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우자의 과거Ⅰ: 결혼 전 《도량 넓은 남편》 《첫날밤 간부 잡게 한 봉사 점쟁이》 《첫날밤 간부 잡으러 간 상객》 《첫날밤 간부 잡아 은혜 갚은 도둑》 《첫날밤에 아기 낳고 신랑 붙잡은 신부》 《첫날밤에 아이 낳은 신부》 《씨 다른 아들이 얻은 명당》 2. 배우자의 과거Ⅱ: 재혼 전 《옷에 솜 대신 갈대꽃 집어넣은 계모》 《전처 아들 죽인 계모》 《글 잘하는 황처자》 《장가간 날 목 잘린 전처 아들》 《전처 아들 눈 뺀 계모와 우목낭상》 《간 뺏길 뻔한 전처 아들》 《볶은 삼씨가 싹 날 리 있나》 3. 배우자의 외도Ⅰ: 부부 당사자의 문제 《뒤주 태운 남편과 간부 제사지낸 아내》 《바람피우는 상주의 상복과 말하는 신주》 《시 한 수로 모면한 간통죄》 《아내 음부에 그린 토끼와 대신 써 준 글귀》 《배신한 신부와 의리 지킨 몸종》 《변신한 여자 대신 증인 넣은 함》 《도적 만나 배신한 아내와 의리 지킨 개》 4. 배우자의 외도Ⅱ: 제3자의 개입 《벼슬 살러 간 평안 감사와 간부 잡아준 사람》 《며느리에게 아들 첩 승낙 받은 아버지》 《아버지 모르게 어머니 서방질 고친 아들》 5. 배우자의 외모 《갑옷 챙기고 지도 찾아낸 이완대장 부인》 《도술 뛰어난 박색 황부인》 《숭늉 다 마셔버린 박색 아내》 《아버지가 벗겨준 박씨부인의 허물》 《속 깊은 신랑》 《거울 모르는 사람들》 6. 배우자의 경제적 무능 《가짜 지관 행세하고 도망가다 잡은 명당》 《엎질러진 물》 《짐승이 먹을 곡식 돌려준 황정승》 7. 배우자의 생리현상 《방귀쟁이 며느리의 배 따는 방귀》 8. 배우자의 성격 《첫날밤에 똥싼 신부》 《염소로 변한 척하여 부인 버릇 고친 남편》 《거지 색시 대접하고 구렁이 피한 부자》 《아내의 지도(指導)》 9. 배우자의 생활습관 《하루 만에 자라는 오이》 《도둑 잡아 남편 도둑 버릇 고친 아내》 《이야기 끊은 값과 고양이 뿔》 《강똥 서 말》 《호랑이에게 홀린 아내 구한 남편》 《남편을 효자로 만든 아내》 《소가 된 게으름뱅이》 10. 배우자에 대한 질투 《아내 질투로 호식 당한 남편》 11. 배우자에 대한 오해나 의심 《머리에 쓰면 미인으로 둔갑하는 해골》 《시아버지와 여종을 혼인시킨 며느리》 《동침한 시부모 대접한 효부》 《쥐 말 알아듣고 웃다가 소박맞은 신부》 《참을 인자로 면한 살인》 《동생과 아내 의심하다 옆집 여자 죽인 남편》 《지네각시》 《실수로 살인한 남편과 폭로한 부인》 《부인에게는 우물 명당 가르쳐주지 않은 남편》 《수탉 말 알아듣고 마누라 다스린 남편》 《저절로 벌어지는 밤송이》 《첫날밤 도망간 신랑과 원귀》 12. 부부간의 성(性) 《벌에 쏘인 남편의 성기》 《기생 덕에 고자 면한 사람》 13. 부부간의 격차 《나무꾼과 선녀》 《새털 옷 입고 왕이 된 남자》 《용자 살리고 얻은 색시》 《복 많은 백정 딸》 《첫날밤에 대구 못한 신랑》 14. 부부간의 성격차이 《호랑이 눈썹》 《전생의 인연으로 부부가 된 중과 돼지》
이용현황보기
(구비설화를 활용한)가족상담모형 개발 : 부부관계영역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88978
306.872 -15-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88979
306.872 -15-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이 책은 구비설화를 활용한 <가족상담모형> 개발 시리즈 중 첫 번째 단행본이다. 필자는 가족갈등을 세 영역으로 분류하였는데, ‘부부관계 영역’ ‘부모자녀관계 영역’ ‘형제자매관계 영역’이 그것이다. 여기서는 세 영역 중 첫 번째로 ‘부부관계 영역’에 한정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 책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구비설화집 『한국구비문학대계』와 『임석재전집』을 대상으로 가족갈등 중 ‘부부관계 영역’의 설화들을 추출하고, 설화에 나타난 부부갈등의 양상과 해결방안을 분석하였다. 그 후 설화의 분석결과를 현대 부부갈등으로 고민하고 있는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에 적용하여, 구비설화에서의 해결방안이 현대 부부갈등 해결에는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제시하여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대 가족갈등 중 ‘부부관계 영역’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족상담모형>을 개발해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