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연구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6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6

2. 연구의 구성 17

1) 연구내용의 구성 17

2) 연구방법의 구성 19

3. 연구의 추진체계 및 절차 20

1) 추진체계 20

2) 추진절차 및 경과 21

제2장 선행연구 및 정책현황 분석 26

1. 학교 밖 청소년 개념 및 정의 26

2. 선행연구 검토 28

1)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접근의 시대사적 변화 28

2)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연구 검토 29

3. 정책 지원 현황 34

1) 학교 밖 청소년 관련 관계부처 정책 34

2) 관계부처 주요 지원사업의 전달체계 50

제3장 학교 밖 청소년지원 및 서비스 전달체계 58

1. 전달 및 지원체계의 구성 58

1) 행정계층 구조와 서비스 전달체계 58

2) 행정체계구조 단층 및 다층의 장·단점 61

2. 전달주체의 기능 및 역할 63

1) 전달주체 기능배분의 기준 63

2)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서비스 전달주체의 기능 및 역할 66

3.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센터의 설치 73

1) 설치 및 시설 기준 73

2) 조직 및 인력 구성 76

제4장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운영 82

1. 중앙센터 82

1) 사업개요 82

2) 센터운영 82

2. 광역센터 89

1) 사업개요 89

2) 센터운영 90

3. 기초센터 94

1) 사업개요 94

2) 기본서비스 운영 95

3) 프로그램 운영 103

4) 지역사회 협력네트워크 운영 108

제5장 결과의 요약 및 제언 116

1. 주요결과의 요약 116

2.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제언 117

참고문헌 126

판권기 130

표목차

〈표 II-1〉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연구 32

〈표 II-2〉 두드림·해밀 프로그램 내용 35

〈표 II-3〉 청소년특별지원 사업 지원내용 37

〈표 II-4〉 취업성공패키지 지원 내용 43

〈표 II-5〉 청소년 자립생활관 지원 내용 44

〈표 II-6〉 서울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사업 45

〈표 II-7〉 서울시 징검다리 거점공간 및 도시형 대안학교 사업 내용 46

〈표 II-8〉 광주광역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사업 47

〈표 II-9〉 광주광역시 징검다리 배움터 및 도시형 대안학교 사업 내용 47

〈표 II-10〉 광주광역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진로 및 취업교육 48

〈표 II-11〉 광주광역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대안프로그램 운영 48

〈표 II-12〉 광역시·도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조례 49

〈표 II-13〉 광역시·도 학업중단 청소년 관련 조례 49

〈표 II-14〉 부처별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정책 54

〈표 III-1〉 지방행정계층구조의 장·단점: 단층제 vs 2충제 61

〈표 III-2〉 '중앙-광역-기초' 행정계층별 기본기능 배분의 기준 비교 66

〈표 III-3〉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서비스 전달 주체별 기능 및 역할 67

〈표 III-4〉 광역시·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및 청소년활동진홍센터 시설기준 74

〈표 III-5〉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시설 기준(안) 76

〈표 III-6〉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조직 및 인력 구성 기준 78

〈표 IV-1〉 중앙센터 학교 밖 청소년 지원계획 수립 지원 관련 조항 및 관련 사업(안) 83

〈표 IV-2〉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위원회 구성 관련 조항 및 관련 사업(안) 84

〈표 IV-3〉 학교 밖 청소년 DB 구축 관리·운영 관련 조항 및 관련 사업(안) 85

〈표 IV-4〉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 대한 행정처분의 기준 87

〈표 IV-5〉 지역사회 청소년통합지원체계와의 연계 관련 조항 및 관련 사업(안) 90

그림목차

[그림 I-1] 제정 법에서의 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 및 범주 16

[그림 I-2] 연구 내용의 구성 18

[그림 I-3] 연구 추진체계 21

[그림 I-4] 연구 추진단계별 내용 및 일정 22

[그림 II-1] 학교 밖 청소년의 연령 범위 27

[그림 II-2] 여성가족부 정책대상자로서의 범주 및 유형 34

[그림 II-3] 두드림과 해밀 사업 36

[그림 II-4] 교육부 정책대상자로서의 범주 및 유형 38

[그림 II-5] Wee-Project 추진체계 40

[그림 II-6] 고용노동부 정책대상자로서의 범주 및 유형 41

[그림 II-7] 법무부 정책대상자로서의 범주 및 유형 44

[그림 II-8] 여성가족부 전달체계 50

[그림 II-9] 교육부 전달체계 51

[그림 II-10] 고용노동부 전달체계: 취업성공패키지 51

[그림 II-11] 고용노동부 전달체계: 취업사관학교 52

[그림 II-12] 법무부 전달체계 52

[그림 II-13] 서울특별시/광주광역시 전달체계 53

[그림 III-1] 우리나라 지방행정체계 및 현황 58

[그림 III-2] 강한 중앙집중형 전달체계 59

[그림 III-3] 분권화 절충형 전달체계 60

[그림 III-4] 약한 분권화형 전달체계 60

[그림 III-5] 단충제 지방행정 전달체계 62

[그림 III-6] 2층제 지방행정 전달체계 62

[그림 III-7] 지원 서비스 전달체계 및 전달 주체별 기능·역할 69

[그림 III-8] 기초센터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협력네트워크 72

[그림 III-9] 기초센터 서비스제공 업무 수행체계 흐름도 77

[그림 III-10] 중앙센터 조직 및 인력 구성 78

[그림 III-11] 광역센터 조직 및 인력 구성 78

[그림 III-12] 기초센터 조직 및 인력 구성 78

[그림 IV-1] 학교 밖 청소년 DB 구축 절차 86

[그림 IV-2] 중앙지원센터 협력네트워크(안) 88

[그림 IV-3] 광역센터 지역사회 협력네트워크(안) 91

[그림 IV-4] 기초센터 협력네트워크 구축 지원(안) 92

[그림 IV-5] 학교 밖 청소년 사례 배분 절차(안) 93

이용현황보기

학교 밖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개발·연구 : 지원서비스 전달체계 및 프로그램 구성을 중심으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48290 362.7 -15-6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48291 362.7 -15-6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