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6
Ⅰ. 서론 14
1. 연구의 목적과 배경 15
2. 연구의 범위 17
3. 연구의 방법 18
Ⅱ. 국고보조금에 대한 이론적 검토 19
1. 국고보조금의 의의와 유형 20
가. 국고보조금의 개념과 의의 20
나. 국고보조금의 법적 근거 22
다. 국고보조사업의 유형 23
2. 국고보조금에 대한 이론적 배경 28
가. 보조금의 역할과 목적 28
나. 보조금의 부정적 측면과 관련된 이론 30
다. 보조금 제도개편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 32
Ⅲ. 국고보조금의 추이와 현황 35
1. 국고보조금의 현황 36
가. 국고보조금의 규모추이 36
나. 국고보조사업의 수 42
2. 국고보조금의 추이 45
가. 국고보조금의 부처별 추이 45
나. 국고보조금의 규모추이 48
Ⅳ. 국고보조금의 문제점과 쟁점 53
1. 국고보조금 증가에 따른 재정부담 54
가. 보조금 증가에 의한 지방재정 제약 54
나. 보조금에 의한 지방비부담 증가 58
2. 사회복지보조 사업의 확대에 따른 세출부담 증대 59
가. 분권교부세 사업의 부담 59
나. 사회복지 지출의 증가 61
다. 사회복지 관련 의무지출에 의한 재정부담 증가 65
3. 국고보조금 제도의 문제점 66
가. 국고보조사업의 유사ㆍ중복 문제 66
나. 기준 보조율의 불합리성과 미비 68
다. 지역발전특별회계와의 중복 76
라. 신청주의의 예외 및 절차의 문제 77
마. 임의보조사업의 문제 78
바. 보조사업 평가시스템의 한계 78
Ⅴ. 지역개발 분야 국고보조금제도의 개선방안 80
1. 중앙-지방간 재원분담 체계의 확립 81
가. 중앙-지방간 기능 및 사무구분 체계의 정립 81
나. 법정 수임사무 도입에 따른 변화 84
다. 기준보조율의 재정립 방안 85
2. 지역발전특별회계와의 통합방안 91
가. 지역발전특별회계와의 유사ㆍ중복사업 통합 91
나. 지역발전특별회계의 폐지 또는 통합방안 92
3. 국고보조금의 제도개선 방안 94
가. 유사ㆍ중복 사업의 통ㆍ폐합 94
나. 포괄보조금(block grants)의 확대 95
다. 국고보조사업의 전면 재정비 97
라. 차등보조율 제도의 정비방안 99
4. 국고보조사업의 관리ㆍ운영체계 개선 방안 100
가. 보조사업 관련조직 간 연계ㆍ협업 강화 100
나. 국고보조사업 평가시스템의 개선방안 103
다. 중앙-지방간 협의절차와 과정의 실효성 확보방안 103
Ⅵ.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05
1. 요약 및 결론 106
2. 정책적 시사점 108
참고문헌 및 부록 110
참고문헌 111
[부록 1] 국토교통부 국고보조사업 현황(2015년 현재) 115
[부록 2] 지역발전특별회계 국토교통부 보조사업 현황(2015년) 121
판권기 127
〈그림 Ⅱ-1〉 보조금의 유형 26
〈그림 Ⅲ-1〉 2005년도 국고보조금 정비 내역 39
〈그림 Ⅳ-1〉 지방자치 실시 이후 주요 지방재정이전제도의 변화(1991-2015) 54
〈그림 Ⅳ-2〉 지방세입에서 특정보조금의 증가추이 57
〈그림 Ⅴ-1〉 국고보조사업 관리주체별 기능과 업무추진도 10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095081 | 336.014 -15-20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095082 | 336.014 -15-20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