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발간사 / 황성환

목차

Chapter I. 탄약개관 7

1. 개관 11

가. 탄약의 정의 11

나. 탄약의 종류 11

2. 탄약 발전개념 11

가. 정확도 향상 11

나. 사거리 증대 11

다. 탄 위력 증대 11

3. 탄약 폭발개념 및 구성요소 12

가. 개요 12

나. 화약 14

다. 추진제 15

라. 탄두 16

마. 신관 17

바. 뇌관 18

Chapter II. 탄약발전추세 19

1. 야포탄 세계적 발전추세 23

가. 세계적인 발전추세 23

나. 체계개발 현황 및 발전추세 23

다. 야포탄의 종류 23

2. 각국의 야포탄 발전추세 24

가. 미국 24

나. 러시아 24

다. 중국 25

라. 기타 국가 26

3. 정밀탄약 개발현황 및 발전추세 27

가. 정밀탄약(Precision Munitions) 개관 27

나. 정밀탄약의 특성 27

다. 정밀탄약 발전추세 28

라. 인공지능포탄 개발현황 28

4. 특수목적탄 발전추세 30

가. 특수목적탄 체계특성 및 운용개념 30

나. 특수목적탄 주요 구성기술현황 31

5. 탄도수정신관 개발 동향 33

가. 개요 33

나. 필요성 33

다. 선진국 개발 수준 33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36

마. 적용 무기체계 36

6. MEMS 안전장치용 MEMS 기폭장치 개발 동향 37

가. 개요 37

나. 필요성 37

다. 기폭장치의 요구사항 및 장점 38

라. MEMS 기폭장치의 개발사례 분석 39

마. 국내 MEMS 기폭장치 개발 시 고려사항 43

바. 결론 43

7. 3P탄(Prefragmented Programmable Proximity-fuzed/근접신관 확산탄) 44

가. 개요 44

나. 형상 및 제원 44

다. 특성 44

라. 운용모드 45

8. QuickLook(포 발사식 정찰포탄) 46

가. 개요 46

나. QuickLook 작동 개념 46

다. 제원 46

9. CAP(Charge Anti Mine for Pluto, 기뢰폭파용 폭약) 47

가. 개요 47

나. 제원 비교 47

다. 특성 47

라. CAP 음향 송신기 및 MDV 장착 모습 48

Chapter III. 탄약관련 신기술 49

1. 기능성 고폭화약 조성개발 연구 53

가. 개요 53

나. 필요성 53

다. 선진국 기술수준 53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54

마. 적용 무기체계 54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54

2. 다중센서융합에 의한 장갑표적 감지/인식 기술 55

가. 개요 55

나. 필요성 55

다. 선진국 기술수준 55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56

마. 적용 무기체계 56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56

3. 보존형 전원 기술 57

가. 개요 57

나. 필요성 57

다. 선진국 기술수준 57

4. 수소 연료전지 58

가. 연료전지란? 58

나. 수소 연료전지 작동원리 58

다. 연료전지 응용 분야(연구개발 단계) 58

라. 수소연료전지 차량 개발동향 58

5. 신에너지 물질을 적용한 고폭화약 조성 설계기술 59

가. 개요 59

나. 필요성 59

다. 선진국 기술수준 59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60

마. 적용 무기체계 60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60

6. 열 압력탄 61

가. 열 압력(TB, Thermo-Baric)탄 이란? 61

나. 운용개념 61

다. 개발 동향 61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62

마. 적용 무기체계 62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62

7. 원격운용통제탄 63

가. 개발배경 63

나. 운용개념 63

다. 국내개발현황 63

8. 복합추진 사거리연장 기술 65

가. 개요 65

나. 필요성 65

다. 국내개발 추진현황 65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66

마. 적용 무기체계 66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66

9. 저 에너지급 금속박막 폭발형 기폭관 설계 기술 67

가. 개요 67

나. 필요성 67

다. 선진국 기술수준 67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68

마. 적용 무기체계 68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68

10. 정밀 초소형 신관 설계기술 69

가. 개요 69

나. 필요성 69

다. 선진국 기술수준 69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70

마. 적용 무기체계 70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70

11. 지능형 자동장전 기술 71

가. 개요 71

나. 필요성 71

다. 선진국 기술수준 71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72

