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1장. 한글박물관 문화사업의 이해 5
01. 문화사업의 개념 및 역할 6
1. 문화사업의 개념 6
2. 문화사업의 역할 7
02. 문화사업 도출 프레임 워크 9
2장. 한글박물관 문화사업의 방향 11
01. 한글박물관 핵심개념 도출 12
1. 한글박물관 핵심개념 도출 12
02. 환경분석 : 4C 분석 16
1. 거시적 환경분석(Circumstance) 16
2. 제도변화 분석(Change) 26
3. 관람객 분석(Customer) 27
4. 국내 박물관 분석(Cooperator) 36
03. 한글박물관 문화사업 STP 37
1. 관람객 세분화(Segmentation) 37
2. 관람객 타겟팅(Segmentation) 43
3. 한글박물관 문화사업 포지셔닝(positioning) 52
04. 한글박물관 문화사업 방향 53
1. 문화사업의 미션과 방향성 53
3장. 콘텐츠 개발전략으로서의 스토리텔링 55
01. 한글박물관 원천 콘텐츠 56
1. 한글박물관 킬러 콘텐츠 56
2. 한글박물관 유물 콘텐츠 63
02. 스토리텔링과 OSMU 전략 91
1. 스토리텔링의 정의 91
2. 스토리텔링의 구성 및 평가 92
3. 스토리텔링과 OSMU 전략 94
4장.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사업 개발과정 96
01. 개념과 정의 97
1.1. 문화사업 콘텐츠의 정의 98
1.2. 문화사업 프로그램의 정의 99
02. 스토리텔링기반 문화사업 관리기법 100
1. 박물관 문화사업 관리기법으로서 PLM 100
2.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의 적용 100
03. 스토리텔링기반 문화사업 개발 과정 108
1. 문화사업 콘텐츠 개발 과정 108
2. 문화사업 프로그램 개발 프로세스 110
04. 스토리텔링기반 문화사업 포트폴리오 관리 112
1. 포트폴리오 관리의 개념 112
2. 포트폴리오 관리 절차 114
5장.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사업 119
01. 사업개요 120
02. 전시관람 지원사업 122
1. 현황 및 개선점 122
2. 전시관람 지원 사업 내용 125
03. 전시연계 체험 사업 138
1. 현황 및 개선방향 138
2. 전시 연계 체험 사업의 사업 내용 142
04. 문화상품 사업 152
1. 현황 및 개선점 152
2. 사업내용 156
05. 식음료서비스 사업 163
1. 현황 및 개선점 163
2/3. 사업내용 169
06. 서체 디자인 사업 175
1. 현황 및 개선점 175
2. 사업의 필요성 177
3. 사업내용 181
07. 출판 사업 186
1. 현황 및 개선방향 186
2. 사업의 필요성 191
3. 사업내용 197
08. 공연 사업 208
1. 현황 및 개선점 208
2. 공연 사업의 사업 내용 210
09. 영화 사업 214
1. 현황 및 개선방향 214
2. 사업의 필요성 217
3. 사업내용 220
10. 예술협력 이벤트 사업 227
1. 현황 및 개선방향 227
2. 사업의 필요성 230
3. 사업 내용 233
11. SNS 한글 박물관 사업 237
1. 현황 및 개선방향 237
2. 사업의 필요성 241
3/2. 사업내용 244
12. 국내 네트워크 구축 사업 252
1. 현황 및 개선방향 252
2. 사업의 필요성 254
3. 사업내용 259
13. 해외 네트워크 사업 구축방안 268
1. 현황 및 개선방향 268
2. 사업의 필요성 271
3. 사업내용 272
6장. 해외사례 276
01. 해외사례 개요 277
02. 퐁피두 센터 278
1. 개요 278
2. 국립현대박물관/창조산업센터 279
3. 주요문화사업 280
03. RMN-GP(RMN 그랑팔레) 282
