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발간사 / 劉震龍

발간사 / 李種南

축간사 / 金寬容

축간사 / 權寧世

목차

壬辰亂 7周甲 記念 文化·學術 大祭典 槪要 - 壬辰戰爭, 420年의 記憶과 共存의 未來 / 柳漢晟 14

임진란 연구 총서의 발간 경위 및 구성에 대하여 21

1. 국내 학술대회 경과 보고 21

2. 국제 학술대회 경과 보고 22

3. 본 총서 수록 논문의 선별 기준 범례 24

제1장 정치와 외교 '동아시아 국제전쟁, 임진란' 27

기조 논문 : 壬辰亂 7周甲의 역사적 의미 / 한명기 30

씻기지 않는 상처와 울분, 적개심의 기억 30

大航海時代, 日本 崛起, 조선의 尊明意識 34

연전연패, 위기의식, 李舜臣과 義兵 39

'구원군'과 '점령군' 사이에서 42

壬辰亂은 丙子胡亂의 씨앗 46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弱體性 극복의 절실함 51

02. 1510~1609년간 조일관계(朝日關係)의 동향 / Kenneth R. Robinson 56

머리말 56

1. 허위인물과 하카다의 호족,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상품 59

2. 해적행위와 허위인물 62

3. 교역에서 침략으로 72

맺음말 77

03. 임진란 시기 朝鮮의 군사력 강화와 明 무기의 도입 / 정해은 82

머리말 82

1. 조선이 접한 명의 무기 84

2. 군사력 증강책 90

3. 명군의 철수 문제 100

맺음말 104

04. 남병(南兵)의 시점에서 본 임진전쟁(壬辰戰爭) / (楊海英 108

『당장서첩(唐將書帖)』에 그려진 남병의 모습 108

1. 남병장(南兵將) 낙상지(駱尙志)가 류성룡에게 보낸 서신 110

2. 남병교사가 류성룡에게 보낸 문서 113

3. 남병장 진인(陳寅)이 류성룡에게 보낸 서신 115

남병 장수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 118

1. 남병 유격(遊擊) 호대수(胡大受) 118

2. 진강(鎭江) 유격 오종도(吳宗道) 121

3. 연병(鍊兵) 파총(把總) 엽정국(葉靖國) 125

4. 동정의 깃발 오유충(吳推忠) 126

남병의 시점에서 본 임진전쟁 130

05. 임진란 시기 조선의 對明 外交關係 / 한명기 136

머리말 136

1. 임진란 초기의 對明外交關係 138

2. 명군의 본격적인 참전, 講和協商 시기의 對明外交關係 144

3. 講和 파탄과 丁酉再亂 발생 이후의 對明外交關係 157

맺음말 161

06. 임진란 시기 조선군의 활약 - 전쟁 전반의 흐름을 중심으로 / 이민웅 166

머리말 166

1. 임진왜란 초기 수세기(1592년 4월~8월) 167

2. 조선군의 반격과 조명 연합군의 공세기(1592년 6월~1593년 2월) 174

3. 강화교섭기와 정유재란기의 조선군(1593년 4월~1598년 11월) 187

맺음말 199

07. 임진란기의 강화교섭과 加藤淸正 - 조선왕자의 送還문제를 중심으로 / 김문자 204

머리말 204

1. 일본군의 한성철수와 조선왕자 송환문제 206

2. 조선과의 강화교섭 212

3. 강화교섭의 파탄과 일본군의 재침략 217

나오며 224

제2장 사회와 문화 '전쟁의 혼란과 새로운 희망' 227

08. 임진란 시기 항왜의 투항 배경과 역할 / 한문종 230

머리말 230

1. 倭兵의 투항 배경과 투항 시기 231

2. 降倭의 誘致와 처리 236

3. 降倭의 활용 및 역할 246

4. 조선의 관직을 제수받은 降倭 253

맺음말 256

09. 조선통신사의 피로인 쇄환과 그 한계 / 손승철 260