마. 적용 무기체계 72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72

12. 초경량 저 충격 연식발사 기술 73

가. 개요 73

나. 필요성 73

다. 선진국 기술수준 73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74

마. 적용 무기체계 74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74

13. 초고속 복합기능 관통자 설계·제조 기술 75

가. 개요 75

나. 필요성 75

다. 선진국 기술수준 75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76

마. 적용 무기체계 76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76

14. 초장사정 곡사포탄용 활공 기술 77

가. 개요 77

나. 필요성 77

다. 선진국 기술수준 77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78

마. 적용 무기체계 78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78

15. 탐지제 첨가 가소성 화약 개발 기술 79

가. 개요 79

나. 필요성 79

다. 화약 개발 동향 79

라. 선진국 기술수준 79

마.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80

바. 적용 무기체계 80

사. 특기사항 또는 기타 80

16. Follow Through 탄두 설계기술 81

가. 개요 81

나. 필요성 81

다. 선진국 기술수준 81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82

마. 적용 무기체계 82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82

Chapter IV. 신특수무기 83

1. 고섬광 발생탄 87

가. 개요 87

나. 세계적 발전추세 87

다. 발전전망 87

라.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88

마. 적용 무기체계 88

바. 특기사항 또는 기타 88

2. 밀리미터파 비살상무기 개발동향 89

가. 개요 89

나. 개발 추진현황 89

다. Silent Guardian Systems(비살상 보호 시스템) 90

라. 결론 91

3. EMP탄(Electro-Magnetic Pulse) 92

가. 개요 92

나. 세계적 발전추세 92

다. 발전전망 93

4. 초저주파 음향무기 94

가. 개요 94

나. 세계적 발전추세 95

다. 발전전망 95

5. 탄소섬유탄 96

가. 개요 96

나. 국내외 개발동향 96

다. 적용 세부 기술(국내동향) 97

라. 적용 무기체계 97

마. 특기사항 또는 기타 97

6. 통증 전자파 98

가. 개요/원리 98

나. 개발 현황/전망 98

7. HPM(High-Power Microwave) 무기체계 99

가. 개요 99

나. 세계적 발전추세 99

다. 발전전망 100

Chapter V. 탄약관련 국제협약 101

1. CCW, 오타와 협약(Ottawa Treaty) 105

가. CCW(Convention on Conventional Certain Weapons) 105

나. 오타와 협약(대인지뢰 전면 금지협약, '99.3.1일 발효) 106

다. 오슬로 프로세스('10.8.1일 발효) 106

라. 배경 / 현황 106

마. 주요 용어 107

바. 주요 국제 레짐(International Regimes) 108

사. 주요 현안 109

아. 우리 정부의 정책 110

2. 확산탄에 대한 국제적 규제동향 및 대책 112

가. 미국의 확산탄 관련 동향 112

나. 국방부의 확산탄 운용 방향 113

다. 향후 전망 / 대응방향 113

3. DP-ICM/APAM 자탄의 불발률 최소화 기술 및 대책 114

가. 불발자탄과 불발률에 대한 정의 114

나. 자폭신관 개발 및 불발률 114

다. 불발률 감소를 위한 기술적 접근 방안 및 대책 114

Chapter VI. 탄약관련 주요 용어 115

1. 탄약 LOT 번호 119

가. 정의 119

나. 해설 119

2. 탄약 DOD 번호 120

가. 정의 120

나. 해설 120

3. 소요보급률(RSR), 통제보급률(CSR) 121

가. 정의 121

나. 해설 121

4. 기본휴대량(Basic Load : B/L) 122

가. 개념 122

5. 저장탄약 신뢰성 평가(Ammunition Stockpile Reliability Program, ASRP) 123

6. 탄약의 종류 124

7. 특수탄약 129

가. 정의 129

나. 해설 129

8. 한·미 단일 탄약보급체계(SALS-K) 130

가. 정의 130

나. 해설 130

9. WRSA 131

가. 개념 131

나. 시행 131

다. 발효 131

라. 주요 합의내용 131

마. 미치는 영향 131

10. 한·미 WRSA 양도협상 132

가. 협상 배경 132

나. 미국의 요구와 한국의 입장 132

다. 협상 경과 133

라. 성과와 교훈 134

Chapter VII. 탄약제원표 137

1. 총탄 139

가. 권총탄 143

나. 소총탄 146

다. 무반동총 탄약 159

라. 유탄발사기용 탄약 162

2. 포탄 171

가. 대공포 탄약 179

나. 직사포 탄약 205

다. 곡사포 탄약 216

라. 박격포 탄약 230

마. 함포 탄약 246

3. 로켓탄약 251

가. 70mm 255

