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03 바그너의 생애 09 바그너의 예술관 21 혁명적 오페라 이론- ‘종합예술작품’ 26 바그너의 예술 언어 35 바그너와 반유대주의 44 바그너 예술의 성지-바이로이트 56 바그너의 영향과 바그너의 공연 66 바그너의 주요 작품 72 니벨룽의 반지 91 마치며 133
이용현황보기
바그너의 이해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33125
782.1092 -15-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33126
782.1092 -15-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바그너를 알기 위해 꼭 읽어야 할 교양서! 한 권에 담긴 바그너의 모든 것
▶ 내용 소개 『바그너의 이해』는 2013년에 탄생 200주년을 맞이한, 오페라의 팬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이제는 친숙한 이름이 된 작곡가 바그너에 관한 교양서다. 이러한 책이 나온 게 처음은 아니지만, 기존의 바그너 관련 책들은 평전 형식이거나, 본격적 학술서들이 대부분이었다. 이 책은 음악(오페라), 문학, 미학, 철학, 역사, 공연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 방대한 연계 그물망을 구축해 놓은 작곡가 바그너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핵심 정보들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오페라 애호가에게 바그너는 히말라야와도 같은 존재다. 그는 전형적인 다수의 인간 군상을 거대한 음(音)의 스펙트럼 위에 쏟아부은, 오페라 역사상 전대미문의 걸작 예술품인 <니벨룽의 반지> 4부작을 만든 거인이다. 또 바이로이트에 자신의 오페라만을 공연하는 공간을 만든 장본인이기도 하다. 그로 인해 바이로이트는 오페라 팬들이라면 죽기 전에 한 번은 꼭 가보고 싶은 성지(聖地)가 되었다. 이렇듯 바그너를 이야기할 때는, 이 <니벨룽의 반지>와 바이로이트에 관한 이야기를 충분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책은 지식적인 면에서나, 교양적인 면에서 다양한 함의를 지닌 이 바그너란 인물과 그의 작품을 이해하고 즐기는 데 꼭 필요한 내용을 가능한 한 모두 다루고자 했다. 그러한 이유로 이 책은 바그너를 마냥 어렵고 부담스러운 음악인으로만 여기던 많은 클래식 애호가들에게 훌륭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책속에서
[P.21~22] 오늘날 바그너는 오페라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작곡가의 한 명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생애 내내 그는 작곡가이기 이전에 시인이자 예술 이론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스스로 끊임없이 노력했다. 즉 작곡가와 이론가로서의 중요성을 넘어서 극작가, 무대 감독, 소설가, 수필가와 가극 대본 작가이기도 했던 것이다. 토마스 만은 그의 <니벨룽의 반지> 강연(1937년)에서 “바그너의 시인성을 의심한다는 것은 나에게 언제나 모순이었다.”라고 했다. “지그프리트와 보탄의 관계, 그의 파괴자를 향한 신(神)이자 아버지다운 조소와 냉연(冷然)한 애정, 영원한 젊은이를 위해 사랑을 품은 채 낡은 권력의 보좌에서 퇴위하는 것보다 시적으로 더 아름답고 더 심오한 것이 있을까? 여기에서 음악가가 발견하는 그 경이에 찬 소리를 그는 시인에게 힘입고 있다.” 바그너에 있어 음악과 문학은 서로 긴밀한 관계 속에 있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바그너의 경우』에서 이렇게 말한 바 있다. “바그너는 그의 음악을 ‘그것이 중요한 어떤 것을 의미하고 있으므로’ 진지하게 받아들이도록, 깊이 받아들이도록 온 세상을 설득시키기 위해 문학을 필요로 했다. 그는 평생토록 그 ‘이념(理念)’의 주석자였다.”
[P. 48] 하지만 바그너의 반유대주의는 모순된 측면이 많다. 그는 열렬한 반유대주의자였던 것 같은데 생애 내내 유대인 음악가들을 동료로 곁에 두고 그들과 서로 협조하며 살았다. 합창 지휘자 하인리히 포르지나 유명한 지휘자 헤르만 레비 등이 그들이다. 바그너 음악의 최고의 연주자 중 상당수의 음악인들이 유대인이었고 지금도 다니엘 바렌보임, 제임스 레바인 등 유명한 유대인 지휘자들이 바그너의 최고 해석자들이다. 물론 바그너 생애 당시 그 주변에 유대인 동료들이 많았던 것은 그가 유독 유대인을 가까이 했다기보다는, 2등 국민 취급을 받았던 유대인들 중 어쩔 수 없이 생존을 위해 직업 연주자의 길을 택했던 이들이 많았기 때문으로 볼 수도 있다.
[P. 58] 바그너의 열 작품 모두 빼어난 수작이지만 바이로이트를 특별하게 만드는 오페라는 역시 <니벨룽의 반지(이하 <반지>)> 4부작과 <파르지팔>이다. 인류가 만든 공연 예술 작품 중 가장 방대한 걸작으로 꼽히는 <반지>는 <라인의 황금>, <발퀴레>, <지그프리트>, <신들의 황혼> 4편으로 이루어져 4일 동안 공연하게 되어 있고 바이로이트 오페라 극장을 위해서 만들어졌다. 특히 본편인 <발퀴레>부터는 공연 시간이 3시간 반이 넘기 때문에 공연 후 반드시 하루를 쉰다. 그래서 바이로이트에서 이 <반지> 4부작을 보려면 6일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간과 우주의 대서사시에 비견되는 <반지>를 바이로이트에서 본다는 것은 오페라 팬들에게는 생애 가장 소중한 감동의 시간이요 황홀한 1주일로 기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