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陽北面旗
陽北面歌
發刊辭/김정철
祝辭/한진억
古地圖
陽北面全景
寫眞으로 보는 陽北面 - 양북팔경
寫眞으로 보는 陽北面
寫眞으로 보는 陽北面 - 생활 용구
1990년대 「경주군보」에 실린 기사
祝詩
回顧隨筆
목차
일러두기 79
제1편 자연과 인문환경 80
제1장 자연환경 82
1. 위치 82
2. 지세와 지질 82
3. 기후 83
1) 기온(氣溫) 83
2) 강수량(降水量) 83
3) 바람 84
4. 천(川)·들·저수지 84
1) 천 84
2) 들 86
3) 저수지·소류지 87
5. 산(山)과 영(嶺) 88
1) 백두대간(白頭大幹) 88
2) 형남기맥[兄南岐脈(호미지맥·虎尾支脈)] 89
3) 백두리봉(449m) 93
4) 형제봉(兄弟奉, 530m), 조항산(鳥項山, 596m) 94
5) 연대산(蓮臺山 혹은 蓮垈山, 249m) 96
6) 가매봉(276m) 97
7) 토함산(吐含山, 745m) 97
8) 함월산(含月山, 584m) 98
9) 우산(牛山, 385m) 98
10) 동곡산(213m) 98
11) 덕산 98
12) 천태산(天台山, 220m) 99
13) 동산령(東山嶺) 100
14) 추령(楸嶺) 100
15) 불령(460m) 101
16) 차령(車嶺, 220m) 101
17) 팔조령(八助嶺, 120m) 101
18) 성령(筬嶺, 562m) 101
19) 시령(枾嶺, 265m) 101
제2장 인문환경 102
1. 인구의 변동 102
2. 취락 102
1) 개요 102
2) 주택 102
3) 리별 현황 103
3. 토지 현황 104
1) 지목별 토지 현황 104
2) 리별 경지면적 및 임야 현황 104
3) 토지이용 현황 104
4. 농정 105
1) 농기계 보유 현황 105
2) 정미소 현황 105
3) 농산물 수매 현황(공공비축미-정부수매) 105
4) 가축 및 가금류 사육 현황 106
5. 교통과 통신 107
1) 도로시설 현황 107
2) 주요 교량 현황 107
6. 의료·위생·문화시설 107
1) 의료시설 107
2) 식품위생 및 공중위생업소 108
3) 문화시설 및 기타 108
제2편 양북의 변천사 110
제1장 면 연혁과 발자취 112
1. 연혁 112
2. 면의 발자취 113
1) 선사시대 113
2) 신라시대 115
3) 근대사 117
제2장 근대사회의 변천 139
1. 농촌운동 139
1) 4-H운동 139
2) 새마을운동 139
2. 시장 144
1) 어일시장 144
2) 와읍 토산물 직거래시장 146
3. 한수원본사 유치 등 지역의 저항운동 147
1) 방패장 유치지역 확정 147
2) 지역의 저항운동 147
4. 농경사회의 변천사 150
1) 자급자족시대(새마을운동 이전) 150
2) 산업사회시대(새마을운동 이후) 153
3) 첨단 정보통신시대 154
5. 쌀과 보리쌀 155
6. 불씨 158
7. 한국규조토광산 159
8. 수의업(獸醫業) 160
9. 추령터널사업 162
10. 산(山)이란 163
11. 1950년대 그 때 그 시절 164
12. 양북의 발자취 166
13. 대(代)를 이은 양북의 명의 167
1) 오대 한의원(五代韓醫院) 167
2) 인제당(仁濟堂) 169
제3편 리별 연혁과 지명유래 170
제1장 어일리(魚日里) 172
제2장 와읍리(臥邑里) 180
제3장 용동리(龍洞里) 188
제4장 권이리(權伊里) 197
제5장 호암리(虎岩里) 202
