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6

II. '노인'에 대한 일반적 현황 10

1. 노인의 의의 10

1) 개념 및 분류 10

2) 법적 근거 11

3) 소결 12

2. 노인관련 기본 통계자료 12

1) 성별·연령별 노인 현황 12

2) 지역별 노인 현황 13

3) 노인 사망자 수 14

III.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문제 18

1. 고령화 사회의 개념 및 특성 18

1) 고령화 사회의 개념 18

2) 고령화 사회의 특성 18

2.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문제 21

1) 노인빈곤 21

2) 건강유지 및 관리 23

3) 고독 및 소외 26

3. 소결 29

IV. 정부의 노인정책 및 문제점 32

1. 역대정부의 노인정책 주요내용 32

2. [복지차원] 노인정책 주요내용 33

3. [보건의료지원차원] 노인정책 주요내용 34

1) 노인 건강증진사업 34

2) 노인 건강검진 및 질병예방사업 36

3) 노인 만성질병관리사업 37

4. 문제점 40

1) 복지차원 40

2) 보건의료지원차원 41

5. 소결 43

V. [복지차원]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 노노케어 46

1. 노노케어 사업 개념 및 필요성 46

1) 개념 46

2) 필요성 47

3) 추진체계 48

2. 현재 추진 중인 사업 내용 및 문제점 49

1) 사업 내용 49

2) 예산 현황 50

3) 문제점 51

3. 해외사례 51

1) 미국 '시니어 친구' 51

2) 일본 '노노(老老) 개호' 53

4. 개선방안 53

VI. [보건의료지원차원] 노인보건사업 추진방향 및 개선방향 56

1. 노인건강증진부문 56

2. 노인건강검진부문 57

3. 노인 만성질환관리부문 57

4. 일본의 보건의료제도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59

1) 지역포괄 케어의 실천 59

2) 케어 매니저 제도의 도입과 케어 플랜의 작성 60

3) 예방 케어를 위한 수가의 개설 61

4) 재가 케어의 지원 61

5) 의료공급체계의 개편 62

6) 한국형 의료복지 복합체의 구성 62

7) 고령화 관련 연구 개발 및 세계시장 진출 63

VII. 해외 선진국의 '노인' 관련 정책 사례〈요지〉 64

1. 스웨덴 - '노인의 경험' 중시 64

2. 노르웨이 - 재정에 맞는 '국민연금' 중시 64

3. 스위스 - '일+여가활동+노후준비' 중시 65

4. 독일 - '4가지 생활보장 수단' 중시 65

5. 프랑스 - '소득에 맞춘 차별적 복지 정책' 중시 66

6. 미국 - '노인 건강' 중시 66

7. 일본 - '노령 인구 취업' 중시 67

VIII. 결론 및 제언 70

별첨 : 정부의 사업별 노인정책 현황 72

참고문헌 124

이용현황보기

고령화사회·100세 시대 「회색빛 노인, 보건의료·복지 정책 진단」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94676 328.3456 -15-3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