1. 개요 282
2. 주요문화사업 283
04.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286
1. 개요 286
2. 주요문화사업 287
05. 브루클린 미술관 289
1. 개요 289
2. 주요문화사업 290
06. 휘트니 박물관 292
1. 개요 292
2. 주요문화사업 293
07. 노이에 갈러리(Neue Galerie) 295
1. 개요 295
2. 주요문화사업 295
08. 브루클린 어린이 박물관 297
1. 개요 297
2. 주요문화사업 298
09. 샹폴리옹 세계 문자 박물관 300
1. 개요 300
2. 주요문화사업 301
10. 편지와 수사본 박물관 308
1. 개요 308
2. 주요문화사업 309
11. 뮤지엄 스토어협회(MSA) 314
1. 개요 314
2. 주요문화사업 314
12. 중국문자박물관 316
1. 개요 316
2. 주요문화사업 318
13. 아프리카어 박물관 322
1. 개요 322
2. 주요문화사업 323
3. 참고문헌 324
〈그림 1.1-1〉 박물관 문화사업의 범위 7
〈그림 1.1-2〉 박물관 문화사업의 역할 8
〈그림 1.2-1〉 한글박물관 문화사업 연구 과제를 위한 프레임워크 9
〈그림 2.1-1〉 한글박물관의 설립취지 및 기대효과 13
〈그림 2.1-2〉 한글박물관의 미션, 비전, 가치체계(Value) 14
〈그림 2.1-3〉 한글박물관 문화사업의 핵심 개념 추출 15
〈그림 2.2-1〉 우리나라 평균 수명 증가 추이 16
〈그림 2.2-2〉 은퇴 뒤 생활 나아질까? 17
〈그림 2.2-3〉 주 5일제 이후 생활의 변화 18
〈그림 2.2-4〉 여가활동, 희망과 현실의 차이 18
〈그림 2.2-5〉 1인가구 여가생활 설문조사 19
〈그림 2.2-6〉 서울시민의 주말 여가생활시간 분포현황 20
〈그림 2.2-7〉 원터더스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동기 21
〈그림 2.2-8〉 수업 없는 날 개설 희망 프로그램 22
〈그림 2.2-9〉 지식경제부의 2020 메가트렌드 vs 2020 IT 기술 트렌드 23
〈그림 2.2-10〉 다문화 교육에 관한 설문결과 24
〈그림 2.2-11〉 학생들에게 나타난 다문화의 두 모습 24
〈그림 2.2-12〉 박물관 전시환경의 변화 필요성 증대 25
〈그림 2.2-13〉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개정과 평가방향 26
〈그림 2.2-14〉 2006년 국립중앙박물관 관람객 연령 조사 결과 27
〈그림 2.2-15〉 2012년 관람객 연령 조사 결과 28
〈그림 2.2-16〉 앞으로 하고 싶은 여가활동 성별 분포 30
〈그림 2.2-17〉 국립중앙박물관 정보검색대 이용 여부 및 이용 내용 33
〈그림 2.2-18〉 국립중앙박물관 문화 상품점 이용 여부 34
〈그림 2.2-19〉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머문 시간 34
〈그림 2.2-20〉 관람피로를 고려한 전시공간구성 개념 35
〈그림 2.2-21〉 국내박물관 분석 결과 36
〈그림 2.3-1〉 한글박물관 관람객 세분화 40
〈그림 2.3-2〉 외래관광객 추이 48
〈그림 2.3-3〉 한글박물관 문화사업 포지셔닝 52
〈그림 2.4-1〉 한글박물관 문화사업의 미션과 방향성 54
〈그림 4.1-1〉 문화사업 콘텐츠 개발단계 97
〈그림 4.2-1〉 제품생명주기 101
〈그림 4.2-2〉 PLM의 개념 102
〈그림 4.2-3〉 연구개발 과정의 목표 102
〈그림 4.2-4〉 단축되고 있는 제품 생명 주기(핸드폰 사례) 104
〈그림 4.2-5〉 개발과정에서 게이트(Gate)와 톨게이트(Tollgate) 심의회 104
〈그림 4.2-6〉 게이트와 톨게이트의 역할 : 파이프라인(Pipeline) 관리 106