나. 130mm 256

다. 227mm 258

라. 2.75inch 260

마. 다련장 체계 262

4. 유도탄약(Missile) 263

가. 대전차 267

나. 지대공 268

다. 공대지 270

라. 함대함 271

마. 어뢰 272

5. 기타 277

가. 폭탄 284

나. 지뢰 287

다. 수류탄 292

라. 작약 297

마. 추진제 298

바. 점화약 및 발화장치 309

사. 신관 313

아. 폭파장비/킷 337

자. 기만체계 341

차. 연막탄 344

카. 조명탄 346

타. 조명 신호탄 347

파. 기타 349

Chapter VIII. 탄약단가 351

1. 155mm 고폭탄두(KD544) 356

2. 155mm BB 고폭탄두(KD07) 356

3. 155mm BB DP-ICM(KD06) 356

4. 120mm 대전차고폭예광탄(KC37) 356

5. 120mm 연습예광탄(KC39) 356

6. 105mm 대전차고폭예광탄(KC18) 356

7. 105mm 연습예광탄(KC511) 357

8. 105mm 공포탄(KC440) 357

9. 90mm RR 대전차고폭탄(KC282) 357

10. 2.75inch 다목적분산탄(KH10) 357

11. 2.75inch 다목적분산연습탄(KH11) 357

12. 2.75inch 신형고폭탄(KH163) 357

13. 2.75inch 고폭탄(KH470) 357

14. 40mm 고폭유탄(KB574) 357

15. 40mm 고속고폭유탄(KB571) 358

16. 40mm 고속연습유탄(KB576) 358

17. 60mm 신형고폭탄(KB45) 358

18. 60mm 신형고폭탄(KB02) 358

19. 60mm 신형조명탄(KB41) 358

20. 60mm 고폭탄(KB632) 358

21. 81mm 고폭탄(KC256) 358

22. 81mm 조명탄(KC226) 359

23. 81mm 신형고폭탄(KC26) 359

24. 81mm 신형고폭탄(KC34) 359

25. 500lbs 폭탄석고충전(KE489) 359

26. 500lbs 폭탄화약충전LAP(KE485) 359

27. 적외선 섬광탄 충전조립포장(KL429) 359

28. 7.62mm 공포탄(KA111) 359

29. 7.62mm 보통예광탄 4:1(KA131) 359

30. 7.62mm 보통탄(KA143) 359

31. 7.62mm 고압탄(KA129) 360

32. 5.56mm 고압탄(KA070) 360

33. 5.56mm 보통탄(KA071) 360

34. 5.56mm 공포탄(KA080) 360

35. 5.56mm 신형보통탄(KA09) 360

36. 5.56mm 보통예광탄(KA11) 360

37. 5.56mm K100(KA12) 360

38. 구경50 보통탄(KA555) 360

39. 구경50 철갑소이예광탄 4:1(KA576) 360

40. K519 모의신관(KN34) 360

41. K519 충격신관(KN25) 360

42. KM577A1 시한순발신관(KN285) 361

43. KM577A1 신관(KN31)(비활성) 361

44. KM732 접근신관(KN464) 361

45. KM739A2 신관(KN35)(비활성) 361

46. 항공조명탄 K610(KL01) 361

47. 도로 대화구폭파킷(KM180) 충전조립포장(KM965) 361

48. 백색연막통(KK866) 361

49. 부유백색연막통(KM4A2) 361

50. 적외선차장 연막유탄(KG16) 361

51. 복합연막탄(KG419) 1형 361

52. 항공조명탄(K610) 361

53. 적외선 항공조명탄(K613) 361

54. 지상조명지뢰(KM49A1) 361

55. 낙하산 신호조명탄(KL311, KL312, KL305) 361

56. 오성 신호조명탄(KL314, KL306, KL307) 362

57. 소이수류탄(KG900) 362

58. 해상위치표시탄(KL553) 362

59. DAGMIE LEM-A/B 대유도탄 기만체계(KL07, KL08) 362

60. LIR-E 적외선 기만탄약(KL09) 362

61. REM 전자기 로켓트탄(KH06, KH07, KH08) 362

62. RBOC 대유도탄 기만체계 탄약(KL28) 362

63. MASS 다영역대응탄(KC252) 362

64. 탄약작동식 발화기(KMF64) 362

65. 조류퇴치용 탄약(K166) 362

66. 130MM 연습연막 로켓탄(K709) 362

67. 페져파우스트-3 훈련용 18MM 축사탄 362

Chapter IX. 약어 363

Chapter X. 탄약 시험 369

1. 탄약 시험 372

가. 개요 372

나. 시험의 분류 372

다. 시험의뢰 절차 373

Chapter XI. 탄약관련 법령 및 규정 377

1. 탄약 관련 법령 및 규정 380

가. 방산업체 지정 380

나. 획득 원칙 및 방법(구매) 380

다. 전력화지원요소 확보 및 조달관리 381

라. 시험평가계획서 작성 382

마. 탄약소요 결정 383

바. 탄약정책 관련 위원회 384

사. 기타 규정 384

Chapter XII. 상호참조목록 385

판권기 388

이용현황보기

탄약업무 실무 참고서 = Ammunition & explosives reference book. 2013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935685 R 355.825 ㅂ385ㅌ 20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이용가능
0001935686 R 355.825 ㅂ385ㅌ 2013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