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 책머리에-5

제1부/ 영화, 글쓰기를 가르치다
왜 영화로 글쓰기 교육을 해야 하는가시론(試論)_ 박정하
영화 형식을 활용한 묘사문 쓰기_ 함종호
영화를 활용한 창의적 사고와 발문하기, 어떻게 할 것인가_ 김소은
영화 감상 에세이, 부담 없이 쓰기_ 이상원

제2부/ 영화, 글쓰기를 만나다
영화와 소설을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교육 ― 영화 《청야》와 단편소설 「도묘」를 중심으로_ 황영미
영화 《부당거래》를 활용한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 ― ‘공동체와 정의’ 주제 수업 사례_ 박현희
영화 《워낭소리》와 글쓰기 교육_ 황성근
자신을 만나는 글쓰기 ― 영화 《모터사이클 다이어리》를 중심으로_ 한경희
‘글쓰기의 준비’, 《세 얼간이》에게 배우다_ 남진숙

제3부/ 영화, 읽고 이야기하다
대학 교양 교육에서의 텍스트 읽기 교육 ― 영화 《라쇼몽》을 텍스트로 하여_ 안철택
영화 《시라노》로 생각하고 표현하기_ 황혜영
같이 살 것인가, 헤어질 것인가? ― 영화 《내 아내의 모든 것》의 딜레마, 협상으로 해결하기 _ 신희선
토론으로 가르치는 영화 읽기 ― 영화 《친구》를 예로 _ 김경애

제4부/ 영화, 깊이 들여다보다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 영화 《시》 읽기 _ 김중철
수사학 전통과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 영화 《시》의 경우 _ 김영옥
영화에 나타난 이중 구속의 애도 작업으로서 시 쓰기 ― 《시》, 《영원과 하루》_ 안숭범
스포츠 경기의 영화화에 따른 담화전략 연구 ―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을 중심으로_ 박상민·정수현
비밀 햇살, 은밀한 은혜 ― 영화 《밀양》의 경우_ 김응교

▣ 저자 약력

이용현황보기

영화로 읽기 영화로 쓰기 = Reading with film writing with film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36119 791.43015 -15-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36120 791.43015 -15-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영화를 읽고 영화로 글을 쓰며
사고력, 표현력, 의사소통 능력 키우기!


글쓰기와 말하기는 단순한 작문이나 화법이 아니다. 기초적인 배경지식, 깊은 사고력과 판단력, 문제 해결 능력, 그리고 상대방과 커뮤니케이션하면서 자기 의견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타인을 설득하는 힘까지 필요한 고차원적인 능력이다. 그런 점에서 영화는 효과적인 도구가 된다. 단순한 영화 감상문 쓰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영화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사고를 끌어낼 수 있고 영화를 계기로 자기 스스로를 돌아보는 성찰의 체험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책은 그러한 영화를 활용한 다양한 글쓰기, 사고하기, 토론하기 교육의 사례를 제시한다. 영화 <워낭소리>는 텍스트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통해 생각하고 분석하며 해석한 사고의 결과물을 한 편의 글로 담아내는 데 활용되었고, <라쇼몽>은 고정된 시각에서 탈피하여 열린 마음으로 여러 시각에서 볼 수 있는 공부를 하기 위한 텍스트 읽기를 배우는 데 적절한 자료가 되었다. 로맨틱 코미디 영화 <내 아내의 모든 것>은 대화와 협상의 이론과 원칙을 배우고 의사소통의 기술을 개발해내는 협상 교육의 콘텐츠로 재탄생했다.
이 책은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영화, 글쓰기를 가르치다’, ‘영화, 글쓰기를 만나다’, ‘영화, 읽고 이야기하다’, ‘영화, 깊이 들여다보다’로 이어지며 글쓰기 교육 방법론에서부터 영화 분석까지 다양한 관점으로 영화와 글쓰기를 접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