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7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8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9

제2장 이론적 배경 11

제1절 작은 도서관의 개념과 현황 12

1. 공공 도서관과 작은도서관 12

2. 주요 국가의 작은 도서관 운영 사례 17

3. 국내 작은 도서관 운영 현황 25

제2절 과학 문화의 개념 설정 41

1. 과학 패러다임 변화와 과학문화의 개념 41

2. 시민참여형 과학문화의 흐름 42

3. 과학도시 대전과 과학문화 45

제3절 사업 계획 및 추진 여건 50

1. 대전시의 작은 과학문화도서관 사업 계획과 추진 성과 50

2. 당면과제 52

제3장 기본 구상 56

제1절 기본 원칙과 위상 57

1. 위상 57

2. 운영목적과 운영원칙 59

3. 주요 수요자 층(타겟 설정) 62

제2절 내부 배치 및 활용 64

1. 구성과 배치의 기조 64

2. 구역별 구성 65

제3절 인력 및 운영 72

1. 운영주체와 운영방식 72

2. 유관 기관과의 제휴 및 네트워크 구축 74

제4장 중장기 활용 계획 75

제1절 장기적 목표와 역할 76

1. 과학문화도시 대전으로 확장된 정체성의 중추적 거점공간 76

2. 원도심 활성화의 맥락과 적절히 조응 76

제2절 위기요인과 대처방안 77

1. 원도심 이미지와의 상충 77

2. 타지역 과학문화도서관과의 중복 77

3. 차별화된 콘텐츠의 지속적 활성화 어려움 77

4. 관성적 도서관 형태로 회귀 78

제5장 결론 79

참고문헌 82

판권기 83

표 1. 한국 공공도서관의 기준 (출처: 한국도서관협회(2003)) 13

표 2. 인구수 대비 전국 작은 도서관 수 비교 15

표 3. 지역별 작은도서관 기준미달 현황 16

표 4. 미국의 작은 도서관 수 및 서비스 내용 자료: 박송이(2010) 18

표 5. 2014년 대전 작은도서관 현황 38

표 6. 대전광역시 작은도서관 현황 39

표 7. 대전광역시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연간 운영일수, 연간 대출권수) 39

표 8. 작은 과학문화도서관에 대한 재원투자계획 50

표 9. 연도별 추진목표 51

표 10. 2015년 목표와 계획 51

그림 1. 공공도서관의 패러다임변화(김용동, 2010) 14

그림 2. 과학문화도서관 예정공간(1층) 52

그림 3. 과학문화도서관 예정공간(2층) 53

그림 4. 과학문화도서관 예정공간(3층) 53

그림 5. 이스라엘의 도서관 모습 61

그림 6. 작은과학문화도서관 층별 콘텐츠 구성도 64

그림 7. 안양 파빌리온의 영상물 투사모습, 화면 아래는 개방형 사무공간 66

그림 8. 느티나무도서관의 셀프카페 66

그림 9. 현대카드 트래블라이브러리의 구글어스를 이용한 체험시설 68

그림 10. 느티나무도서관의 출입구 모습 69

그림 11. 느티나무도서관의 내부통로 자투리공간 활용 모습 70

그림 12. 영등포과학문화거리에 조성된 과학원리를 이용한 조형물들 71

이용현황보기

작은 과학문화도서관 설치를 위한 콘텐츠 개발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26364 353.73 -16-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26365 353.73 -16-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