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연구 과업의 개요 5

1. 과업의 목적 5

2. 과업의 내용 6

3. 과업의 추진 방향 7

4. 과업 추진 일정 12

5. 과업 기대 효과 13

6. 제안 사항 14

Ⅱ. 〈2014년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첫걸음 다국어판 개발ㆍ제작〉을 위한 기초 연구 17

1. 언어권별 발음 오류 조사 및 분석 17

2. 언어권별 문화 특징 조사 및 분석 18

3. 동영상 강의 분석의 근거 19

4. 기존 교재 조사 및 분석 22

5. 2014년도 교재 개발의 방향 24

Ⅲ. 2014년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첫걸음 다국어판 개발의 실제 27

1. 교재의 구성 27

2. 교재의 개요 33

3. 교재의 내용 39

4. 교재의 배포 방안 94

참고문헌 107

판권기 113

표목차

〈표 1〉 실제성과 전형성을 기반한 대화문 구성 요소 8

〈표 2〉 과업 추진 단계 12

〈표 3〉 과업 추진 일정 13

〈표 4〉 동영상 강의 분석 기준 19

〈표 5〉 2014년도 교재의 영역과 범위 25

〈표 6〉 발음편 단원 구성표 27

〈표 7〉 대화편 단원 구성표 30

〈표 8〉 조사 대상 다문화가족지원센터 95

〈표 9〉 출신 국가별 학습자 분포 95

〈표 10〉 베트남 출신 응답자 특성 95

〈표 11〉 베트남 출신 학습자의 인터넷 사용 목적 97

〈표 12〉 베트남 출신 학습자의 온라인 한국어 학습 영역 98

〈표 13〉 베트남 출신 학습자가 온라인 한국어 학습을 하지 않은 이유 99

〈표 14〉 베트남 출신 학습자의 온라인 한국어 학습 요구 99

〈표 15〉 일본 출신 응답자 특성 100

〈표 16〉 일본 출신 학습자의 인터넷 사용 목적 101

〈표 17〉 일본 출신 학습자가 온라인 한국어 학습을 하지 않은 이유 102

〈표 18〉 일본 출신 학습자의 온라인 한국어 학습 요구 102

〈표 19〉 필리핀 출신 응답자 특성 103

〈표 20〉 필리핀 출신 학습자의 인터넷 사용 목적 105

〈표 21〉 필리핀 출신 학습자가 온라인 한국어 학습을 하지 않은 이유 105

〈표 22〉 필리핀 출신 학습자의 온라인 한국어 학습 요구 106

그림목차

〈그림 1〉 교재 연습 활동 예시 9

〈그림 2〉 아나운서, 성우와의 연습 예시 9

〈그림 3〉 대화편 8단원 모범 대화문(목표 기능: 아픈 증상 말하기) 10

〈그림 4〉 '도움말'ㆍ'꼭 기억하세요' 예시 11

〈그림 5〉 문화 상대주의적 활동 예시 11

〈그림 6〉 교육 항목의 배열 및 제시 방법 예시 34

〈그림 7〉 발음편 자음1 단원의 도입 장면 예시 34

〈그림 8〉 시청자를 위한 연습 예시 34

〈그림 9〉 학습자 오류를 고려한 설명 방법 예시 35

〈그림 10〉 '도움말' 예시 35

〈그림 11〉 조음도 예시 35

〈그림 12〉 '꼭 기억하세요'ㆍ연습 문제 예시 36

〈그림 13〉 대화편 도입 예시 36

〈그림 14〉 실제적인 대화 연습 제시: 시청자가 여자 역할을 하여 말하기 연습 37

〈그림 15〉 목표 항목 제시 예시 37

〈그림 16〉 목표 항목 설명 예시 38

〈그림 17〉 성우와의 대화 연습 예시 38

〈그림 18〉 단원의 주제와 목표 기능을 고려한 문화 주제 선정의 예시 38

〈그림 19〉 베트남 출신 응답자의 인터넷 접속 방법 96

〈그림 20〉 베트남 출신 응답자의 일일 인터넷 사용 시간 97

〈그림 21〉 베트남 출신 응답자의 온라인 한국어 학습 경험 여부 97

〈그림 22〉 온라인 한국어 학습 경험이 있는 베트남 출신 학습자의 1회 한국어 학습 시간 98

〈그림 23〉 온라인 한국어 학습 경험이 있는 베트남 출신 학습자가 1회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학습 시간 98

〈그림 24〉 온라인 한국어 학습 경험이 없는 베트남 출신 학습자가 1회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학습 시간 99

〈그림 25〉 일본 출신 응답자의 인터넷 접속 방법 101

〈그림 26〉 일본 출신 응답자의 일일 인터넷 사용 시간 101

〈그림 27〉 일본 출신 응답자의 온라인 한국어 학습 경험 여부 102

〈그림 28〉 온라인 한국어 학습 경험이 없는 일본 출신 학습자가 1회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학습 시간 103

〈그림 29〉 필리핀 출신 응답자의 인터넷 접속 방법 104

〈그림 30〉 필리핀 출신 응답자의 일일 인터넷 사용 시간 104

〈그림 31〉 필리핀 출신 응답자의 온라인 한국어 학습 경험 여부 105

〈그림 32〉 온라인 한국어 학습 경험이 없는 필리핀 출신 학습자가 1회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학습 시간 106

이용현황보기

(2014년)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첫걸음 다국어판 개발·제작 : 사랑해요 대한민국 : 최종 보고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39145 411.8 -15-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39146 411.8 -15-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