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7
제1절 연구개발의 배경 7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 8
1. 다능성 중배엽세포에서 혈관내피 줄기/전구세포로의 고효율분화유도, 분화성숙도향상, 이식후 생체적용/기능향상을 위한 진보된 줄기세포 기술 개발 및 확립의 필요성 및 목적 8
2. 다능성 중배엽세포에서 혈관내피 줄기/전구세포로의 고효율분화유도, 분화성숙도향상, 이식후 생체적용/기능향상을 위한 연구 범위 8
제2장 연구개발 대상 기술의 국내/외 현황 9
1. 세계적 수준 9
2. 국내수준 9
3. 배아 및 역분화 줄기세포 유래 혈관내피 줄기/전구세포 분화기술에 대한 현황 10
4. 우수한 성과 및 보고들에 대한 재현성 논쟁 10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11
제1절 배아 및 역분화줄기세포 유래 다능성 중배엽세포에서 혈관내피세포로의 고효율 분화 및 생체적용 독창기반기술 확립 11
1. 생쥐 배아 및 역분화 줄기세포 유래 다능성 중배엽세포를 이용한 혈관내피세포로의 분화 기반 기술 선행 연구 11
2. 배아 및 역분화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다능성 중배엽세포에서 혈관내피세포로의 고효율 분화 및 생체적용 독창기반기술 확립 12
제2절 배아 및 역분화줄기세포 유래 다능성 중배엽세포에서 물리적 자극을 이용한 생체 최적화된 혈관내피세포 분화 기술 확립 16
제3절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다능성 중배엽세포에서 조혈내피세포 및 혈액전구세포로의 분화 기술 확립 17
1. 연구 배경 17
2.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다능성 중배엽세포에서 조혈내피세포 및 혈액전구세포로의 분화 기술 확립 17
제4절 생쥐의 망막과 맥락막에서 혈관 신생을 관찰할 수 있는 동물 모델 개발 21
1. 연구 배경 21
2. 망막 혈관 질환 (미숙아 망막병증, 당뇨망막병증) 동물 모델 확립(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2013 5:203ra127에 논문 게재, SCI IF=10.757) 21
3. 맥락막 혈관 질환 (노인성 황반변성) 동물 모델 확립(Invest Ophthalmol Vis Sci. 2014 55:2191-9에 논문 게재, SCI IF=3.441) 22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23
(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23
(2)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23
(4) 연구 목표 변경 사유 24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26
가.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 26
나. 기대성과 26
(1) 기술적 측면 26
(2) 경제, 산업적 측면 26
(3) 사회, 문화적 측면 27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28
제7장 연구시설·장비 현황 29
제8장 참고문헌 30
I. 제목
배아 및 역분화 세포유래 중배엽세포에서 고효율 혈관내피세포 분화 및 생체적용 연구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배아 및 역분화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다능성 중배엽세포를 효율적으로 혈관내피세포로 분화 및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을 확립하고, 이에 관여하는 신호 전달 체계와 물리 및 기계적 자극을 이용하여 생체 최적화된 혈관내피세포를 만들 수 있는 기반 기술과 혈관 신생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동물 모델을 확립한다.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배아 및 역분화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다능성 중배엽세포에서 혈관내피세포로의 고효율 분화 및 생체적용 독창기반기술 확립
2. 배아 및 역분화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다능성 중배엽세포에서 물리적 자극을 이용한 생체최적화된 혈관내피세포 분화 기술 확립
3.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다능성 중배엽세포에서 조혈내피세포 및 혈액전구세포로의 분화 기술 확립
4. 배아 및 역분화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다능성 중배엽세포로부터 분화시킨 혈관내피세포를 이식 후에 혈관 신생을 관찰할 수 있는 동물 모델 확립
IV. 연구개발결과
1. 배아 및 역분화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다능성 중배엽세포에서 VEGF-VEGFR 체계의 하위 신호 체계인 Rho associated protein kinase (ROCK) 전달 체계를 막는 Y27632를 투여하였을 때 혈관내피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유도하였고, 이에 반해 평활근세포로의 분화는 억제하였음.
2. 배아 및 역분화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다능성 중배엽세포에 shear stress 등의 물리적 자극을 주어 혈관내피세포로 선택적으로 분화시킴.
3.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다능성 중배엽세포를 Matrigel을 이용한 3차원적 세포배양 시스템에서 조혈내피세포 및 혈액전구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킴.
4. 생쥐의 망막과 맥락막에서 혈관 신생을 관찰할 수 있는 동물 모델을 개발함.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배아 및 역분화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다능성 중배엽세포로부터 분화시킨 혈관내피세포 및 조혈내피세포, 조혈전구세포를 동물 질환 모델에 이식하여 임상 적용의 가능성을 확인함.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T000040192 |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 전자자료 | 이용불가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