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8

제1절 연구 목적 및 필요성 9

제2절 정보조사 방법 10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현황 11

제1절 국내 방사선 이용 및 정책 현황 12

1. 방사선 이용현황 12

2. 방사선 정책 14

제2절 전 세계 방사선 이용 시장 18

제3장 사업내용 20

제1절 국가별 방사선 이용 및 정책 동향 21

1. 미국 21

2. 일본 30

3. 중국 34

4. 호주 38

5. 캐나다 40

6. 벨기에 42

제2절 국가(국제기구)별 방사선 정보제공체계 및 동향 조사 44

1. 국가별 정보제공체계 44

2. 국제기구별 정보제공체계 49

3. 방사선기술 정보 동향 53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국내 파급효과 65

제5장 사업 결과의 활용 67

제6장 참고문헌 69

부록 71

부록 1. 제8차 세계동위원소대회 발표자료(미국, 캐나다) 73

부록 2. 2014 한중일협력회의 발표자료(일본, 중국) 101

부록 3. 방사선 이용현황 설문조사(일본, 벨기에) 131

표목차

표 3.1.1. 일본의 핵의학 진단절차 상세 요약 33

표 3.1.2. CARR 원자로 RI생산량 36

표 3.1.3.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 규모 40

표 3.1.4. 자금지원계획 41

표 3.1.5. 벨기에의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기관 42

표 3.1.6. 벨기에의 분야 별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기관 43

표 3.2.1. 일본동위원소협회 웹사이트 제공 정보 45

그림목차

그림 3.1.1. DOE 조직 구성도 21

그림 3.1.2. RI 비용 결정 절차 22

그림 3.1.3. 동위원소 프로그램에 의한 생산 시설 24

그림 3.1.4. LANL (IPF) 25

그림 3.1.5. BNL (BLIP) 주요 시설 25

그림 3.1.6. ORNL 주요 시설 26

그림 3.1.7. INL (ATR) 주요 시설 26

그림 3.1.8. 일본 방사선 이용기관 30

그림 3.1.9. 일본 RI폐기물량 및 기관 30

그림 3.1.10. 일본 PET/사이클로트론 운영 현황 31

그림 3.1.11. 일본 밀봉선원 유통현황 31

그림 3.1.12. 일본 밀봉선원 유통현황 32

그림 3.1.13. 중국의 방사선 등 관련 경제규모액 34

그림 3.1.14. 호주 OPAL 원자로 38

그림 3.1.15. 호주 동위원소 공급체계 39

그림 3.1.16. ANM 건설예정지 39

그림 3.2.1. 인도네시아에서 출시된 수수 돌연변이 품중 61

그림 3.2.2. 말레이시아에서 개발한 다기능 생물비료 62

그림 3.2.3. 화학 방사선요법을 통한 질병부위의 소멸 64

이용현황보기

방사선 기술정책분야 첨단 기술정보 수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82334 338.4762148 -15-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