제6장 안동리(安洞里) 208
제7장 장항리(獐項里) 214
제8장 범곡리(凡谷里) 220
제9장 입천리(卄川里) 225
제10장 송전리(松田里) 232
제11장 두산리(斗山里) 238
제12장 죽전리(竹田里) 244
제13장 용당리(龍堂里) 248
제14장 구길리(九吉里) 254
제15장 봉길리(奉吉里) 261
제4편 문화재와 유물·유적 276
제1장 양북면 지정문화재 현황 278
제2장 지역별 문화재 유물·유적 279
1. 토함산(吐含山) 지역 279
1) 동악(東岳) 토함산 279
2) 토함산 석굴암(吐含山 石窟庵) 281
3) 석굴암 입구 서각(書刻) 285
4) 장항리사지(獐項里寺址) 288
5) 장항리사지의 석조여래입상과 석불대좌, 건물지 290
6) 웅수사지(熊壽寺址) 석불입상〈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호〉 292
2. 함월산(含月山) 지역 293
1) 기림사(祇林寺) 293
2) 골굴사(骨窟寺) 318
3. 동해구 대왕암(東海口 大王巖) 지역 322
1) 감은사지(感恩寺址)〈사적 제31호〉 322
2) 감은사지 삼층석탑(感恩寺址 三層石塔)〈국보 제112호〉 325
3) 문무대왕릉(文武大王陵)〈사적 제158호〉 329
4) 이견대(利見臺)〈사적 제159호〉 329
5) 용지(龍池) 342
4. 기타유물·유적자료 342
1) 찬기파랑가(讚嗜婆郞歌, 기파랑노래) 기파랑과 수모내 342
2) 감재[시령(枾嶺)]·부처재[불령(佛嶺)] 수렴봉표석(水念封標石) 346
3) 감포영성(甘浦營城) 경주시 감포읍 팔조리 233 349
4) 기림사 간행전적(祇林寺 刊行典籍) 350
5) 호적단자(戶籍單子) 351
6) 문헌기록 자료 352
7) 양북면 유적·유물 분포도 359
제3장 조선시대 유교문화와 임진왜란 항쟁사 등 379
1. 공덕비 및 충효열행(功德碑 및 忠孝烈行) 379
1) 공덕비(功德碑) 379
2) 충(忠) 396
3) 효(孝) 400
4) 열(烈) 401
2. 서당, 재실, 정자(書堂, 齋室, 亭子) 기타 409
1) 두산서당(斗山書堂) 409
2) 도장서당(道藏書堂) 410
3) 우천서당(愚川書堂) 410
4) 매월당영당(梅月堂影堂) 411
5) 노남재(魯南齋) 417
6) 노일당, 체화정사(魯一堂, 逮樺精舍) 417
7) 농수정(農叟亭) 418
8) 동계정(東溪亭) 418
9) 동은정, 구산정사(東隱亭, 龜山精舍) 419
10) 두양정사(斗陽亭舍) 419
11) 모선정(慕先亭) 420
12) 부성재(富成齋) 421
13) 사일정(事一亭) 421
14) 송계정(松溪亭) 422
15) 야은정(野隱亭) 422
16) 원모재(遠慕齋) 423
17) 영모재(永慕齋) 423
18) 용덕재(龍德齋) 423
19) 육신당(六愼堂) 424
20) 육우정(六友亭) 425
21) 이우정(二友亭) 425
22) 추모재(追慕齋) 426
23) 해강정(海岡亭) 427
24) 화음정(華蔭亭) 427
25) 활수정(活水亭) 428
26) 효은정(孝隱亭) 428
27) 문옹고택(汶翁古宅) 429
3. 문집 간행(연대순) 430
1) 문옹선생실기(汶翁先生實紀)/김석견(金石堅, 1546~1614) 430
2) 동엄실기(東广實紀)/김득복(金得福, 1561~1626) 432
3) 동은일고(東隱逸稿)/권석물(權碩物, 1613~1674) 433
4) 역락당집(亦樂堂集)/김유일(金惟一, 1683~1750) 435
