조선족 청년들의 대도시, 연해도시로의 이주 251
그림 4-2. 노동시장 진출과 언어/문화 및 동화 253
그림 4-3. 조선족 청년들의 중국내외 진출 255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 0001972200 | 331.6252 -14-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 0001972201 | 331.6252 -14-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