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발간사 / 홍석우
인사말 / 김균섭
[사진]
목차
제1편 원자력발전정책 30
제1장 국내·외 에너지정세 / 박재탁 32
제1절 개요 32
제2절 세계 에너지 전망 40
제3절 국내 에너지 수급동향 및 전망 54
제2장 전력수급기본계획 / 김은경 70
제1절 개요 70
제2절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72
제3절 중단기 전력수급 안정대책 82
제4절 향후 계획 85
제3장 원자력발전 정책 방향 87
제1절 기본방향 / 문상민 87
제2절 원전의 안전성 확보 / 하동환 93
제3절 원전산업의 경쟁력 강화 / 권병훈 97
제4절 원전기술개발의 체계적 추진 / 권병훈 101
제5절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제도 / 김혜영 103
제6절 국민이해 확보 / 김건혁 110
제7절 원전연료 확보 / 김건혁 116
제8절 방사성폐기물 관리 / 김등용 122
제2편 원자력발전소 운영 및 건설 134
제1장 원자력발전의 역할 / 박범수 136
제1절 원자력의 도입 136
제2절 원자력발전의 필요성 140
제2장 원자력발전소 운영 / 이광훈 149
제1절 설비용량 현황 149
제2절 발전량 현황 151
제3절 이용률 및 가동률 현황 153
제4절 고장정지 및 한주기 무고장 안전운전 현황 156
제5절 정비 및 교육훈련 관리 163
제3장 원자력발전소 건설 171
제1절 원전 건설사 / 원재연 171
제2절 원전건설 현황 / 원재연 186
제3절 원전건설 기술의 발전 198
제4장 원자력발전소 주요 운전현황 / 박승철 206
제1절 계속운전 206
제2절 월성1호기 압력관교체 230
제3절 출력최적화 240
제3편 원전연료 및 방사성폐기물 관리 246
제1장 원전연료 현황 / 김한성 248
제1절 원전연료 주기 248
제2절 각 주기별 수급현황 및 전망 249
제3절 국내 원전연료 수급계획 265
제2장 원전연료 설계 및 제조 / 이종무 269
제1절 경수로 원전연료 269
제2절 중수로 원전연료 289
제3장 방사성폐기물 관리 / 김경덕 292
제1절 개요 292
제2절 사용후연료 관리 294
제3절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298
제4장 방사성폐기물 관리사업 310
제1절 방사성폐기물관리사업 계획 수립 / 이철호 310
제2절 부지선정 과정 / 이철호 312
제3절 중·저준위방폐물처분시설 부지선정 / 이철호 330
제4절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설립 / 이철호 342
제5절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 박주완 348
제6절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 건설 / 정성태 356
제7절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 최병일 380
제4편 원전의 안전대책 386
제1장 원전의 안전대책 388
제1절 원전의 안전개념 / 고영우 388
제2절 안전관리 체계 396
제3절 원전의 안전대책 406
제4절 원전의 지진대책 / 최호삼 422
제2장 방사선 안전관리 / 김경덕 437
제1절 종사자 안전관리 437
제2절 방사능 방재대책 449
제3장 일반환경관리 / 최영선 457
제1절 환경관리 체계 457
제2절 일반환경 관리 459
제3절 온배수 관리 467
제4장 환경방사선 관리 / 최기섭 474
제1절 관리체계 474
제2절 환경방사선 관리 477
제5편 연구개발 488
제1장 원자력 중·장기 연구개발 개요 / 한상길 490
제2장 원자력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493
제1절 추진 배경 493
제2절 추진 근거 및 추진 목표 495
