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발간사 / 정승
목차
I. 개요 18
1. 비전·목표·핵심전략 20
2. 조직·소속기관 21
3. 연혁 23
4. 사진으로 보는 식의약 주요 행사 24
II. 식품 28
제1절 식품안전관리체계 강화 29
1. 불량식품 근절을 위한 부처간 협업추진 29
2. 식품의 생산·제조 안전성 강화 37
3. 유통·소비식품 안전관리 수준 제고 61
4. 수입식품안전관리 강화 76
5. 주류 안전관리제도 정착 94
제2절 과학적 식품 기준·규격 국제화 101
1. 식품안전 기준·규격 개선 강화 101
2. 식품첨가물 및 기구·용기·포장 기준·규격 개선 강화 113
제3절 건강한 식생활 환경 확충 122
1. 먹을거리 안전관리 강화 122
2. 과학적 기반을 통한 식중독 예방관리 강화 138
3. 유전자변형식품 등 신소재 식품의 안전관리 강화 143
4. 건강기능식품 규제 개선 및 시장 활성화 154
5. 국민 영양관리 강화 176
III. 의료제품 등 201
제1절 의약품 202
1. 선진국 수준의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도입 및 정착 202
2. 의약품 심사체계 국제화 206
3. 허가 의약품 안전관리 강화 222
4. 허가·특허 정보제공을 통한 제네릭 의약품 개발 촉진 232
5. 마약류 오남용 방지를 위한 관리체계 확립 236
제2절 바이오생약·화장품 239
1. 바이오의약품(인체조직 포함) 안전관리 및 품질 고도화 239
2. 국민이 안심하는 한약재 공급 및 천연물의약품 안전관리 244
3. 소비자 중심의 화장품·의약외품 안전관리 248
4. 바이오의약품 등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을 위한 창조경제 구현 260
5. 바이오의약품 등 선진 허가심사체계 구축 271
제3절 의료기기 291
1. 소비자 중심의 의료기기 안전관리체계 선진화 291
2. 국제조화된 품질관리체계 구축 299
3. 의료기기 허가심사체계 선진화 307
IV. 위해예방 317
제1절 소비자중심 선제적 위해예방 및 위기대응 기반 구축 318
1.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위기대응 기반 구축 318
2. 사전예방을 통한 식의약품 안전관리체계 구축 321
3. 소비자단체 업무협력을 통한 소비자 권익 증진 325
4. 담배제품 안전관리 기반 확립 327
제2절 현장소통 강화로 식의약품 안전 공감대 조성 328
1. 대국민 소통 활성화 328
2. 소통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활성화 331
3. 국민 소통프로그램 운영 333
제3절 식의약품 안전정보 공유·개방·활용 확대 336
1. 식의약품 안전정보 수집 336
제4절 시험·검사기관 선진화로 국제 경쟁력 강화 346
1. 식·의약품분야 등 시험·검사기관 346
V. 식의약품 안전 연구개발 356
제1절 국민의 안전한 삶과 직결되는 연구개발 추진 357
1.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식의약품 안전관리 연구개발 투자확대 357
2. 연구자 이해를 돕기 위한 서비스 제공 359
3. 실효성 있는 연구개발사업을 위한 성과관리 360
제2절 과학적 식품안전관리를 위한 위해평가 확대 363
1. 추진배경 363
2. 추진성과 364
3. 추진계획 368
제3절 의료제품 안전관리체계 지원을 위한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371
1. 의약품 안전관리 선진화 연구 371
2. 바이오의약품 안전관리 연구 373
3. 천연물의약품 안전관리 및 국제협력 연구 376
4. 화장품·의약외품 규격 기준 및 위해 관리 연구 379
5. 의료기기 품질 및 안전관리 방안 연구 381
제4절 식의약품 등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384
1. 독성물질 국가관리 및 나노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384
2. 동물대체시험법 국제협력 및 인프라 구축 385
3. 약물안전성 예측 연구 387
4. 한국인 임상시험·의약품 평가 체계 구축 연구 389
5. 첨단분석 시스템 구축을 통한 부정·불량 식의약품 등 차단 390
6. 미래보건의료 맞춤형 모델동물활용 기반 구축 392
제5절 국가출하승인시스템 선진화 및 전문성 강화 395
1. 국가출하승인 현황 및 제도개선 395
2. 민관 협의체 운영을 통한 소통협력 강화 397