〈그림 4.2-7〉 한글박물관 문화사업 콘텐츠와 프로그램 개발 과정 제안 107
〈그림 4.4-1〉 포트폴리오 관리의 개념 112
〈그림 4.4-2〉 포트폴리오 관리 대상과 분석 113
〈그림 4.4-3〉 포트폴리오의 역할 113
〈그림 4.4-4〉 포트폴리오 평가 절차 114
〈그림 4.4-5〉 포트폴리오 평가항목(예시) 115
〈그림 4.4-6〉 포트폴리오 평가항목 척도(예시) 116
〈그림 4.4-7〉 중장기 로드맵과 연구개발 과정의 연계(예시) 117
〈그림 5.2-1〉 국ㆍ공립 박물관 무료관람 정책이후 몰립형 관람문화 부재와 개선방안 124
〈그림 5.2-2〉 타겟에 따라 차별화된 관람 지원 사업 방향 124
〈그림 5.3-1〉 사업의 필요성 요약 141
〈그림 5.4-1〉 외부위탁 상품 개발 및 운영방식의 현황 및 문제점 153
〈그림 5.4-2〉 박물관 디자인 팀 운영방식 현황 및 문제점 154
〈그림 5.4-3〉 한글박물관 문화상품 사업 미션 155
〈그림 5.4-4〉 한글박물관 문화상품사업을 위한 4P전략 156
〈그림 5.4-5〉/〈그림9.3-5〉 STP 전략에 따른 고객 세분화 및 타깃 시장 선정 158
〈그림 5.4-6〉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엄브렐러 브랜딩 160
〈그림 5.5-1〉 사업의 필요성 요약 164
〈그림 5.5-2〉 음식의 습관, 수용,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65
〈그림 5.5-3〉 성별/연령/방한목적/방한횟수별 방한기간 중 참여활동 167
〈그림 5.7-1〉 박물관 출판사업의 공공적 의미와 효과 192
〈그림 5.7-2〉 한글박물관 문화상품 포지셔닝과 문화소비 성향 결합도 194
〈그림 5.7-3〉 한글박물관에서 기대하는 경험 194
〈그림 5.7-4〉 한글박물관에서 보고 싶은 내용 195
〈그림 5.7-5〉 한글박물관 문화상품별 선호도 195
〈그림 5.7-6〉 한글박물관 온라인 출판사업 '헤움' 진행 및 효과 207
〈그림 5.9-1〉 매체별 주중/주말 평균 이용시간량 비교 219
〈그림 5.9-2〉 이용콘텐츠 주중/주말 평균 이용시간량 비교 219
〈그림 5.10-1〉 패션 스토리텔링 기법 231
〈그림 5.10-2〉/〈그림 5.10-3〉 스폰서 기업이미지 및 브랜드이미지와 공연 관련 요인과의 관계 232
〈그림 5.11-1〉 문화예술기관 온라인 사업 현황 및 개선점 요약 237
〈그림 5.11-2〉 정부부처 SNS 이용 시 주된 접근 경로 238
〈그림 5.11-3〉 정부부처 SNS의 사용빈도 239
〈그림 5.11-4〉 정부부처 온라인 서비스 만족도 239
〈그림 5.11-5〉 정부부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평가 239
〈그림 5.11-6〉 호이징가의 놀이 속성 분류 241
〈그림 5.11-7〉 소셜마케팅 흐름과 놀이 속성 242
〈그림 5.11-8〉 한글박물관 SNS 마케팅의 흐름 및 기대효과 242
〈그림 5.11-9〉 크라우드 소싱의 4가지 형태별 목적, 특성, 최적화된 활용법 243
〈그림 5.12-1〉 평일/휴일 실제 여가시간 및 희망 여가시간 254
〈그림 5.12-2〉 여가활동 유형별 참여 추이 255
〈그림 5.12-3〉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 256
〈그림 5.12-4〉 한국어학당 연계 네트워크 사업 설명도 26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968286 | 352.76 -14-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968287 | 352.76 -14-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