서론 260

1. 피로인의 규모와 쇄환 상황 261

2. 회답겸쇄환사의 피로인 쇄환 264

3. 통신사의 피로인쇄환 283

4. 피로인 기록의 분석 287

맺음말 289

10. 壬辰戰爭에서 小西行長의 동향 / 鳥津亮二 294

머리말 294

1. 임진전쟁 이전의 小西行長 295

2. 임진전쟁기의 小西行長의 동향 303

맺음말 313

참고 문헌 314

11. 임란 일기의 여러 유형과 전쟁을 겪은 양반들 / 김현영 316

머리말 316

1. 임란 일기의 여러 유형 317

2. 전쟁 한가운데의 기록, 이순신의 『난중일기』 320

3. 양반 사족의 왜란 체험, 조정의 『壬亂日記』 323

4. 왜란과 후대의 실기류 편찬 329

5. 왜란을 겪은 보통사람들 331

맺음말 335

12. 임란 이후 海行에 대한 당대의 시각 - 通信使를 보내는 문집 소재 送序를 중심으로 / 안대회 338

머리말 338

1. 海行 관련 자료와 海行에 대한 시각의 차이 340

2. 특별한 遠遊로서의 海行 350

3. 적대적 시각 : 감정적 대응과 復讐雪恥의 의식 354

4. 일본과의 화해와 문명적 접근 360

맺음말 371

제3장 경제와 군사 '경제사와 군사사의 새로운 모색' 373

13. 임진란과 조선의 경제 / 김성우 376

머리말 376

1. 17세기 경상도 군현의 경제 상황 : 선산과 성주 사례 380

2. 전후 정부의 경제 정책 : '여민휴식 정책(與民休息政策)' 383

맺음말 390

14. 임진란 시기 조선의 軍糧需給策과 그 성격 / 이욱 394

머리말 394

1. 明軍의 參戰과 조선 정부의 부담 397

2. 朝鮮政府의 軍糧 確保策과 그 性格 404

맺음말 420

15. 임진란 시기 동양 삼국의 무기체계 / 久保田正志 424

개괄 424

1. 기병에 대하여 425

2. 철포(화승총)에 대하여 430

3. 대포에 대하여 436

4. 활, 창, 칼에 대하여 438

결론 440

16. 임진란과 국제무역 / 이헌창 450

연구 시각 450

1. 세계 무역사와 임진란 451

2. 임진란의 무역사적 배경 464

3. 임진란의 무역사적 영향 475

요약 485

17. 임진란과 일본경제 / 정성일 490

머리말 490

1. 노동력 조달 측면에서 본 임진란과 일본경제 492

2. 군량 조달 측면에서 본 임진란과 일본경제 511

맺음말 523

판권기 524

vol.2

표제지

목차

제4장 의미와 교훈 '임진란 연구의 현재와 미래' 529

18. 임진란 해전에 대한 일본의 기억 -칠천량 해전 관련 기사의 검토를 중심으로 / 김시덕 531

들어가며 531

1. 『징비록』 유입 이전의 가라시마 해전 기사 532

2. 『징비록』 유입에 따른 혼란의 가중 543

나가며 547

19. 20세기 초기 일본의 임진란 인식 -도쿠토미 소호(德富蘇峰)의 『近世日本國民史』(豊臣氏民時代-朝鮮役)를 중심으로 / 노영구 549

머리말 549

1. 근세 이후 일본의 임진란 이해 552

2. 도쿠토미 소호의 생애와 사상 556

3. 『근세일본국민사』의 체재와 임진란 인식 560

맺음말 570

20. 조선과 근세 일본 사이의 교차하는 역사에의 기억 - 임진왜란과 "귀무덤(Mimizuka)" / 허남린 573

서론 573

1. 이총의 연원 575

2. 근세의 이총에 관한 기억 585

결론 : 화해될 수 없는 임진왜란에 대한 집단 기억 593

21. 율곡의 십만양병설로 보는 임진란의 기억 / 민덕기 597

머리말 597

1. 조선시대 십만양병설의 전개 599

2. 왜란 이전의 동북방 위기 603

3. 율곡의 대외적 위기의식 607

4. 율곡시대 일본 정세 611

5. 율곡의 군정개혁 616

