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혁명은 글쓰기와 함께 온다 윤구병(보리출판사 대표이사)
길 위에서 쓴 민중의 역사 박준성(역사학연구소 연구원, 월간 《작은책》 자문위원)
소설 《파업》에서 박헌영까지 안재성(소설가)
글쓰기는 정치다 오도엽(시인)
우리들 이야기를 남겨야 한다 하종강(성공회대학교 노동 아카데미 주임교수)
학교는 글쓰기를 허하라 홍세화(학습공동체 가장자리협동조합 이사장, 장발장 은행장)
전문 시위꾼으로 사는 시인 송경동(시인)
글쓰기로 ‘출세’한 58년 개띠 서정홍(농부, 시인)

이용현황보기

내 인생과 글쓰기 : 어떤 글을 어떻게 써야 할까?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61343 808 -15-4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61344 808 -15-4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가장 중요한 것은 ‘듣기’입니다. 듣지 않고 자기 말만 하려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러면 어리석은 사람이 됩니다. 들어야 합니다. 사람 말만 들어야 하는 게 아니라, 이 생명계 전체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귀를 가져야 합니다. 글쓰기의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듣기입니다.(35쪽) _윤구병

그렇다면 지금 여기에서 노동자, 일하는 사람들이 새로운 주체로서 어떠한 문화를 만들 수 있을까요? 저는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글쓰기라고 생각합니다. 일하는 사람들의 글쓰기, 글 쓴 것들을 담는 〈작은책〉은 그래서 ‘작은 것’이 아니라 새로운 문화를 담는 ‘큰 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역사를 공부하고 역사를 강의하니까 글쓰기 중에서도 노동자, 일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과거를 기억하고 재구성하는 ‘자기 역사 쓰기’가 핵심이라고 보는 겁니다.(60쪽) _박준성

결국은 그 약속 때문에 처음으로 장편 소설을 쓰게 됐던 거죠. 그때 저는, 제가 글을 쓰는 문학가, 작가라기보다 ‘선전가’라고 생각했어요. 사람들을 조직하거나 선동하는 걸 잘 못하기 때문에 선전물 써 내는 일, 선전의 임무로써 소설을 쓰겠다는 생각으로 《파업》을 쓰게 됐던 거죠.(75쪽) _안재성

저는 세상에서 가장 하기 쉬운 일이 바로 글쓰기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보이는 대로 글로 그림 그리면 되는 거잖아요. 눈에 보이는 대로 그대로, 내가 만난 사람의 목소리를 그대로. 목소리를 옮기면 그게 글이 됩니다. 내 눈에 보이는 것이 바로 글입니다. ‘나도 소설가처럼 칼럼니스트처럼’ 이렇게 잘 쓰려고 하니까 글이 안 되는 거지 있는 대로 보는 대로 그냥 적어 주면 글이 돼요.(92쪽) _오도엽

쉽게 쓰자, 민중이 알아듣지 못하는 글은 또 다른 지배 도구가 될 수 있으니까 우리가 쓰는 글은 길거리를 청소하는 청소부나 밭을 매는 할머니도 다 알아들을 수 있어야 한다.(117쪽) _하종강

글쓰기는 각자가 자기 생각을 갖도록 고민하게 하고 형성하게 하고 정리하게 하는 과정입니다. “독서는 사람을 풍요롭게 하고 글쓰기는 사람을 정확하게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글쓰기는 자기 생각을 정교하게 해 주는 것입니다.(145쪽) _홍세화

제가 생각하는 문학은 사실 이런 겁니다. ‘함께하고, 같이 싸우고, 그 속에서 내가 느낀 걸 쓴다.’ 고민하면서 조금씩 느껴지는 어떤 것들을 글로 기록하고. 어떻게 보면 제 문학의 80퍼센트는 현장에서 더불어 사는 일인 것 같아요. 거기서 느껴지는 경험이나 나름의 어떤 지혜, 인생에 대한 생각이 정리되면 그걸 시로, 글로 담아내는 거죠.(164쪽) _송경동

다른 건 돈이 들잖아요. 사진을 찍으려면 사진기를, 기타를 치려면 기타를, 그림을 그리려면 그림 도구를 사야 되는데 글쓰기는 돈이 없어도 이면지에 볼펜 하나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거잖아요. 저는 가난해서 글쓰기를 선택한 거 같아요.(193쪽) _서정홍

이 책은 지난 2011년, 1년 동안 <작은책>에서 진행했던 글쓰기 강연을 푼 책이다. 이분들이 하는 강연을 들으려고 멀리 지방에서도 오신 분들도 많았다. 이 책을 보시는 분들은 단 두어 시간에 1년 강연을 듣는 셈이다.
글쓰기에는 두 가지 분야가 있다. 하나는 문학적 글쓰기이고 또 하나는 실용적 글쓰기이다. 여기에 강연하신 분들은 문학적, 실용적 글쓰기가 모두 포함돼 있다. 그런데 문학적 글쓰기는 어느 정도 재능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실용적 글쓰기는 연습만 하면 누구나 쓸 수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글쓰기는 배운 사람만 쓸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 가운데 대중이 쓰는 생활글은 천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까닭은 지배계급의 세뇌 교육 때문이었다. 글이 일부 지식인들의 전유물처럼 된 것이다. 요즘은 누구나 한글을 읽고 쓸 수 있게 됐지만 여전히 지식인들이 글을 독점하고 세상을 지배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식인들만이 글을 쓰는 세상은 올바른 세상이 아니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자신은 왜 글을 쓰기 시작했는지, 어떻게 글을 쓰게 됐는지, 어떤 글을 쓰게 됐는지, 글을 쓴 뒤에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 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8인 8색의 글쓰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