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1주차 강의 5
장애와 인권 / 윤삼호 6
1. 인권이란 무엇인가? 6
2. 장애와 인권 9
3. 장애인 인권의 현주소 10
4. 장애인에 대한 편견들 18
장애와 인권_인권이란 무엇인가? / 윤삼호 24
1. '인권'을 이야기 하기 전에... 24
2. 인권의 역사/분류(Karel Vasak) 25
3. 인권의 원칙 26
4. 논의할 내용 27
2주차 강의 28
UN 장애인권리협약의 개괄 이해 / 정호균 29
장애인권리협약(CPRD) 개요 29
조약 30
9개 핵심 인권조약 31
장애인권리협약 주요 내용 32
장애인권리협약 제3조 일반원칙 34
장애인권리협약상 장애 정의 35
장애인권리협약상 장애인 정의 35
장애인차별금지법상 장애인 정의 36
UN장애인권리위원회(CRPD) 개요 36
UN장애인권리위원회(CRPD) 기능 37
CRPD 위원 37
CRPD 심의 내역 39
협약 국가보고서 검토 경과 39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최종 견해 41
최종 견해에 언급된 인권위 관련사항 41
협약 관련 인권위 역할 42
차기 국가보고서 제출 43
최종견해 제시된 주요 권고사항 요약 43
UN 장애인권리위원회 최종견해 이행 및 모니터링 방안에 관한 설명 / 이석구 53
들어가는 글 53
현 이행 및 모니터링 체계의 한계 54
이행 및 모니터링 체계의 재구축 56
장애인단체간 협력체계의 구축 58
나가며 59
3주차 강의 61
당사자주의와 장애인 정체성 / 조한진 62
Ⅰ. 서론 62
Ⅱ. 당사자주의와 장애 정체성 유형 62
1. 누가 당사자인가? 62
2. 장애 정체성의 유형 63
Ⅲ. 결론 65
참고문헌 66
우생학 / 조한진 68
Ⅰ. 서론 68
Ⅱ. 우생학의 탄생 68
Ⅲ. 전시회와 박람회에서의 우생학 69
Ⅳ. 현대의 우생학 75
Ⅴ. 결론 76
참고문헌 77
4주차 강의 78
교육과 장애인 / 김효진 79
1. 인권이란? 79
2. 교육권이란? 82
3. 장애인교육 현황 84
4. 교육권 관련 법률 86
장애여성의 정체성 / 김효진 93
장애여성 일반현황 93
장애여성 복지사업 99
장애여성 정책방향 103
5주차 강의 107
중증장애인 인권과 자립생활 운동 Ⅰ / 정지영 108
들어가며 108
'권리'를 발굴하는 감각 109
권리란 무엇인가 109
인권 110
장애인의 인권 110
나오며 114
중증장애인 인권과 자립생활 운동 Ⅱ / 정지영 116
한 사람의 힘 - 장애의 재발견 117
자립생활센터[CIL]의 확산 121
자립생활이념 121
패러다임의 변화 123
당사자주의 125
자립생활센터의 현황, 과제 125
자립생활 - 다시 지역사회로! 126
장애인의 인권 / 정지영 128
6주차 강의 132
한국장애인운동사 : 한국전쟁이후 / 이상호 133
Ⅰ. 들어가는 말 133
Ⅱ. 몸말 133
1. 역사적 변천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인식 133
2. 근대 이후의 한국사회 134
3. 기간 장애인운동의 한계 145
4. 2000년대의 장애인운동 146
Ⅲ. 나오는 말 146
한국장애해방운동사 / 이상호 147
장애인의 역사 147
장애운동의 부재기 147
한국사회의 격변기 150
2000년 이후 장애인운동 / 이상호 157
한국장애인자립생활 운동의 역사 157
이동권 158
전동 wheelchair 160
반 시설 162
활동보조인 투쟁 165
장애인 복지법 개정 투쟁 170
7주차 강의 177
인문학으로서의 장애학 / 윤삼호 178
장애학 또는 장애 연구 178
사회학으로서의 장애학 180
역사학으로서의 장애학 182
문학/예술로서의 장애학 185
8주차 강의 192
스치피 훈련 및 발음 / 이은혜 193
9주차 강의 199
인권교육의 개념, 원칙, 방법론 / 최승민 200
장애란 무엇인가 200
장애인 인권의 보편성과 특수성 202
사례를 통해 본 장애인 인권의 현실 205
10주차 강의 210
강의법의 기본원칙과 효과적인 강의안 작성법 / 정희경 211
강의 법의 3단계 212
강의안 작성의 5대 원칙 213
구체적으로 213
명확하게 214
독창적으로 214
모의 강의 실습 Ⅰ 215
교안작성 및 모의 강의 실습 Ⅱ 215
교안작성 및 모의 강의 실습 Ⅲ 216
장애와 환경 217
참고자료 217
[부록 1] 제1차 장애인권리위원회 한국 심의 최종견해 219
I. 서론 220
II. 긍정적인 측면 220
III. 주요 우려 및 권고사항 220
A. 일반원칙과 의무(1~4조) 220
B. 구체적 권리(5~30조) 221
〈그림 1〉 미국 우생학회 전시품. 1926년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150주년 기념전시회. / 출처 : Selden, 2000 70
〈그림 2〉 "유전에 대하여 배우라. 당신은 이러한 상황을 바로잡는 것을 도울 수 있다." 1926년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150주년 기념 전시회에서의 미국 우생학회 전시품으로부터 / 출처 : Selden, 2000 70
〈그림 3〉 "어떤 사람들은 태어나 다른 사람들에게 부담이 된다". 1926년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150주년 기념 전시회에서의 미국 우생학회 전시품으로부터. 출처 : Selden, 2000 71
〈그림 4〉 '우생학․보건 전시회' 건물(오른쪽)과 '미래의 난롯가를 위해 더 적합한 가족' 검사 건물(왼쪽). 1929년 토피카에서 열린 캔자스 주 무료 박람회. 출처 : Selden, 2000 72
〈그림 5〉 개인 인종 향상 상. 1928년 미시간(Michigan) 주 배틀크리크(Battle Creek)에서 열린 제3회 인종 향상 회의. 출처 : Selden, 2000 73
〈그림 6〉 "더 적합한" 가족 상. 1928년 미시간 주 배틀크리크에서 열린 제3회 인종 향상 회의. 출처 : Selden, 2000 73
〈그림 7〉 '더 적합한 가족' 소가족 선발대회의 우승자. 1925년 매사추세츠 주 스프링필드에서 열린 동부 주 전시회. 출처 : Selden, 2000 74
〈그림 8〉 "얼마나 오랫동안 우리 미국인들이 우리 돼지들의 혈통에 그렇게 주의할 것인가..." 전시품. 1929년 토피카에서 열린 캔자스 주 무료 박람회. 출처 : Selden, 2000 74
〈그림 9〉 '생명의 삼각형' 전시품. 1929년 토피카에서 열린 캔자스 주 무료 박람회. 출처 : Selden, 2000 7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