6. 임진란 타개책 620

맺음말 622

22. 豊臣秀吉의 조선 침략과 포르투갈 관계에 대한 고찰 / 신동규 627

머리말 627

1. 포르투갈 선교사에 대한 중국정복 표명의 의미 630

2. 포르투갈 선교사에 대한 秀吉의 원조 요청 634

3. 明軍 소속 포르투갈 용병 '海鬼'의 참전 640

맺음말 649

제5장 임진 의병사의 재조명 652

23. 임진왜란 의병 연구의 성과와 전망 / 정해은 655

머리말 655

1. 임진의병의 연구 성과와 쟁점 657

2. 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학술대회 논문성과 674

맺음말 682

24. 조선 후기 '忠烈公 宋象賢 敍事'의 사회문화적 성격 / 오인택 685

머리말 685

1. '忠烈公 宋象賢 敍事'의 성립 과정 686

2. '忠烈公 宋象賢 敍事'의 사회문화적 성격 701

맺음말 713

25. 임진왜란 초기 경상좌도 의병 활동과 성격 / 이욱 717

머리말 717

1. 경상좌도 의병의 활동 양상 720

2. 의병장의 구성과 관군과의 관계 740

맺음말 749

26. 임진왜란 시기 경상우도의 의병운동 / 김강식 753

머리말 753

1. 경상우도의 전황과 위치 755

2. 경상우도 의병의 기반과 조직 762

3. 경상우도 의병운동의 변화 796

맺음말 807

27. 임란 의병운동의 성격과 호남의병의 특성 / 조원래 811

머리말 811

1. 의병봉기의 배경, 임란의병의 유형 812

2. 호남지방의 전략적 위치와 의병활동의 특성 815

맺음말 826

28. 임진왜란기 경기 의병의 활동 양상과 특징 / 정해은 829

머리말 829

1. 임진왜란 초기 경기의 적침 상황 832

2. 경기 의병과 의병장의 실태 836

3. 경기 의병의 특징 842

맺음말 854

29. 壬辰倭亂期 淸州城戰鬪의 義兵將 研究 / 곽호제 857

머리말 857

1. 淸州城 戰鬪의 背景과 展開 858

2. 淸州城 戰鬪 參與 義兵將 866

맺음말 879

30. 임진왜란 의승군 활동의 역사적 의미 / 김용태 883

머리말 883

1. 청허 휴정과 그의 문도 884

2. 임진왜란의 의승군 활동 889

3. 의승군 활동의 역사적 의미 894

맺음말 898

31. 임진왜란 초기 함경도의 상황과 왜군 격퇴 / 김현영 901

머리말 901

1. 임란 시기 함경도 지역의 상황 902

2. 북평사 정문부 의병의 구성과 활동 908

3. 『북관일기』와 함경도 관찰사 윤탁연의 동향 917

맺음말 922

판권기 924

vol.3

표제지

목차

제6장 기출간 논문 I 929

01. 壬辰倭亂論 - 올바르고 새로운 認識 / 허선도 932

緖言 932

1. 壬亂戰局의 推移-倭側의 敗北 932

2. 壬亂史에 대한 日人의 歪曲 941

3. 壬亂에 대한 戰爭史的 理解 948

4. 殉國史觀 聖雄史觀 止揚 966

結言 998

02. 壬辰倭亂의 再照明 / 최영희 1008

머리말 1008

1. 壬亂戰鬪史의 再檢討 1009

2. 倭軍의 慘狀과 淸野策 1016

3. 亂後의 統治秩序 收拾策 1020

4. 亂後의 國交再開와 對日認識의 推移 1027

맺는말 1033

03. 壬辰倭亂에 대한 理解의 몇 가지 問題 / 이태진 1036

04. 한국과 일본학계의 임진왜란 원인론에 대하여 / 이계황 1046

머리말 1046

1. 한국학계 1048

2. 일본학계 1055

맺음말 1080

05. 壬辰倭亂 초기 양상에 대한 기존 인식의 재검토 - 和歌山縣立博物館 소장 「壬辰優亂圖屛風」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 노영구 1086

