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 책머리에-5
제1부/ 영화, 글쓰기를 가르치다
왜 영화로 글쓰기 교육을 해야 하는가시론(試論)_ 박정하
영화 형식을 활용한 묘사문 쓰기_ 함종호
영화를 활용한 창의적 사고와 발문하기, 어떻게 할 것인가_ 김소은
영화 감상 에세이, 부담 없이 쓰기_ 이상원
제2부/ 영화, 글쓰기를 만나다
영화와 소설을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교육 ― 영화 《청야》와 단편소설 「도묘」를 중심으로_ 황영미
영화 《부당거래》를 활용한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 ― ‘공동체와 정의’ 주제 수업 사례_ 박현희
영화 《워낭소리》와 글쓰기 교육_ 황성근
자신을 만나는 글쓰기 ― 영화 《모터사이클 다이어리》를 중심으로_ 한경희
‘글쓰기의 준비’, 《세 얼간이》에게 배우다_ 남진숙
제3부/ 영화, 읽고 이야기하다
대학 교양 교육에서의 텍스트 읽기 교육 ― 영화 《라쇼몽》을 텍스트로 하여_ 안철택
영화 《시라노》로 생각하고 표현하기_ 황혜영
같이 살 것인가, 헤어질 것인가? ― 영화 《내 아내의 모든 것》의 딜레마, 협상으로 해결하기 _ 신희선
토론으로 가르치는 영화 읽기 ― 영화 《친구》를 예로 _ 김경애
제4부/ 영화, 깊이 들여다보다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 영화 《시》 읽기 _ 김중철
수사학 전통과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 영화 《시》의 경우 _ 김영옥
영화에 나타난 이중 구속의 애도 작업으로서 시 쓰기 ― 《시》, 《영원과 하루》_ 안숭범
스포츠 경기의 영화화에 따른 담화전략 연구 ―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을 중심으로_ 박상민·정수현
비밀 햇살, 은밀한 은혜 ― 영화 《밀양》의 경우_ 김응교
▣ 저자 약력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036119 | 791.43015 -15-6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036120 | 791.43015 -15-6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