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형태사항
325 p. : 삽화 ; 21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6402023
제어번호
MONO1201543045
주기사항
대등표제: (The)dictiona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일러두기 / 8
제1부 한국어교육학 및 외국어습득론 / 11 참고문헌 / 132
제2부 한국어학 및 일반언어학 / 133 참고문헌 / 305
색인 / 307
이용현황보기
(예비 한국어 교사를 위한)한국어교육 용어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68810
R 411.0703 ㄱ919ㅎ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이용가능
0002068811
R 411.0703 ㄱ919ㅎ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2014년 TOPIK 한국어능력시험 응시자 수가 역대 최다 인원을 기록하였으며 한국어 교육자 양성과정에 등록하는 한국인 수도 크게 늘어나는 등 근래 한국어와 한국어교육 분야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다. 양성과정에서 사용하는 교재나 참고서적 역시 그 종과 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용어 역시 점점 더 양이 많아지고 전문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그 용어들의 개념과 정의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 양성과정 일선에서는 혼란을 겪고 있다.
이 책은 한국어교육에서 자주 사용하거나 필수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용어들의 개념과 정의를 사전 형식으로 정리한 책이다. 모두 1,008개의 표제어로 구성하였으며, 1부는 한국어교육학 및 외국어 습득론 분야의 용어로, 2부는 한국어학 및 일반언어학 분야의 용어로 엮었다. 각 항목은 예를 넣어 쉽게 설명하였으며, 한국어학 및 한국어 교육학 용어의 기본 개념은 물론 심화된 개념도 덧붙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을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예비 한국어 교사에서부터 현재 한국어 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 나아가 한국어 교육에 종사하고 있는 초보 한국어 교사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구성 및 특징]
* 항목 번호 : 표제어의 번호로 1부와 2부로 나누어 표제어 번호를 붙여 두었다. 색인을 통해 표제어를 찾아볼 때 도움이 될 것이다.
* 표제어 : 표제어는 기본적으로 한글로 제시되어 있다. ‘5C’와 같이 숫자나 약어로 된 표제어는 그대로 숫자나 영어로 제시하였다.
* 원어 정보 : 한글 표제어 다음에 한자, 영어 순으로 표제어의 원어 정보를 넣어 두었다. 같은 개념인 경우에도 학자마다 다른 용어를 사용하거나 번역 용어가 다른 경우가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참고가 될 것이다.
* 표제어 정의 : 첫 문장은 표제어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에 해당한다.
* 표제어 설명 : 두 번째 문장 이후부터는 표제어와 관련된 예나 이해를 돕기 위한 부연 설명이 덧붙는다.
* 참조 표제어(☞p.000) : 표제어를 정의하거나 설명할 때 언급된 내용 중에서 함께 알아두면 좋을 표제어의 위치를 나타낸다.
* 참조 표제어[참] : 표제어를 풀이하면서 언급된 용어나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해당 표제어와 함께 알아두면 좋을 유의 관계, 동의 관계, 상하관계에 있는 용어를 [참]으로 표시하여, 풀이 마지막에 제시해 두었다.
* 외국 학자의 이름은 원어 발음보다는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이름으로 표기하여 두었다. 외국 학자의 이름을 알아 두면 다른 저서나 논문을 읽을 때 도움이 될 것이다.
* 동의 표제어는 더 우세하게 사용되는 표제어를 대표표제어로 삼아 기술하였다.
* 참고문헌 : 용어집 집필에 참고한 도서를 소개하였다. 예비 한국어 교사들도 참고문헌에 있는 책들을 읽으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부록 : 1부와 2부의 표제어를 각각 나누어 가나다순으로 정렬해 두었다. 논문을 읽거나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등의 시험을 준비할 때 어려운 용어를 접하면 손쉽게 색인을 찾아 용어의 개념을 익힐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