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4

ABSTRACT 7

제1장 서론 1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1.1. 연구의 필요성 16

1.2. 연구의 목적 17

2. 선행연구 검토 18

2.1. 선행연구 18

2.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9

3. 연구내용 및 방법 20

3.1. 연구 내용 20

3.2. 연구 방법 21

제2장 한우와 돼지고기 수급 및 가격 동향 22

1. 한우 22

1.1. 수급 동향 22

1.2. 가격 동향 26

2. 돼지 30

2.1. 수급 동향 30

2.2. 가격 동향 35

제3장 한우와 돼지고기 수요변화 요인 38

1. 수요변화 요인 38

1.1. 소비촉진과 할인 행사 38

1.2. 정육점형 식당 활성화 39

1.3. 캠핑문화의 확산 40

1.4. 식육가공품 수요 증가 44

1.5. 대체 수요 증가 46

1.6. 기타 48

2. 수요변화 요인별 가격 영향 분석 52

2.1. 분석방법 52

2.2. 쇠고기 수급 영향 추정 결과 53

2.3. 돼지고기 수급 영향 추정 결과 55

제4장 수요변화 요인 계량분석 57

1. 분석 방법 57

1.1. 이론적 검토 57

1.2. 자료 수집 60

1.3. 함수 형태와 변수 61

2. 분석 결과 63

2.1. 수요함수 추정 결과 63

2.2. 역수요함수(가격 신축성 함수) 추정 결과 67

3. 요약 및 시사점 70

제5장 한우와 돼지고기 소비 행태 조사 72

1. 조사 개요 72

2. 조사 결과 74

2.1. 육류 소비 행태 일반 74

2.2. 식품위해요소의 육류 소비에 대한 영향 78

2.3. 여가 및 식품 소비 행태의 육류 소비에 대한 영향 81

2.4. 한우 및 돼지고기 부위별 소비 변화 85

3. 요약 및 시사점 89

제6장 요약 및 시사점 91

1. 요약 91

1.1. 한우와 돼지고기 수요 변화 91

1.2. 수요변화 요인 92

1.3. 수급요인별 가격 효과 분석 94

1.4. 수요변화 요인 계량분석 94

1.5. 육류 소비 행태 조사 95

2. 시사점 97

2.1. 수요변화 요인의 지속적 모니터링 97

2.2. 수요 변화에 따른 생산ㆍ유통단계 주체의 신속한 시장대응 98

2.3. 가축질병 재발방지 및 위해요인 제거 노력 98

2.4. 축산관측을 위한 수요모형 구축 99

[부록] 100

참고문헌 110

판권기 110

표목차

표 2-1. 쇠고기 수급 24

표 2-2. 2013년과 2014년 쇠고기 수급 비교 26

표 2-3. 2013년과 2014년 한우 가격 비교 30

표 2-4. 돼지고기 수급 33

표 2-5. 2013년과 2014년 돼지고기 수급 비교 34

표 2-6. 2013년과 2014년 돼지고기 가격 비교 37

표 3-1. 한우 할인행사 실적 39

표 3-2. 전국 농ㆍ축협 축산물판매장 현황 40

표 3-3. 가계수지 중 캠핑 및 운동용품 구매액 추이 42

표 3-4. 전국 캠핑장 현황 43

표 3-5. 식육가공품의 세부 품목별 판매량 45

표 3-6. 2013년과 2014년의 돼지고기 부위별 가격 동향 46

표 3-7. 수산물 대체 육류의 평균 수요 증가율 48

표 3-8. 국내 생산량 대비 학교급식 비중 49

표 3-9. 연도별 중국 관광객 추이 50

표 3-10. 한우와 돼지고기 수요 증가 요인(전년 대비) 51

표 3-11. 한우가격 상승 요인별 기여도(전년 대비 증감률) 54

표 3-12. 돼지고기 가격 상승 요인별 기여도(전년 대비 증감률) 56

표 4-1. 변수 기초 통계량 61

표 4-2. 추정 모형 변수 개요 62

표 4-3. 한우 수요함수 추정 결과 64

표 4-4. 기존 쇠고기 수요 탄력성 추정치 64

표 4-5. 돼지고기 수요함수 추정 결과 66

표 4-6. 기존 돼지고기 수요 탄력성 추정치 66

표 4-7. 한우 역수요함수 추정 결과 68

표 4-8. 돼지고기 역수요함수 추정 결과 69

표 5-1. 설문응답자 특성 73

표 5-2. 육류 유형별 소비 수준 74

표 5-3. 식품위해요소에 대한 소비자 인식 79

표 5-4. 식품위해요소의 농식품 소비에 대한 영향 규모 79

표 5-5. 2013년 일본 방사능 오염수 유출보도의 축수산물 소비에 대한 영향 80

표 5-6. 2014년 HPAI 발생의 축산물 소비에 대한 영향 80

표 5-7. 여가 및 식품 소비 행태 참여 경험이 있는 소비자 비중 81

표 5-8. 여가 및 식품 소비 행태 참여 경험자의 육류 구매 횟수 82

표 5-9. 여가 및 구매 행태 등의 육류 소비에 대한 영향 존재 여부 83

표 5-10. 여가 및 구매 행태 등으로 인한 2014년 육류 소비 변화 83

표 5-11. 여가 및 구매 행태 등의 육류 소비에 대한 영향의 지속성 84

표 5-12. 육류 소비 감소 요인 87

표 5-13. 육류 소비 증가 요인 88

그림목차

그림 1-1. 한우와 돼지 가격에 영향을 미친 요인 21

그림 2-1. 한육우 사육 마릿수 동향 23

그림 2-2. 월별 쇠고기 국내 생산과 수입 추이 24

그림 2-3. 한우 도축 마릿수 동향 25

그림 2-4. 한우 산지가격 동향 27

그림 2-5. 등급별 한우 도매가격 28

그림 2-6. 한우와 호주산 갈비 소비자 가격 동향 28

그림 2-7. 한우 도매가격 동향 29

그림 2-8. 도축 마릿수 및 연평균 사육 마릿수 동향 31

그림 2-9. 부분육 수입 동향 32

그림 2-10.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월별 동향 34

그림 2-11. 돼지고기 도매가격 동향 35

그림 2-12. 돼지 월별 도매가격 동향 36

그림 3-1. 스포츠ㆍ레저용품 거래액 추이 41

그림 3-2. 경기 가평설악 방일 지점 교통량 추이 44

그림 3-3. 명태 재고량과 소비자 가격 47

그림 3-4. 한우와 돼지고기 학교 급식 추이 49

그림 3-5. 중국 관광객 월별 추이 51

그림 4-1. 수급에 의한 가격 결정 59

그림 5-1. 소비형태별 육류 소비 비중(가정소비, 외식소비, 배달소비) 75

그림 5-2. 2014년 육류 소비 수준과 2015년 전망(2013년 기준) 76

그림 5-3. 2013년 대비 2014년 육류 소비 수준 77

그림 5-4. 2014년 대비 2015년 육류 소비 전망 78

그림 5-5. 2014년 육류 소비 변화 86

부표목차

부표 1. 한우 소비촉진 행사 추진실적 100

이용현황보기

한우와 돼지고기 수요변화 요인 분석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90544 338.176 -15-1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90545 338.176 -15-1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