머리말 1086

1. 임진왜란 초기 조선군의 대응 양상 1089

2. 임진왜란 義兵의 실상과 의병에 대한 인식의 변화 1095

3. 和歌山縣立博物館 소장 「壬辰倭亂圖屛風」에 나타난 임진왜란 초기 양상 1102

맺음말 1110

06. 임진왜란 초기 경상좌도 조선군의 대응양상에 대한 검토 - 경상좌병사 박진(朴晉)과 권응수(權應銖)의 활동을 중심으로 / 김진수 1114

머리말 1114

1. 임진왜란 개전 초기 경상좌도의 상황과 조선군의 동향 1118

2. 경상좌도 조선군의 재편 과정과 반격 양상 1126

맺음말 1135

07.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지역 전투와 군사체제 / 이호준 1138

머리말 1138

1. 경상도 지방군의 동원과 초기 전투 1141

2. 조정의 초동조치와 경장(京將) 부대의 전투 1169

맺음말 1191

08. 임진왜란 전후 중앙군제의 변화 / 김종수 1196

머리말 1196

1. 공병제에서 사병제로 변화 1198

2. 번상병제에서 장번병제로 변화 1205

3. 기병(사수) 중심에서 보병(포수) 중심으로 변화 1212

맺음말 1219

09. 壬辰倭亂 시기 軍投制의 동요와 개편 / 윤용출 1224

序言 1224

1. 代立制와 收布制 1227

2. 피역·도망의 현상 1237

3. 군역제의 재편 1245

結語 1266

10. 壬辰倭亂期 國家의 屯田 設置와 經營 / 송양섭 1274

머리말 1274

1. 군량조달 문제와 둔전의 설치 1277

2. 둔전의 경영 실태 1285

3. 둔전정책의 한계 1300

맺음말 1304

11. 임진왜란 시기 咸陽 守令의 전란 대처 - 『孤臺日錄』을 중심으로 / 이선희 1310

머리말 1310

1. 전란기 수령의 임용에 미친 국가행정력 1314

2. 전란기 수령의 軍政 수행과 民政 처리 1321

맺음말 1337

12. 어느 지방 이서의 임진왜란 증언과 전승 - 경상도 인동의 향리 劉席珍과 그의 임진왜란 일기 / 이훈상 1340

머리말 1340

1. 임진왜란 일기와 유석진, 그리고 그의 吏胥 이력 1344

2. 임진왜란의 경험과 증언 1354

맺음말 : 전쟁 이후 인동의 향리 사회와 일기 개수의 의의 1368

부록 : 조선후기 인동의 『吏房先生案』 1374

13. 壬辰倭亂 극복의 社會的 動力 - 士林의 義兵活動의 基底를 중심으로 / 이태진 1378

序言 1378

1. 16세기 후반기의 政治的 過渡期性 1380

2. 16세기 전반기의 勳戚政治의 폐해와 官軍의 쇠퇴 1387

3. 士林系의 鄕村秩序 확립운동과 義兵活動의 基底 1398

結言 1409

14. 경상도 임란의병의 활동 배경과 의의 / 정진영 1414

머리말 : 의병연구와 자료 1414

1. 임란 전후의 鄕村 실정과 民心의 동요 1421

2. 경상도 義兵과 초유사 김성일 1428

3. 義兵의 구성과 活動 1433

맺음말 : 경상도 의병활동의 의의와 한계 1440

15. 壬辰倭亂 義兵의 性格 變化 - 義兵의 官軍化 問題 / 김강식 1444

머리말 1444

1. 義兵將의 義兵觀 1447

2. 王朝의 義兵觀 1454

3. 義兵將의 官人化 1462

맺음말 1467

16. 月谷 禹拜善의 壬辰倭亂 義兵活動 - 그의 『倡義遺錄』을 중심으로 / 이수건 1470

머리말 1470

1. 關係資料와 活動地域 1473

2. 家系와 生涯 1482

3. 倡義 및 義兵活動 1487

맺음말 1520

17. 임진왜란기 일본군의 함경도 점령과 지역민의 동향 / 김만호 1524

머리말 1524

1. 일본군의 침입과 함경도의 사회상 1527

2. 일본군의 점령 정책과 지역민의 대응 1537

맺음말 1551

vol.4

표제지

목차

제6장 기출간 논문 II 1559

18. 壬辰倭亂 이후 戰後復舊事業의 전개와 兩班層의 동향 / 김성우 1562