제3절 추진 절차 497
제4절 투자 규모 및 추진 대상 기술 498
제3장 원자력연구개발사업 501
제1절 추진 배경 501
제2절 추진 근거 및 추진 목표 503
제3절 추진 절차 504
제4절 투자 규모 및 추진 대상 기술 505
제6편 품질보증 508
제1장 원자력품질보증 개요 / 김범수 510
제1절 개요 510
제2절 품질보증 기준 513
제3절 품질보증체계 521
제2장 단계별 품질보증 활동 523
제1절 건설단계 품질보증 활동 524
제2절 운영단계 품질보증 활동 528
제3장 품질문화 확산 및 지속적 개선 530
제1절 품질문화 확산 530
제2절 품질경영전략 530
제3절 지속적인 품질개선 532
제4절 품질교육 533
제4장 국내·외 품질협력 536
제1절 국내 품질협력 활동 536
제2절 해외 품질협력 활동 539
제7편 국민이해와 지역협력 544
제1장 국민이해 증진활동 / 박범수 546
제1절 사회환경의 변화 546
제2절 국민이해 증진활동 554
제3절 원자력에 대한 국민인식 / 김동원 582
제4절 해외 여론동향 / 김동원 587
제2장 사회공헌을 통한 대국민 신뢰구축 / 심재훈 600
제1절 개요 600
제2절 사회공헌 추진체계 601
제3절 3대 테마별 주요 나눔활동 603
제4절 글로벌 원전 기능인력 양성사업단 설립·운영 608
제5절 지역 다가서기 614
제6절 2011년도 사회책임경영 주요 성과 618
제3장 원전 주변지역 지원사업 / 심재훈 620
제1절 개요 620
제2절 2011년도 주요사업 실적 627
제3절 2012년도 지원사업 추진계획 630
제4장 원전이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632
제1절 건설 기간 중 지역경제 영향 / 원재연 632
제2절 운영 기간 중 지역경제 영향 / 박범수 635
제8편 국제협력 및 해외동향 640
제1장 원자력 국제협력 / 박종호 642
제1절 국제 원자력 관련 기관 642
제2절 원자력 국제협력 651
제2장 해외사업 진축 678
제1절 개요 / 조성민 678
제2절 아랍에미리트 원전건설 현황 / 임현승 681
제3절 국가별 해외사업 추진현황 / 태종훈 687
제4절 향후 전망 / 조성민 698
제3장 원자력 해외동향 / 이광훈 700
부록 730
1. 에너지원별 발전설비 732
2. 에너지원별 발전전력량 733
3. 세계 원전 운전경험(원자로·년) 734
4. 국내 및 세계 원전 평균이용률 비교 735
5. 원전 고장정지 비교 736
6. 원자력발전량 점유율과 전기판매가단가 737
판권기 739
〈그림 1-1〉 연료 및 부문별 세계 일차에너지 수요(2035년) 45
〈그림 1-2〉 에너지원별 세계 1차 에너지 수요 50
〈그림 1-3〉 세계 1차 에너지 수요의 에너지원별 비중 51
〈그림 1-4〉 GDP와 에너지 소비 55
〈그림 1-5〉 1차에너지 소비구조 58
〈그림 1-6〉 원전연료 주기도 118
〈그림 2-1〉 발전원별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 비교 144
〈그림 2-2〉 외국 전기요금제도 정보 147
〈그림 2-3〉 원전건설 변천사 172
〈그림 2-4〉 고리1호기 기공식(1971.3.19) 174
〈그림 2-5〉 고리1호기 준공식 전경(1978.7.20) 174
〈그림 2-6〉 신고리 1·2호기 공사현장 전경('12. 5) 188
〈그림 2-7〉 신월성 1·2호기 공사현장 전경('12. 5) 190
〈그림 2-8〉 신고리 3·4호기 공사현장 전경('12. 5) 192
〈그림 2-9〉 신울진 1·2호기 공사현장 전경('12. 5) 195
〈그림 2-10〉 미국 기네이 원전, 일본 쓰루가 원전, 영국 올드버리 원전 210
〈그림 2-11〉 고리1호기 신형 증기발생기 설치, 원자로냉각재펌프 교체 212
〈그림 2-12〉 계속운전 안전심사 절차도 218
〈그림 2-13〉 고리1호기 계속운전 반대집회 219
〈그림 2-14〉 계속운전 안전성 설명회, 심포지움 모습 221