3. 국제협력 활동 399
4. 국가검정 시험분야 품질관리 강화 및 숙련도 프로그램 운영 402
VI. 부록 406
제1절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직 및 정원 현황 407
1. 조직 변천 과정 407
2. 역대 처장·청장·차장 410
3. 부서별 임무(본부) 411
4. 정원 현황 413
제2절 식품의약품안전처 소관 법령명 415
2014 식품의약품안전백서 집필진 416
판권기 419
[그림 1-1-1] 범정부 불량식품 근절 추진단 31
[그림 1-1-2] 해외 불법 인터넷 판매사이트에 대한 접속차단 등 조치건수 34
[그림 1-1-3] 계층별 교육 프로그램 운영(안) 35
[그림 1-1-4] e-로봇 불법사이트 차단 체계도(안) 36
[그림 1-1-5] 해썹의 개념 37
[그림 1-1-6] 해썹 관리사업 추진 절차 39
[그림 1-1-7] 가축사육단계 축산물 안전관리 인증기준 인증도입 현황 43
[그림 1-1-8] 축산물 안전관리 인증기준 추진체계 46
[그림 1-1-9] 연도별 축산물 안전관리 인증기준 인증업소수 및 축산물 안전관리 인증기준 인지도 조사 47
[그림 1-1-10] 축산물 안전관리 인증기준 심볼 48
[그림 1-1-11] 농산물 잔류허용기준 검사결과 53
[그림 1-1-12] 패류독소 검사결과 53
[그림 1-1-13] 유통 판매전 계란의 안전성 확보 57
[그림 1-1-14] 활어 생산단계 안전성 조사 57
[그림 1-1-15] 위해상품(식품) 판매자동차단시스템 흐름도 65
[그림 1-1-16] 식품이력관리 단계적 의무화 추진계획 66
[그림 1-1-17] 식품이력추적관리 홍보·보급·운영 체계 66
[그림 1-1-18] 식품이력추적관리시스템 연계 체계도 67
[그림 1-1-19] 식품이력추적관리 종합시스템 운영 68
[그림 1-1-20] 위해식품 정보공유 체계 69
[그림 1-1-21] 식품용 기구 구분 표시제도 재질별 시행단계 72
[그림 1-1-22] 연도별 수입식품 증가추세(2003~2013년) 77
[그림 1-1-23] 위해정보 등에 따른 검사지시 업무 흐름도 78
[그림 1-1-24]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 방사능 정보공개 창구 79
[그림 1-1-25] 식품 등 수입신고 수리 절차 80
[그림 1-1-26] 중국 가공식품 제조업체 현지실사시 설명회 개최 85
[그림 1-1-27] 중국 가공식품 제조업체 현지실사시 간담회 참석 85
[그림 1-1-28] 수입수산물 처리 절차도 93
[그림 1-1-29] 2012년도 국내 주류 산업 규모 95
[그림 1-1-30] 주류관련 법령 변화에 따른 부처간 소관업무 95
[그림 1-1-31] 주류업체 이해증진을 위한 제작 매뉴얼 97
[그림 1-1-32] 맞춤형 분석 및 기술지원 모식도 98
[그림 1-1-33] 맞춤형 기술 분석 현장 사진 99
[그림 1-1-34] 주류안전정보 홈페이지 99
[그림 1-2-1] 유해오염물질 재평가 추진계획 106
[그림 1-2-2] 「농약 및 동물용의약품의 기준 및 규격」제·개정 절차 108
[그림 1-2-3] 시·도 대상 '맞춤형 민원설명회' 현장 111
[그림 1-2-4] 잔류농약 안전관리 공동협의체 구성('13.9월) 112
[그림 1-2-5] '식품첨가물 바르게 알기' 학술세미나 및 국민포럼 개최('13.5월) 116
[그림 1-2-6] 식품첨가물 지정현황 비교편람 발간('13.8월) 116
[그림 1-2-7] 사용자 편의를 위한 식품첨가물 민원 질의답변집 발간('13.9월) 116
[그림 1-2-8]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민원 질의답변집 발간('13.10월) 119
[그림 1-3-1]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홍보 자료 124
[그림 1-3-2]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조직도 및 업무 125
[그림 1-3-3] 어린이 식품안전 보호구역 표지판 128
[그림 1-3-4] 어린이 기호식품 우수판매업소 로고 128
[그림 1-3-5] 어린이 기호식품 중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영양기준 130
[그림 1-3-6] 고열량·저영양 식품 판별 프로그램(웹버전) 130
[그림 1-3-7] 휴대폰용 New 고열량·저영양 식품 알림-e 131
[그림 1-3-8]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 제품로고 132
[그림 1-3-9] 식품안전·영양교육 교재 134