머리말 1562

1. 戰亂期와 이후 시기의 경제 상황 1567

2. 양반층 주도의 戰後復舊事業 1574

3. 양반층의 경제 기반의 확보와 사회적 성장 1584

맺음말 1592

19. 丁酉再亂期 漆川梁海戰의 배경과 원균 함대의 패전 경위 / 이민웅 1598

머리말 1598

1. 일본의 再侵 준비 1599

2. 宣祖의 誤判과 통제사 교체 1605

3. 漆川梁海戰의 경과 1612

4. 敗戰의 영향과 이후 동향 1619

맺음말 1624

20. 역사 속의 이순신 인식 / 노영구 1628

들어가며 1628

1. 조선후기 이순신에 대한 평가와 현창 1630

2. 20세기 이후 이순신에 대한 인식 변천 1638

맺음말 1646

21. 임진왜란 체험의 설화화 양상 / 설성경 1650

서론 1650

1. 임란 이전 사건의 설화화 양상 1651

2. 임란의 과정에 나타난 여성의 대응 양상 1666

3. 임진왜란의 종결과 보상의 설화화 양상 1681

마무리 1686

22. 일본문학에 나타난 임진왜란의 영향 / 최관 1690

1. 일본문학과 임진왜란 1690

2. 조선군기물(朝鮮軍記物) 1693

3. 목소관(木曾官)이라는 조선의 맹장 1695

4. 일본에서의 이순신 장군 1699

5. 임진왜란과 문학연구의 전망 1702

23. 임진왜란에 대한 일본의 시각 변천 / 김문자 1706

1. 임진왜란에 관한 일본의 명칭 1706

2. 에도 시대의 임진왜란관 1708

3. 현대 일본의 임진왜란관 1710

4. 일본 역사교과서의 임진왜란관 1714

24. 근세 초기 일본의 임진왜란 담론 형성과정 - 인용에 의한 담론 생성 / 김시덕 1720

서론 1720

1. 『조선정벌기』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보』 사이의 간극 1721

2. 명 문헌과 일본 문헌 사이의 간극 1728

결론 1734

25. 임진왜란 연구에서 간찰의 활용 - 최경회 간찰을 통한 의병 연구의 보완과 사실 접근 / 이상훈 1736

머리말 1736

1. 최경회 간찰의 개요 1738

2. 간찰 작성시기의 임란 정황 1742

3. 간찰의 내용 분석 1745

맺음말 1749

26. 임진왜란기의 조일관계 / 김문자 1752

들어가며 1752

1. 조선침략 직후 '朝日강화교섭'을 통해서 본 조일관계(1592.4~1593.2) 1754

2. 조선침략 중 '朝日강화교섭' 재개를 통해 조일관계(1593.3~1597.2) 1759

3. 조선 재침략과 일본군 철병시기에 나타난 조일관계(1594.3~1598.11) 1767

맺음말 1772

27. 임진왜란 직후, 대일강화정책의 성격 연구 / 김경태 1776

머리말 1776

1. 조선 내 강화배격의 양상 1779

2. 對馬 포섭정책의 시작 1781

3. 對 幕府 강화정책의 전개 1790

맺음말 1803

28. 임진왜란시 일본군의 조선 성곽 이용에 대하여 / 유재춘 1806

머리말 1806

1. 임란시 조선에서의 일본군 축성과 조선성곽 이용 1807

2. 일본군의 성산성 이용과 유적 현황 1813

맺음말 1825

29. 임진왜란 중의 납치된 조선인 문제 - 被虜入 규모와 기존 연구의 검토를 중심으로 / 민덕기 1828

머리말 1828

1. 韓日 兩國의 납치 조선인 연구 1829

2. 납치 조선인에 대한 일본 측 시각 1833

3. 조선인의 납치 규모 1838

맺음말 1848

30. 임진왜란 후 조·일간의 문물교류 / 하우봉 1854

머리말 1854

1. 朝鮮文物의 日本傳來 1855

2. 日本으로부터의 文物傳來 1864

맺음말 1869

31. 壬辰亂時 明의 派兵에 대한 論考(一) - 派兵의 背景과 軍事活動에 대한 評價 / 최소자 1872

序言 1872

1. 明의 派兵背景 1873