〈그림 2-15〉 고리1호기 계속운전 주민 합의서 체결 222
〈그림 2-16〉 고리1호기 계속운전 재가동 기념식 모습 224
〈그림 2-17〉 월성1호기 계통도 231
〈그림 2-18〉 월성1호기 원자로 233
〈그림 2-19〉 압력관 교체작업 237
〈그림 2-20〉 압력관 저장시설 238
〈그림 3-1〉 원전연료 주기도 248
〈그림 3-2〉 우라늄 정광 현물 시장가격 추이 255
〈그림 3-3〉 원심분리 및 기체확산 농축시설 260
〈그림 3-4〉 월성 사용후연료 조밀건식저장시설 296
〈그림 3-5〉 유리화 설비의 유리 구조 304
〈그림 3-6〉 유리화 설비 용융로 305
〈그림 3-7〉 울진 유리화 설비 시설 305
〈그림 3-8〉 드럼핵종분석장치 검출기및 컨베이어 308
〈그림 3-9〉 드럼측정 대기중(이송용 컨베이어) 308
〈그림 3-10〉 방폐물 운반선 "청정 누리호" 309
〈그림 3-11〉 2011.3.28 공단 본사 경주이전 344
〈그림 3-12〉 운반선박 주요제원 353
〈그림 3-13〉 월성원전 물양장에 입항한 운반선박 355
〈그림 3-14〉 인수저장건물에 저장중인 방사성폐기물 355
〈그림 3-15〉 사무동옥상에서 바라본 지상지원시설 파노라마 377
〈그림 3-16〉 건설동굴 입구부분 L=18m 377
〈그림 3-17〉 운영동굴 - 라이닝 완료구간 378
〈그림 3-18〉 #6사일로 굴착 378
〈그림 3-19〉 사일로 굴착 작업도 378
〈그림 3-20〉 수직구 - 동굴 설비 건물 379
〈그림 3-21〉 환경친화단지 - 전망대 379
〈그림 3-22〉 청정누리호 방폐물 운반 379
〈그림 3-23〉 인수저장건물 내 방폐물 운반 380
〈그림 3-24〉 인수저장건물 내 방폐물 저장 380
〈그림 4-1〉 심층방어 개념 390
〈그림 4-2〉 다중방호 설비 392
〈그림 4-3〉 안전설비 394
〈그림 4-4〉 안전관리체계 397
〈그림 4-5〉 세계원전사업자협회 안전점검 398
〈그림 4-6〉 SA·CAP·PG개념도 400
〈그림 4-7〉 제2회 원자력안전 및 진흥의날 기념식 403
〈그림 4-8〉 국내원전 개선대책 추진 주요내용 422
〈그림 4-9〉 한국 표준형 원자로의 지진감시설비 설치현황 428
〈그림 4-10〉 지진발생시 원전 비상대응 절차 428
〈그림 4-11〉 원전 주변 정밀부지지진관측망 현황 431
〈그림 4-12〉 국내 지진해일 발생현황 435
〈그림 4-13〉 지진해일 생성 예 435
〈그림 4-14〉 방사선관리구역 출입절차 442
〈그림 4-15〉 방사선관리구역 출입구 모습 442
〈그림 4-16〉 휴대형 공기공급 호흡방호장비 착용모습 445
〈그림 4-17〉 국내·외 원전 노형별 호기당 평균 방사선량 448
〈그림 4-18〉 국가 방사능 방재대책 체계도 451
〈그림 4-19〉 방사능 방재훈련 모습 453
〈그림 4-20〉 녹색경영대상 표창장 462
〈그림 4-21〉 녹색기업지정서 462
〈그림 4-22〉 원자력발전소 온배수 순환도 467
〈그림 4-23〉 온배수(위)/자연해수(아래)에서 월동한 넙치 비교 469
〈그림 4-24〉 영광원자력 온배수이용 해양생물전시관 470
〈그림 4-25〉 월성원자력 온배수이용 양식장 471
〈그림 4-26〉 해양환경 보전활동 472
〈그림 5-1〉 기술개발 추진 체계 492
〈그림 5-2〉 원전 기술개발 단계 493
〈그림 5-3〉 원전 기술의 발달 과정 494
〈그림 5-4〉 지식경제부 주관 원전기술개발사업 사업구도 495
〈그림 5-5〉 사업추진 체계 및 절차 497
〈그림 5-6〉 사업 분류 502
〈그림 5-7〉 과제선정 및 수행절차 504
〈그림 6-1〉 국내 원자력사업 품질보증 체계 521
〈그림 6-2〉 한국수력원자력(주) 품질보증체계도 522
〈그림 6-3〉 단계별 품질보증활동 종합 523
〈그림 6-4〉 원자력 건설사업 추진 조직 524
〈그림 7-1〉 한수원 페이스북 및 트위터 561
〈그림 7-2〉 한수원 그린미션 및 발전소 라이브 562
〈그림 7-3〉 2011 한수원 표준전지부스(좌)와 양양양수홍보관 565
