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발간사(Foreword) : 차(茶), 즐거움을 마시다(The Tea, Healing and Joy) / 이원복
목차
I. 즐거움에 빠지다 7
우리나라 다인(茶人)과 차 기록(Korean Tea-tasters and Records about Tea) 8
Column : 차(茶)에서 찾으려 했던 것들… 9
Column : 차를 통한 교유, 다산(茶山) 추사(秋史) 초의(草衣) 19
II. 즐거움을 마시다 41
옥처럼 청아하고 은처럼 맑은 그릇에 담아내다(Pour Tea into Elegant, Silver-clear Bowls) 42
Column : 삼국시대 차의 전래와 문화 44
Column : 고려인(高麗人), 차의 열풍을 찻잔에 비추다 51
Column : 우리가 몰랐던 차 이야기 58
Column : 백자, 예(禮)를 다하는 조선의 마음이 깃들다 82
III. 즐거움을 더하다 99
즐거움을 더하다(Add Joy to Tea Drinking) 100
Column : 신神과의 만남 180
IV. 즐거움을 만나다 189
논고 220
고려시대 차(茶) 정책의 운용과 문화 / 김성환 221
1. 머리말 221
2. 왕실에서 다방(茶房)의 운영 223
3. 다소(茶所)의 운영과 차 생산 225
4. 차(茶)의 유통과 다례(茶禮) 230
5. 사찰에서의 다원(茶園)과 다원(茶院) 운영 235
6. 차를 통한 문인들의 교유와 다점(茶店) 238
7. 맺음말 - 조선 전기 차문화의 위축 242
참고문헌 244
조선시대 차문화의 전개와 특징 / 박동춘 245
1. 들어가며 245
2. 조선 전기의 차문화 246
3. 조선 후기의 차문화 252
4. 조선 후기 차문화 중흥 257
5. 나오며 262
참고문헌 264
조선시대 다기고(茶器考) / 방병선 265
1. 서론 265
2. 명에서 보낸 다종(茶鐘)과 중국 다기 266
3. 일본이 탐낸 고려다완(高麗茶碗) 268
4. 영조와 진상다병(進上茶甁) 272
5. 조선, 중국, 일본의 혼용 앙식 백자다관(白磁茶罐) 274
6. 맺음말 276
참고문헌 277
도판목록 278
우리나라의 차 그림[茶畵] - 흐림의 변천과 대세 및 특징 / 이원복 279
1. 서언 : 차와 조형예술, 고요의 미학(美學) 279
2. 오래된 그림 주제 : 생활과 더불어 선호(選好) 282
3. 차 그림의 몇 유형 : 불화, 책거리 그리고 고사산수인물화 283
4. 차 그림의 새로운 한 양상 : 풍속화와 기록화 내 조선 복색의 차 모임 286
5. 차 그림을 남긴 조선시대 화가 : 시대별 뛰어난 화가들 다수 참여 287
6. 차 그림의 회화사적 의의(意義) : 오랜 주제의 명화(名畵) 290
참고문헌/도판목록 292
도판목록(List of Plates) 293
판권기 30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980666 | 394.12 -14-1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