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6
1. 연구 배경 16
2. 연구 목적 18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9
1. 연구 범위 19
2. 연구 방법 20
제3절 연구 기대 효과 23
제2장 2013년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24
제1절 조사 개요 26
1. 실시 목적 및 주요 내용 26
2. 조사 진행 과정 및 절차 29
제2절 실태조사 분석 결과 32
1. 작은도서관 기초 현황 파악 32
2.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 분석 40
제3절 시사점 89
제3장 작은도서관 운영 평가모델 96
제1절 작은도서관 운영 평가 체계 개발 98
1. 평가 목적 및 기본 방향 98
2. 평가 체계 구성 및 고려 사항 99
3. 관련 평가 체계 사례 연구 102
제2절 작은도서관 운영 평가지표 수정 116
1. 평가지표 개선의 필요성 116
2. 평가지표 수정 사항 124
3. 평가지표에 따른 배점 설정 135
제3절 지표별 가중치 산정 151
1. 기본 방향 및 이론적 근거 151
2. 중요도 분석 결과 156
3. 지표별 가중치 산정 및 적용안 182
4. 평가 체계 최종 수정안 190
제4장 작은도서관 운영 진단시스템 구축 194
제1절 작은도서관 운영 진단시스템 개발 196
1. 운영 진단시스템 개요 196
2. 개발 과정 197
제2절 작은도서관 운영 진단시스템 구현 202
1. 시스템 구성 체계 202
2. 시스템 주요 기능 및 내용 207
제5장 결론 230
제1절 작은도서관 운영활성화 기본 방향 232
1. 작은도서관 운영 내실 강화 232
2. 작은도서관 운영 관리의 체계화 234
3. 생활문화공간의 지속적 활용 236
제2절 작은도서관 운영활성화 정책과제 238
1. 시스템화를 통한 통계 기반 마련 238
2. 운영 평가를 통한 활성화 기반 마련 241
3. 작은도서관 법적 근거 마련 및 기준 강화 245
참고문헌 247
부록 248
부록1. 지방자치단체별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2013년) 250
부록2.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지(2014년) 260
부록3. 작은도서관 운영 평가 체계 및 배점 기준(2014년) 268
부록4. 작은도서관 운영 진단시스템 매뉴얼(통합관리자용) 274
판권기 316
[그림 2-1]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 조사 절차 30
[그림 2-2]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조사항목 40
[그림 2-3] 연도별 작은도서관 평균 보유 장서 수 50
[그림 2-4] 연도별 작은도서관 전용면적 비율 57
[그림 2-5] 연도별 작은도서관 열람석 비율 61
[그림 2-6] 연도별 작은도서관 컴퓨터보유 비율 67
[그림 2-7] 연도별 작은도서관 운영인력 보유율 69
[그림 2-8] 연도별 작은도서관 사서자격증 보유 비율 71
[그림 2-9] 연도별 작은도서관 운영인력 전문교육경험 비율 73
[그림 2-10] 2012년 - 2013년 작은도서관 예산지출 내역 74
[그림 2-11] 연도별 작은도서관 지자체 및 공공도서관 지원율 84
[그림 2-12] 연도별 작은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실시율 87
[그림 2-13] 전국 작은도서관 수 추이 89
[그림 2-14]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인력 보유 현황 90
[그림 2-15] 작은도서관 운영 관련 언론보도자료(2014년 7월 15일, 동아일보) 92
[그림 2-16] 작은도서관 인력 관련 언론보도자료(2014년 8월 29일, 채널A) 93
[그림 3-1] 서울시 작은도서관 지원 대상 선정 절차 103
[그림 3-2] 경기도 작은도서관 지원 대상 선정 절차 105
[그림 3-3] 파주시 작은도서관 지원 대상 선정 절차 110
[그림 3-4] 순천시 작은도서관 지원 대상 선정 절차 114
[그림 4-1] 작은도서관 운영 진단시스템 구성도 200
[그림 4-2] 작은도서관 운영 진단시스템 업무 흐름도 201
[그림 4-3] 운영 진단시스템 사용자 구분 및 역할 204
[그림 4-4] 통합관리자의 시스템 이용 기능 및 권한 204
[그림 4-5] 지역 관리자의 시스템 이용 기능 및 권한 205
[그림 4-6] 현장 운영자의 시스템 이용 기능 및 권한 206
[그림 4-7] 운영 진단시스템 연결 페이지 (작은도서관 통합 홈페이지 작은도서관 통계 메뉴) 208
[그림 4-8]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시스템 로그인 화면 208
[그림 4-9] 작은도서관 운영실태조사 시작 화면 209
[그림 4-10] 작은도서관 법적 기준 사항 및 운영 상태 확인 210
[그림 4-11] 작은도서관 등록 정보 및 기본 사항 조사 211
[그림 4-12] 작은도서관 운영 정보 및 운영자 정보 조사 212
[그림 4-13] 작은도서관 자료 현황 및 인력 현황 조사 212
[그림 4-14] 작은도서관 예산 현황 및 운영위원회 조사: 공립 213
[그림 4-15] 작은도서관 예산 현황 및 운영위원회 조사: 사립 213
[그림 4-16] 작은도서관 시설 현황 및 이용자 관리 조사 214
[그림 4-17] 작은도서관 연계 현황 및 지원 현황 조사 215
[그림 4-18] 작은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및 홍보 활동 조사 215
[그림 4-19] 작은도서관 운영활성화를 위한 의견 수렴 216
[그림 4-20] 작은도서관 도서관 기본 정보 조회 217
[그림 4-21] 작은도서관 현장 운영자 조회 217
[그림 4-22]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참여 현황 확인 219
[그림 4-23] 작은도서관 운영 평가 시행 220
[그림 4-24] 작은도서관 평가모델 설정: 표준 모델 및 사용자설정 모델 220
[그림 4-25] 작은도서관 사용자지정 평가모델 생성 221
[그림 4-26] 작은도서관 사용자지정 평가모델 평가항목 설정 222
[그림 4-27] 작은도서관 도서관 운영 현황 조회 223
[그림 4-28] 작은도서관 실태조사 결과 통계 224
[그림 4-29] 작은도서관 실태조사 결과 연도별 비교 통계 224
[그림 4-30]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결과 통계 225
[그림 4-31] 작은도서관 통계 결과 데이터 출력 225
[그림 4-32] 작은도서관 신규 등록 226
[그림 4-33] 작은도서관 등록 취소 227
[그림 4-34] 작은도서관 운영 평가 기준 설정 228
[그림 4-35] 작은도서관 실태조사 기간 설정 228
[그림 4-36] 작은도서관 이용자 계정 비밀번호 초기화 229
[그림 4-37] 작은도서관 통합관리자 계정 관리 229
[그림 5-1] 작은도서관 내실 강화를 통한 운영활성화 방안 234
[그림 5-2] 작은도서관 운영 평가 과정(단계) 243
[그림 5-3] 작은도서관 법적 기준 강화에 따른 운영활성화 24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070265 | 027.63 -15-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070266 | 027.63 -15-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