[그림 1-3-10] 초등학교 학년별 영양교육 실시 전·후 영양지식과 식생활 태도 변화 135
[그림 1-3-11] 어린이 식생활안전 공모전 안내포스터 136
[그림 1-3-12] 어린이 식생활안전 공모전 초·중등부 최우수상 당선작 136
[그림 1-3-13] 고열량·저영양식품 판별하기 홍보물 136
[그림 1-3-14] 식중독 발생 건수 및 환자수 138
[그림 1-3-15] 식중독 예방진단 컨설팅 매뉴얼 140
[그림 1-3-16] 식중독 표준업무 지침 140
[그림 1-3-17] 지하수 살균소독장치 사용자 관리매뉴얼 141
[그림 1-3-18] 식중독 조기경보 시스템 모식도 142
[그림 1-3-19] 유전자변형식품 안전성 심사 절차 146
[그림 1-3-20] 기능성 원료 인정 심사절차 158
[그림 1-3-21] 개별인정형 원료 인정 품목수(3품목이상) 160
[그림 1-3-22] 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 인증마크 163
[그림 1-3-23] 연도별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추정사례 접수 현황 166
[그림 1-3-24] 부작용 추정사례 국가검증 체계도 167
[그림 1-3-25] 맞춤형 소비자 교육·홍보 168
[그림 1-3-26] 건강기능식품 정보제공 사이트 169
[그림 1-3-27] 현장기술상담 사업 공고(2010~2013년) 171
[그림 1-3-28]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 현황(2004~2013년) 172
[그림 1-3-29] 저감화 급식 메뉴 예시 177
[그림 1-3-30]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179
[그림 1-3-31] 나트륨 줄이기 운동본부 180
[그림 1-3-32] 나트륨 섭취 저감화 정책의 사회경제적 비용편익 분석 181
[그림 1-3-33] 국산 가공식품 트랜스지방 제로화 비율 183
[그림 1-3-34] 국민 연령별 총당류 섭취량(2008~2011년 통합분석) 185
[그림 1-3-35] 가공식품 유형별 당류 섭취 기여비율(2008~2011년 통합분석) 186
[그림 1-3-36] 당류 섭취 줄이기 교육용 교재 186
[그림 1-3-37] 단맛 미각판정도구 187
[그림 1-3-38] 장류 영양표시 의무화 추진 190
[그림 1-3-39] 영양표시 홍보 리플릿 및 동영상 자료 190
[그림 1-3-40] 영양표시 가이드라인 자료 191
[그림 1-3-41] 외식 영양표시 활성화를 위한 추진전략 단계 191
[그림 1-3-42] 외식 메뉴의 영양성분 산출 가이드 192
[그림 1-3-43] 고속도로 휴게소 자율 영양표시 추진경과 193
[그림 1-3-44] 고속도로 휴게소 자율영양표시 추진체계 193
[그림 1-3-45] 자율영양표시 고속도로 휴게소 지정 193
[그림 1-3-46] 패밀리 레스토랑 영양표시 사례 194
[그림 1-3-47] 어린이 놀이시설 및 대형영화관 영양표시 사례 195
[그림 1-3-48] 백화점 자율 영양표시 사례 195
[그림 1-3-49] 식품영양성분 국가관리망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체계 196
[그림 1-3-50] 외식 영양성분 자료집 196
[그림 1-3-51] 생애주기 대상별 영양·식생활 가이드 197
[그림 1-3-52] 생애주기 영양관리 정보관 198
[그림 2-1-1] 임상시험 승인현황 219
[그림 2-1-2] 탈리도마이드 베이비 및 로페콕시브 사례 227
[그림 2-1-3] 국내 안전조치 현황 229
[그림 2-1-4] 국외 안전조치 현황 230
[그림 2-1-5] 의약품 특허인포매틱스 일평균 방문자수 234
[그림 2-1-6] 의약품 특허인포매틱스 사용자 만족도 조사 235
[그림 2-1-7] 무선주파수 인식기술 기반 마약류 통합관리시스템 체계도 237
[그림 2-2-1] 한약재 생산(제조) 실적 244
[그림 2-2-2] 2013년 생산실적별 업체수 244
[그림 2-2-3] 한의약 관련 시장규모 245
[그림 2-2-4] 한약제제 시장규모 245
[그림 2-2-5] 화장품 홍보자료 256
[그림 2-2-6] 바이오의약품 제조과정(백신, 세포치료제, 혈장분획제제) 260
[그림 2-2-7] 세계제약시장에서 합성의약품 대비 바이오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Worldwide Prescription & OTC Pharmaceutical Sales : Biotech vs. Conventional Technology) 261
