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이 땅에 사랑, 정의, 생명존중, 윤리, 도덕, 철학적 가치의 융성을 소망하며 / 4
PART Ⅰ 국가와 국민의 행복한 삶: 국민의 행복을 위한 국가 / 12 국민의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가? / 14 국민 여러분, 지금 행복하십니까? / 19 대한민국 국민은 왜 행복하지 않은 것일까? / 22 행복국가로 가는 길은 무엇인가? / 27
PART Ⅱ 사회(社會, Society): 나눔과 공존의 가치가 살아있는 사회 / 36 모든 것은 가정에서 출발한다 / 38 주거공간의 안정이 국민행복의 시작이다 / 40 환경의 무한존재가치를 생각하자 / 43 국민의 생명은 그 누구를 막론하고 소중하다 / 46 일자리가 안정화되어야 국민의 삶도 안정된다 / 48 공동체 사회가치가 중요하다 / 50 사회갈등을 없애야 나라가 산다 / 52 청년세대의 가치를 먼저 깨닫는 나라에 미래가 있다 / 74 통합과 화합의 대한민국을 향해 / 78
PART Ⅲ 교육(敎育, Education): 인성이 함께 하는 참교육 / 80 왜 공부하는가? / 82 참교육의 궁극적 목적과 가야 할 길은? / 85 인성 교육이 우선이다 / 88 어떤 교육이 참된 교육일까? / 92 학교교육보다 가정교육이 우선이다 / 95 우리 사회는 살아 있는 교육장이다 / 98
PART Ⅳ 경제(經濟, Economy): 도덕이 살아 있는 경제 / 100 한강의 기적을 이루다 / 102 초고속 성장의 어두운 단면 / 104 저출산, 고령화 사회와 우리의 경제 / 107 장기 경기침체의 늪, 보고만 있을 것인가? / 109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 이대로 좋은가? / 111 중산층의 기준,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 114 도덕적 철학이 숨 쉬는 경제를 만들다 / 119 통일을 통한 제2의 경제성장을 꿈꾸다 / 122
PART Ⅴ 정치(政治, Politics): 철학이 숨 쉬는 정치 / 126 정치란 무엇일까? / 128 우리나라의 현대 정치사史 / 129 우리가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 131 그 나라의 국민수준은 그 나라의 정치수준이다 / 133 철학이 숨 쉬는 정치를 희망하며 / 135
PART Ⅵ 세계(世界, World): 주도적이고 자주적인 세계관 / 138 누구나 말하지만 아무도 모르는 세계화와 세계관 / 140 세계화는 계속 변하고 진화한다 / 142 세계화를 둘러싼 불편한 진실 / 145 국민이 행복한 착한 세계화의 길 / 147
PART Ⅶ 언론(言論, Press): 진실을 말하는 언론 / 150 언론의 역사가 주는 소중한 교훈 / 152 우리 사회 언론자유의 현주소 / 155 권력화된 언론이 조작사회 일등공신 / 156 그래도 우리 사회는 희망적이다 / 158
PART Ⅷ 역사(歷史, World): 민족적 자긍심을 키우는 올바른 역사관 / 160 주변국들의 우리 역사 왜곡의 현실 / 162 우리나라의 잘못된 역사 인식의 현주소 / 165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 / 167 광개토대왕릉비를 통해 보는 우리 민족의 긍지 / 171 우리가 만들어 가야 할 자랑스러운 미래의 역사 / 175
PART Ⅸ 문화(文化, Culture): 한국의 얼과 혼이 깃들어 있는 문화 / 178 문화의 수준은 곧 그 나라의 격格이다 / 180 우리가 살아온 한국의 문화 / 183 우리가 살고 있는 문화 / 186 발상의 전환을 통해본 우리의 문화 / 189 이제는 버려야 할 그릇된 문화 / 193 계승·발전시켜야 할 아름다운 우리 문화 / 197 우리가 만들어 가야 할 새로운 문화 / 207
PART Ⅹ 종교(宗敎, Religion): 개인과 사회에 봉사, 헌신하는 종교 / 216 종교를 말하다 / 218 세계의 종교를 둘러보다 / 222 종교가 가져다주는 본질적 역할 / 225 내 종교만이 전부는 아니다 / 227 종교의 본질은 개인과 사회에 헌신하는 것이다 / 232
에필로그 멈추지 않는 대한민국, 전 국민이 행복한 새로운 내일은 꼭 오리라 / 235
이용현황보기
국가의 존재 이유는 무엇인가 = (The)existence of nation : 대한민국 행복 프로젝트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02293
301.0951 -15-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02294
301.0951 -15-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32549
301.0951 -15-9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0002032550
301.0951 -15-9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내 명의로 된 아파트 한 채와 중형차 한 대, 예금 1억 원이 있어야 한국에서는 ‘중산층’ 약자를 돕고 불의에 저항하라고 가르치는 선진국의 ‘중산층’에 비한다면 왠지 속물스럽다 국가는 발전하는데 국민이 행복하지 않은 것은 바로 중산층의 교양 부족과 상류층의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부족 때문이다!
행복 컨설턴트 권문규, 천영선이 전하는 행복한 대한민국 만들기 프로젝트 제2탄
우리나라는 압축성장을 해 오면서 돈으로 즉각 환산되지 않는 가치들은 무시하거나 외면하는 문화도 함께 키워왔다. 그 결과 경제는 성장하고 어느 정도 잘사는 나라도 되었지만 상상하기 어려운 희생과 비용을 수반하는 환경 문제를 비롯한 도덕적·윤리적인 각종 문제들이 터져 나왔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행복한 국가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한 국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알기 위해서는 그 나라 중산층의 삶을 살펴보면 된다고 한다. 옥스퍼드 대학에서는 영국 중산층이라면 페어플레이를 하고, 자신의 주장과 신념을 가지되 독선적으로 행동하지 말며, 불의·불평·불법에 의연히 대처해야 한다는 등의 내용을 제시한 바 있다. 미국의 공립학교에서는 중산층이라면 자신의 주장에 떳떳하고, 사회적 약자를 도와야 하며, 부정과 불법에 저항하고, 책상 위에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비평지가 놓여 있어야 한다고 가르친다. 이에 반해 한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은 30평 이상의 부채 없는 아파트와 2,000㏄급 중형차를 소유하고, 예금액 잔고를 1억 원 이상 보유하며, 1년에 한 차례 이상 해외여행을 다니는 것 등이라고 한다. 한 사회의 근간을 이루어가는 대다수 국민이 속한 범주인 이 중산층이 물질적·경제적인 조건과 더불어 정신적·문화적인 소양과 자부심을 갖출 때 우리 사회는 더욱 건강해지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냉철한 시대분석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들이 꿈과 희망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는 국가를 만드는 데 필요한 소양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국가 위상을 정립하고, 민족정기를 회복하며, 정의사회의 구현을 이루어, 궁극적으로 국격을 높이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