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방법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제4절 선행연구 검토 1. 정치동향 연구 2. 경제동향 연구 3. 문화 및 관광 분야 연구 제5절 유라시아 지역의 문화특성 1. 유라시아 지역의 민족ㆍ언어ㆍ문화적 유사성 2. 실크로드를 통한 유라시아 지역의 문명교류사
제2장 주요 국가별 유라시아 지역전략 제1절 러시아 : '신유라시아주의' 1. 정치ㆍ경제적 입장 및 전략 2. 문화ㆍ관광적 입장 및 전략 제2절 중국 : '신(新)실크로드 전략' 1. 정치ㆍ경제적 입장 및 전략 2. 문화ㆍ관광적 입장 및 전략 제3절 터키 : '범(汎)투르크 연대정책' 1. 정치ㆍ경제적 입장 및 전략 2. 문화ㆍ관광적 입장 및 전략 제4절 몽골 및 중앙아시아 5개국 : '트랜짓 몽골리아 전략' 1. 정치ㆍ경제적 입장 및 전략 2. 문화ㆍ관광적 입장 및 전략
제3장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관련정책 및 추진사업 제1절 정치ㆍ경제 분야 추진현황 1.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구축 2. 물류ㆍ교통 네트워크 확장 3. 광역두만강개발계획 추진 4. 유라시아 국가들과의 경제협력 MOU 체결 제2절 문화ㆍ관광 분야 추진현황 1.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추진사업 2. 문화예술인 및 관련기관 추진사업
제4장 문화ㆍ관광분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전략 수립방향 제1절 전문가 의견조사 1. 조사개요 2.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전략 추진방향 제2절 정책 추진체계 정비 1. 관련분야 추진체계 현황 2. '문화ㆍ관광분야 전략 추진단' 구성 제3절 문화ㆍ관광 협력 프로그램 개발 1. 유라시아 문화ㆍ관광프로그램 개발 효과 및 EU 사례 2. 유라시아 문화정체성 제고 프로그램 3. 교육ㆍ문화ㆍ문화산업 융합프로그램 4. 관광상품 및 콘텐츠 개발 5. 유라시아 실크로드 문화익스프레스 복합문화공간 추진 6. 유라시아 문화ㆍ콘텐츠 펀드 조성 4절 문화ㆍ관광 전문인력 양성 및 활용 1. 유라시아 문화ㆍ관광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 2. 전문인력 양성아카데미 인증제 도입 및 프로그램 개발 지원 3. 유라시아 지역 관련 예술가 발굴 및 예술교류사업 추진 4. 유라시아 문화ㆍ관광 관련 전문인력 교류 및 일자리 창출
제5장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이용현황보기
문화관광분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전략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