[그림 2-2-8] 제조수탁 전문기업 업무 263
[그림 2-2-9] 국내 생산 바이오의약품 265
[그림 2-2-10] 2017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지원 방안 중장기 추진전략 수립 265
[그림 2-2-11] 2013년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의약품 국제 전문가 포럼 266
[그림 2-2-12] 식품의약품안전처 백신 제품화 전주기적 지원 시스템 269
[그림 2-2-13] 백신 자급화 계획 269
[그림 2-2-14] 국내 제조수탁전문기업 활성화계획에 따른 전망 270
[그림 2-2-15] 세계제약시장 규모 및 성장추세(Global Spending and Growth 2008~2017) 271
[그림 2-2-16] 세계제약시장 바이오의약품 비중 추이(The biologics market) 271
[그림 2-2-17]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규제조화센터 바이오의약품 워크숍('13.9.25~26) 및 규제당국자 회의('13.9.27.) 274
[그림 2-2-18] 바이오의약품 추진전략 277
[그림 2-2-19] 천연물신약 개발연구 해외특허 연도별 출원 및 등록현황 287
[그림 2-2-20] 천연물신약 개발연구 분야 해외 특허등고선 287
[그림 2-3-1] 의료기기 재평가 흐름도 299
[그림 2-3-2] 주요 선진국과의 품질관리시스템 비교 300
[그림 2-3-3] 연도별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심사 현황 302
[그림 2-3-4]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해설서 303
[그림 2-3-5] 각종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관련 가이드라인 발간 303
[그림 2-3-6] 위험관리 품목별 가이드라인 및 기술자문 사례집 304
[그림 2-3-7] 세계 시장규모 대비 국가별 시장규모 310
[그림 2-3-8] 국내 의료기기 산업 시장 현황 310
[그림 2-3-9] 그룹심사제 운영절차 311
[그림 2-3-10] 의료기기 특성을 반영한 원재료 등 관리 방안 마련 311
[그림 2-3-11] 의료기기 민·관 전문협의체 구성 315
[그림 3-1-1] 위기대응 모의훈련 및 역량강화 교육 320
[그림 3-1-2] 위기 대응 체계도 320
[그림 3-1-3] 소비자단체장 간담회(2013.4.5) 326
[그림 3-2-1] 소비자포럼 업무 흐름도 329
[그림 3-2-2] 소비자포럼 행사 329
[그림 3-2-3] 위해소통 정기 및 실무협의회 개최 332
[그림 3-2-4] 국민 소통프로그램 행사 334
[그림 3-3-1] 식의약품 등 정보수집 체계 338
[그림 3-3-2] 2013년 아시아 국제 식품안전당국자 네트워크 및 세계보건기구 아시아지역 식품안전전략회의 340
[그림 3-3-3] 식의약품 안전정보 제공체계 341
[그림 3-3-4] 인천국제공항 전광판(92인치) 제공화면 343
[그림 3-3-5] 온라인 쇼핑몰 정보 공지 사례 344
[그림 3-3-6] 주간 기업체 정보제공 344
[그림 3-4-1] 시험·검사기관 품질관리기준 적용 개요 349
[그림 4-1-1] 2014년 연구개발 사업별 예산 분포 현황 359
[그림 4-2-1] 유해물질 모니터링 정보·분석·관리시스템 365
[그림 4-2-2] 미생물 성장예측모델 366
[그림 4-2-3] 위해평가 지침서 발간 368
[그림 4-3-1] 연도별 실적 373
[그림 4-3-2] 생약표준품(표준생약, 지표성분) 분양 현황 377
[그림 4-3-3] 연구사업으로 도출된 연도별 실적건수 380
[그림 4-4-1] 국내 동물대체시험법 가이드라인 386
[그림 4-5-1] 백신 품질관리실험실 네트워크(VQC Lab-net) 구성 397
[그림 4-5-2] 생물학적제제 품질관리실험실 네트워크(Lab-net) 워크숍 398
[그림 4-5-3] 혈액제제 품질연구 민관포럼 구성 399
[그림 4-5-4] 제2차 백신검정 국제교육 프로그램 40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965530 | R 363.19 ㅅ561ㅅ | 201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 이용가능 |
0001965531 | R 363.19 ㅅ561ㅅ | 2014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