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10
제1장 서론 22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3
제2절 주요 연구내용 26
제2장 선행연구 검토 27
제1절 인적자원개발의 개념과 영역 28
1.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28
2. 인적자원개발의 영역과 방법 30
제2절 인적자원개발과 기업 성과 33
1.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33
2. 인적자원개발과 기업 성과 34
제3절 HRD-Index(인적자원개발지수) 관련 연구 37
1. 김해동 외(2001),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8
2. 송창용 외(2006a), 「인적자원개발지수 [HRD Index]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9
3. 김용민(2006), "기업 인적자원지수(Human Resource Index) 개발", 김안국 외(2006),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200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안국(2007), "한국 기업의 인적자원(HR) 수준과 기업 성과: HCCP 자료를 통한 HRI... 41
4. 송창용 외(2006b), 「기업 인적자원개발지표와 신용평가지표 연계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5
5. 송창용 외(2007a), 「성과 연계형 기업 HR 활동 지표ㆍ지수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송창용 외(2007b), 「기업인적자원개발지표와 신용평가 연계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7
제4절 기타 지수(Index) 관련 연구 50
1. UNDP(annually), The Human Development Index 50
2. 오헌석 외(2011), 국가인적자원개발 경쟁력 지수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51
3. 오민홍(2011), 지역 노동시장 종합지수 개발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53
4. 김을식(2011), 경기도 지역고용종합지수 개발 및 분석 54
5. 백승협 외(2011), 홍수 관련 지표 산정을 위한 표준화 및 가중치 비교 연구 55
6. 이정호 외(2010),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 지표의 가중치 산정 방법에 관한 연구 56
제5절 논의 60
제3장 HRD-Index 구축 63
제1절 분석 자료: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CCP) 64
제2절 HRD-Index의 구성과 지표 68
제3절 결측 대체와 표준화, 가중치 부여 방법 77
1. 결측 자료 대체 77
2. 하위지수 표준화 78
3. 가중치 부여 80
제4장 HRD-Index 활용 83
제1절 주요 HRD 지표의 현황 86
제2절 HRD-Index의 현황 93
제3절 HRD-Index와 기업 성과 102
1. 분석변인과 기초 통계 102
2. HRD-Index와 인적자원 성과 109
3. HRD-Index와 재무 성과 118
제5장 결론 125
1. HRD-Index 구축 126
2. HRD-Index 현황 및 시사점 127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30
SUMMARY 132
참고문헌 136
[부록] 143
판권기 148
[그림 2-1] 김용민(2006)의 HRI 체계도 41
[그림 4-1] HRD-Index (Ⅰ)의 분포 99
[그림 4-2] HRD-Index (Ⅱ)의 분포 99
[그림 4-3] HRD-Index (Ⅲ)의 분포 9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