2. 明軍活動에 대한 評價 1894

結言 1904

32. 정유재란기 명조의 파병결정과 '公議' - 『文興君控于錄』을 중심으로 / 차혜원 1908

서론 1908

1. 사행 활동의 전개 1911

2. 명조정의 대립구도와 사절단활동 1920

3. 廷議의 추이와 결과 1929

결론 1934

33. 朝·明聯合艦隊의 형성과 露梁海戰 경과 / 이민웅 1938

머리말 1938

1. 古今島 移陣과 朝·明聯合艦隊의 형성 1939

2. 四路竝進作戰과 연합함대의 동향 1948

3. 露梁海戰 경과와 大捷의 의의 1954

맺음말 1962

34. 倭亂後 明軍의 留兵論과 撤兵論 / 유승주 1966

序言 1966

1. 朝鮮의 10,000·15,000留兵案과 明의 33,000留兵案 1969

2. 朝鮮의 8,000留兵案과 明의 15,000留兵案 1977

3. 朝鮮의 3,000留兵案과 明의 10,000留兵案 1983

4. 朝鮮의 1,000留兵案과 李德馨의 對馬羈縻論 1990

結語 2000

35. 임진왜란 시기 '再造之恩'의 형성과 그 의미 / 한명기 2004

緖言 2004

1. '再造之恩' 형성의 배경 2006

2. '再造之恩' 강조의 정치적 의미 2012

3. '再造之恩' 顯彰 事業의 전개 2018

맺음말 2024

36. 軍船으로서의 原型龜船 - 龜船改造論을 中心으로 / 장학근 2028

서론 2028

1. 龜船의 船型變化 2029

2. 板屋船·龜船의 船型的 關聯性 2032

3. 軍船으로서 龜船構造 2037

4. 原型龜船의 復元圖 2050

결론 2051

37. 임진왜란기 조총의 전래와 제조 - 「철포기」를 중심으로 / 이왕무 2054

머리말 2054

1. 조총의 등장과 임진왜란 2056

2. 조총의 전래와 제조 2062

맺음말 2072

38. 임진왜란기 朝·明·日 삼국의 무기체계와 교류 - 火藥兵器를 중심으로 / 박재광 2074

머리말 2074

1. 朝·明·日 삼국의 火藥兵器 2075

2. 朝鮮의 火器 開發 2091

맺음말 2105

39. 임진왜란기 조선이 접한 短兵器와 『武藝諸譜』의 간행 / 정해은 2108

머리말 2108

1. 조선이 접한 단병기 2110

2. 단병기의 확산 추이 2119

3. 『무예제보』의 간행 2129

맺음말 2132

40. 朝鮮後期 關防施設의 變化過程 / 차용걸 2136

序言 2136

1. 壬辰倭亂 以前의 關防施設 2138

2. 壬辰亂中의 關防施設 2146

3. 倭城의 影響 2153

餘言 2164

판권기 2166

이용현황보기

(壬辰亂7周甲紀念)壬辰亂硏究叢書. 1-4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24778 951.5211 -15-7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24779 951.5211 -15-7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24780 951.5211 -15-7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24781 951.5211 -15-7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24782 951.5211 -15-7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24783 951.5211 -15-7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24784 951.5211 -15-7 v.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24785 951.5211 -15-7 v.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