5) 훈지로연방집(塤篪魯聯芳集)/정광복(鄭光復, 1716~1796), 정광리(鄭光履, 1722~1799) 438
6) 입헌문집(立軒文集)/한운성(韓運聖, 1802~1863) 441
7) 추산일고(秋山逸稿)/김제민(金濟民, 1828~1909) 444
8) 화음유고(華蔭遺稿)/이정호(李鼎鎬, 1837~1919) 446
4. 경주지역 향사(享祀) 일람 448
5. 문무대왕 향사대제(文武大王享祀大祭) 449
6. 임진왜란 항쟁사(任辰倭亂 抗爭史) 453
7. 장기현(長鬐縣)과 양북면 474
제5편 성씨별 문중현황 478
1. 진주강씨 박사공파[晉州姜氏 博士公派] 480
2. 현풍곽씨 서령사공파[玄風郭氏 書令史公派] 482
3. 안동권씨 추밀공파[安東權氏 樞密公派] 483
4. 김녕김씨 상서공파[金寧金氏 尙書公派] 485
5. 경주김씨(慶州金氏) 양북문중 486
1) 경주김씨[慶州金氏] 영분공파(永芬公派) 488
2) 경주김씨[慶州金氏] 대안군파(大安君派) 491
6. 김해김씨[金海金氏] 494
1) 김해김씨 김녕군파의(경파)[金海金氏 金寧君派(京派)]의 지파(支派) 496
2) 김해김씨 판도판서공파[金海金氏 版圖判書公派]의 지파(支派) 498
3) 김해김씨 부호군공파(거공)[金海金氏 副護軍公派(巨公)] 두산문중 503
4) 김해김씨 승사랑공파[金海金氏 承仕郞公派] 504
5) 김해김씨 부호군공파(천익)[金海金氏 副護軍公派(天翼)] 505
6) 김해김씨 판결사공파[金海金氏 判決事公派] 507
7) 김해김씨 참봉공파[金海金氏 參奉公派] 508
7. 순천김씨 횡성공파[順天金氏 橫城公派] 508
8. 전주류씨 목사공파[全州柳氏 牧使公派] 510
9. 밀양박씨 판도공파[密陽朴氏 版圖公派] 512
10. 울산박씨 연암가선공파[蔚山朴氏 蓮岩嘉善公派] 513
11. 월성박씨 임계공파[月城朴氏 臨溪公派] 514
12. 온양방씨 판서공파[溫陽方氏 判書公派] 515
13. 경주배씨 분성공파[慶州裵氏 分城公派] 516
14. 수원백씨[水原白氏] 오산군파(鰲山君派), 문경공파(文敬公派) 517
1) 오산군파(鰲山君派) : 청도백씨 518
2) 문경공파(文敬公派) 518
15. 달성서씨 현감공파[達城徐氏 縣監公派] 519
16. 경주손씨 종파[慶州孫氏 宗派] 520
17. 경주손씨 어은공파[慶州孫氏 漁隱公派] 522
18. 은진송씨 우봉공파[恩津宋氏 牛峰公派] 522
19. 영월엄씨 군기감공파[寧越嚴氏 軍器監公派] 524
20. 해주오씨 문양공(자인공)파[海州吳氏 文襄公(慈仁公)派] 525
21. 단양우씨 문강공파[丹陽禹氏 文康公派] 526
22. 원주원씨 시중공계[原州元氏 侍中公系] 527
23. 파평윤씨 소정공파[坡平尹氏 召靖公派] 529
24. 경주이씨 판전공파 두산문중(慶州李氏 判典公派 斗山門中) 530
25. 경주이씨 판전공파 안동문중(慶州李氏 益齋公派 安洞門中) 532
26. 경주이씨 국당공파 용동문중(慶州李氏 菊堂公派 龍洞門中) 533
27. 경주이씨 교감공파 송전문중(慶州李氏 校勘公派 松田門中) 534
28. 여주이씨 경력공파[驪州李氏 經歷公派] 535
29. 전주이씨 진남군파[全州李氏 鎭南君派] 535
30. 차성이씨 호군공파[軍城李氏 護軍公派] 537
31. 나주임씨 정자공파[羅州林氏 正字公派] 538
32. 나주임씨 절도공파[羅州林氏 節度公派] 539
33. 인동장씨 태상경공파[仁同張氏 太常卿公派] 540
34. 동래정씨 참판공파[東萊鄭氏 參判公派] 542