〈그림 7-4〉 '알기 쉬운 원자력안전 Q&A' 제작·배포 571
〈그림 7-5〉 '방사선 바로알기' 어플 개발 571
〈그림 7-6〉 SBS '생활경제' 572
〈그림 7-7〉 원자력뮤지컬 '도깨비나라의 원자력방망이' 공연장면 575
〈그림 7-8〉 제3회 원자력탐구 올림피아드 576
〈그림 7-9〉 원전 국민수용성증진 국제워크샵 579
〈그림 7-10〉 원전홍보 매뉴얼 580
〈그림 7-11〉 2011국제원자력올림피아드참가자 582
〈그림 7-12〉 발표경쟁 장면 582
〈그림 7-13〉 원자력에너지 필요성 여부 583
〈그림 7-14〉 우리나라 원전 기술 수준 583
〈그림 7-15〉 원자력에너지의 긍정적 이미지 584
〈그림 7-16〉 원자력에너지의 부정적 이미지 584
〈그림 7-17〉 조사기관별 응답률 비교 586
〈그림 7-18〉 원자력에 대한 이미지 588
〈그림 7-19〉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 인식 589
〈그림 7-20〉 안전한 원자력 이용에 중요한 주체 591
〈그림 7-21〉 원자력 이용 찬반 인식 추이 593
〈그림 7-22〉 원전 계속운전 및 증감 의견 594
〈그림 7-23〉 원자력에 대한 호감도 변화 추이 596
〈그림 7-24〉 신규원전 건설 인식 변화 추이 597
〈그림 7-25〉 원전 이용에 대한 세계 각국 의견 598
〈그림 7-26〉 원전 이용에 대한 한국의 의견 변화 598
〈그림 7-27〉 자국 원전사고 가능성에 대한 의견 599
〈그림 7-28〉 한수원 사회봉사단 조직 601
〈그림 7-29〉 한수원 사회공헌 추진체계 602
〈그림 7-30〉 아이슈타인 프로젝트 추진체계 604
〈그림 7-31〉 지식나눔 봉사대 발대식 604
〈그림 7-32〉 다양한 사랑나눔 활동 605
〈그림 7-33〉 한수원 농어민 건강 서포터즈 활동 607
〈그림 7-34〉 보건복지부장관 격려전보('11.5) 607
〈그림 7-35〉 세계문화유산 양동마을 자매결연 및 문화재지킴이 활동 608
〈그림 7-36〉 제1기 특수용접과정 입교식('11.10) 610
〈그림 7-37〉 사업단 개소식('11.11) 610
〈그림 7-38〉 경상북도, 경주시, 한수원(주) MOU체결('11.2) 611
〈그림 7-39〉 특수용접 실습교육 612
〈그림 7-40〉 울진 뮤직 팜 페스티발 음악공연 614
〈그림 7-41〉 토요영화상영, 스포츠문화센터 발표회, 예식장 제공,... 617
〈그림 7-42〉 경상이익 대비 사회공헌 투자비율 618
〈그림 7-43〉 ISO26000 핵심주제별 도달수준 618
〈그림 7-44〉 〈동아일보 주관〉 '행복더함 사회공헌대상' 수상('11.6) 619
〈그림 7-45〉 〈지식경제부 주관〉 '지속가능경영대상' 3년 연속수상('11.10) 619
〈그림 7-46〉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주관〉... 619
〈그림 7-47〉 지원금 및 지방세 흐름도 622
〈그림 7-48〉 기금지원사업 관련 개정내용 624
〈그림 8-1〉 NEA의 운영위원회 조직 647
〈그림 8-2〉 UAE원전사업 추진 체계 685
〈그림 8-3〉 미국 원전 부지 현황 704
〈그림 8-4〉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전 일본 원전 현황 707
〈그림 8-5〉 중국 원전 부지 현황 710
〈그림 8-6〉 프랑스 원전 부지 현황 715
〈그림 8-7〉 유럽 원전 부지 현황 725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959938 | R 621.480951 ㄷ328ㅇ | 201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 이용가능 |
0001959939 | R 621.480951 ㄷ328ㅇ | 2012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