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院訓
사도헌장
만족과 감동의 일등연수 : 전라북도교육연수원 교육서비스헌장
연수안내
학생 자율적 독서실천력 증진을 위한 북스타트 맞줌형 연수 일정표(생활지도/남원초 외)
목차
1. 생명을 불어 넣는 책읽기 / 조의래 11
1. 디지털시대 왜 책 읽기인가? 11
2. 무슨 책을 읽고, 읽힐 것인가? 11
3. 도반과 함께하는 독서 동아리 12
4. 독서교육 다시 생각해보기 12
5. 인물로 본 책 읽기 13
가. 세종대왕의 책 삶으로 본 책 읽기 - 미래에 대한 비젼 13
나. 유비와 제갈공명의 관계에서 본 책 읽기 - 세상을 구하는 지혜 13
다. 연암 박지원과 바보 이덕무 독서 방법과 도 - 충만한 기운 13
라. 다산 정약용이 자녀에게 남긴 책 읽기 - 독서하는 방법 13
마.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에서 본 철학자들의 책 읽기 - 원초적 본능 13
바. 아이히만을 통하여 본 현재의 독서 방법 - 책무와 당위성 13
사. 병인양요 주베르의 책 - 문화의 척도 13
아. 폴 아자르와 이반 일리치가 말하는 미래의 힘 - 도서관 13
6. 학교도서관에서 책과 친해지기 13
가. 체험활동으로 책과 친해지기 13
나. 게임을 통하여 책과 친해지기 14
다. 도서관에서 캠프와 만나서 책과 친해지기 14
라. 다양한 축제와 행사로 책과 친해지기 14
7. 어린이에게 그림책의 의미 14
가. 그림책은 누가 읽는가? 14
나.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 15
다. 삶의 주체로 자라는 아이들 17
8. 그림책 바로알기 18
가. 일반적인 정의 18
나. 그림책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 18
다. 그림책의 특성에 대한 정의 19
라. 그림책 접근 방식 20
9. 그림책의 분류 20
가. 형태별 분류 20
나. 형식적 측면에서 그림책의 유형 21
다. 독자의 연령에 따른 분류 22
라. 주제나 내용으로 분류 22
마. 갈래에 따른 그림책 22
10. 그림책 읽어주기로 만들어 가는 독서 23
가. 책을 읽어주기 전에 23
나. 그림 충분히 보여 주기 24
다. 감동해야 감동 준다 24
라. 눈 맞추며 교감하기 24
마. 책으로 소통하기 25
바. 실감나고 생동감 있게 읽어주기 25
사. 수준에 맞은 책 고르기 25
아. 작가 친근하게 만들기 26
자. 다양한 해석 받아들이기 26
차. 욕심내지 않는 독후 활동 26
11. 행복한 책읽기 의미 부여하기 27
2. 어린이 과학책 바로 보기 - 곤충에 관한 책을 중심으로 - / 김중철 28
I. 다양한 생명체를 보는 즐거움 29
II. 기계가 아닌 생명체 31
III. 적대감이 아닌 경이로움 34
3. 행복한 책읽기 = 아이들은 놀기 위해 세상에 온다 = / 편해문 39
1. 놀이 찾아 삼만리 39
2. 어려서 놀던 힘은 바닥나지 않는다 42
4. 책으로 만나는 아이들 = 잘 노는 아이가 행복하다 = / 편해문 47
I. '스스로 노는 기억' 삭제 성공 47
II. 고단한 삶 버티는 긍정의 힘 49
III. 요즘 아이들이 늦게 자는 이유 50
IV. 우리부터 아이와 놀자 50
5. 삶이 담긴 글쓰기 / 이가령 52
I.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 52
II. 아이다움이 살아있게 52
III. 좋은 글이란 무엇인가? 53
IV. 아이들 글 바로 보기 54
1. 아이들 글을 보는 세 가지 잣대 54
V. 어떻게 쓸까? 55
1. 생활글의 가치는 진정성에서 나온다 55
2. 6하원칙이 잘 드러나게 쓴다 56
3. 관념의 글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57
4. 사실대로 자세히 쓴다 58
5. 글감이 없는 것이 아니라 59
6. 느낌은 직설로만 쓰는 것이 아니다 59
7. 내가 잘 아는 문제라야 정확하게 주장할 수 있다 63
V. 쓰고 난 후 지도 65
1. 아이글 고르기 68
2. 동무들 글을 함께 글을 읽을 때는 69
3. 글월 번호 붙이기 69
4. 글 읽고 이야기 나누기 70
5. 아이들이 빠뜨린 것 찾아주기 71
문장력 높이기 기술 / 이가령 74
I. 좋은 문장 쓰기 75
6. 나를 찾는 독서 여행 / 유범상 77
I. 인문 독서의 필요성 77
1. 책의 역사와 독서의 시작 77
2. 인문 독서와 교양 독서 79
3. 독서와 생활 80
II. 인문 독서의 새로운 지평 81
1. 과학 지식과 인문 독서 81
2. 예술에 대한 새로운 접근 84
7. 생태 이해 책읽기 = 농부 시인이 들려주는 생명이야기 = / 서정홍 88
I. 별을 노래하는 농부 88
II. 농부의 아들 91
III. 황금보다 귀한 똥 97
IV. 거룩한 밥상 앞에서 101
V. 흙 한 줌에 깃든 우주 104
VI. 먼저 나를 바꾸어야 111
8. 독서토론 모임 운영 사례 = 초등학생 북스타트, 책날개 = / 이경근 116
I.사업개요 116
1. 책날개 사업이란? 116
2. 추진경위 116
3. 목적 117
II. 사업내용 117
1. 내용 117
2. 도입방법 118
3. 북스타트와 책날개 꾸러미 119
III. 참고자료 121
참고 1: 책날개 입학식 사례 121
참고 2: 2012 전국 책날개 겨울방학 연수 일정 124
학생 자율적 독서실천력 증진을 위한 북스타트 맞춤형 연수자 명단(생활지도/남원초 외) 127
강사평가 설문조사표 128
온라인 설문평가 안내 128
판권기 12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137542 | 371.12 -16-13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