35. 영일정씨 포은공파 어일문중[迎日鄭氏 圃隱公派 魚日門中] 543
36. 영일정씨 포은공파 용동문중[迎日鄭氏 圃隱公派 龍洞門中] 546
37. 함안조씨 동계공파[咸安趙氏 東溪公派] 547
38. 신안주씨 중파[新安朱氏 仲派] 548
39. 연안차씨 강렬공파[延安車氏 剛烈公派] 549
40. 경주최씨 광정공파[慶州崔氏 匡靖公派] 551
41. 경주최씨 정랑공파[慶州崔氏 正郞公派] 553
42. 경주최씨 사성공파[慶州崔氏 司成公派] 553
43. 경주최씨 화숙공파[慶州崔氏 和淑公派] 554
44. 경주최씨 문정공파[慶州崔氏 文正公派] 556
45. 진양(진주)하씨 문효공파[晉陽(晉州)河氏 文敎公派] 556
46. 청주한씨 문정공파[淸州韓氏 文靖公派] 558
47. 양근함씨 예판공파[楊根咸氏 禮判公派] 560
48. 김해허씨 제학공파[金海許氏 提學公派] 561
49. 평해황씨 검교공파[平海黃氏 檢校公派] 562
50. 창원황씨 이산공파 안동문중[昌原黃氏 尼山公派] 안동문중 563
제6편 체육·관광 566
제1장 체육 568
1. 양북체육사 568
2. 면민체육대회 569
3. 운동 종목별 변천사 570
1) 축구 570
2) 씨름 570
3) 배구 571
4) 마라톤 572
5) 양북대종테니스회 573
6) 배드민턴 573
7) 게이트볼 573
8) 면민헬스장 574
제2장 관광·축제 575
1. 양북 팔경(八景) 575
2. 신문왕 행차로(왕의 길) 576
3. 경주시 전통명주 전시관 583
4. 토함산 자연휴양림(吐含山 自然休養林) 584
5. 두송 녹색농촌 체험마을 585
6. 산나물 축제 586
제7편 종교 588
제1장 불교(佛敎) 590
1. 기림사(祇林寺) 590
2. 골굴사 592
3. 석굴암(石窟庵) 593
4. 일반 사찰 593
5. 광명심인당(光明心印堂) 593
6. 원불교(圜佛敎) 594
제2장 기독교(基督敎) 595
1. 양북제일교회(구 어일교회) 595
2. 양북교회 599
3. 구길교회 599
4. 송전교회 600
5. 봉길교회 600
제3장 남묘호렌게쿄(한국SGI, 한국창가학회) 602
제8편 교육 604
제1장 사교육(私敎育) 606
1. 경북의 근대 사립학교 606
2. 경주지역 유교문화(1928년) 606
3. 양북의 사립학교(私立學校) 607
제2장 공교육(公敎育) 615
1. 양북초등학교 615
2. 양북중학교 624
3. 화랑고등학교 629
4. 유치원, 유아원 631
5. 폐교 현황 632
1) 장항국민학교 632
2) 구갈국민학교 634
3) 송전국민학교 635
4) 용동국민학교 637
5) 양북고등학교 638
6) 장학회 현황 640
제9편 공공기관 및 각종 단체·기업체 642
제1장 공공기관 644
1. 양북면사무소 644
2. 양북파출소 647
3. 양북보건지소 648
4. 양북면 농업인상담소 649
5. 향토예비군 양북면대 650
6. 감포119안전센터 양북지역대 651
7. 한국농어촌공사 경주지사 양북주재소 652
8. 동경주 농업협동조합 659
9. 양북새마을금고 661
10. 양북우체국 662
제2장 관변단체 663
1. 개발자문위원회(開發諮問委員會) 663
2. 양북면주민자치위원회 663
제3장 호국단체 664
1. 6·25전쟁 참전유공자 양북분회 664
2. 월남참전 전우회 665
3. 재향군인회 양북면회 665
4. 무궁수훈자회 양북분회 665
5. 상이군경회 양북분회 666
제4장 사회단체 667
1. 새마을지도자 협의회, 새마을부녀회 667
2. 바르게살기운동 양북면위원회 668
3. 자유총연맹 양북지도위원회 669
4. 자연보호협의회 670
5. 양북의용소방대 670
6. 양북자율방법기동대 671
7. 생활개선회경주시연합회 양북지회 672
8. 양북면발전협의회 673
9. 양북면체육회 675
10. 양북면청년회 676
11. 양북지역 복리회(CDF) 677
12. 어려운세대 후원회 679
제5장 자생단체 680
1. 경주시 농촌지도자연합회 양북지회 680
2. 경주시 농업경영인회 양북면회 680
3. 노인회 양북분회 681
4. 유도회 양북분회 682
5. 어일시장 번영회 685
6. 동경주노인복지센터 685
7. 지체장애인협회 양북분회 686
8. 향맥문화센터 686
9. 양북산악회 687
10. 농심회 688
11. 양북하나로회 689
제6장 작목반 등 690
1. 녹지회 690
2. 양북 한우작목반 692
3. 양북 토마토작목반 693
4. 양북 양봉작목반 693
5. 동경주 청결미작목반 694
6. 양북 가리촌 산딸기작목반 695
7. 양북 연근작목반 695
제7장 기업체 696
1. 한국수력원자력 워러성원자력본부 696
2.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월성방사능방재센터 697
3. 한국원자력환경공단 698
4. 글로벌원전기능인력 양성사업단 701
5. 암콜코리아 유한회사 702
6. (주)동신 702
7. (주)신성레미콘 703
8. 대종레미콘·아스콘(주) 704
9. (주)일성케미칼 705
10. 백광화학 706
11. 우수산업 706
제10편 의정활동자료 708
제1장 지방의회 연혁 710
제2장 역대의원 현황(1952~2012, 12) 710
제3장 역대 국회의원 명단 712
제11편 세시풍속과 가정의례 714
제1장 세시풍속 716
1. 24절기(節氣) 716
2. 세시풍속의 양상 716
1) 정월 716
2) 2월 722
3) 3월 723
4) 4월 723
5) 5월 724
6) 6월 726
7) 7월 726
8) 8월 727
9) 9월 727
10) 10월 727
11) 11월 728
12) 12월(섣달이라고도 한다) 728
13) 윤달(閏月) 729
제2장 가정의례(家庭儀禮) 735
1. 가정의례의 종류 735
1) 직명례(作名禮) 735
2) 성년례(成年禮) 736
3) 혼례(婚禮) 737
4) 상례(喪禮) 748
5) 제례(祭禮) 758
6) 수연례(壽筵禮) 764
7) 주자(朱子) 십회훈(十悔訓)(충(忠), 효(孝), 예(禮)의 생활(生活) 기본이 되었다) 767
2. 친·인척간 호칭(親·姻戚間 呼稱) 767
제12편 향후회 및 지역출신 인물 774
제1장 향우회 현황 776
제2장 리별(里別) 지역출신 인물 및 가구주 명단 779
1. 지역출신 인물 779
2. 리별 가구주 명단 784
제3장 참전용사 명단 800
1. 6·25전쟁 참전용사(307) 800
2. 월남 참전용사(105명) 801
부록 804
제1장 각종 통계자료 806
제2장 현재 추진중인 주요사업 810
제3장 참고문헌 812
편집후기 / 정상준 813
편찬위원 명단 814
판권기 81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937666 | 951.992 -14-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