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5
제1부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 개발 연구 17
Ⅰ. 서론 1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8
2. 연구과제 20
Ⅱ. 이론적 배경 21
1. 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 및 실태 21
가. 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 21
나. 학교 밖 청소년의 발생원인 22
다. 학교 밖 청소년의 실태 23
2. 자기계발 프로그램의 개념 25
3. 국내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현황 30
가.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시설 운영 31
나. 전문기관 위탁 운영 33
다. 국내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35
4. 국외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현황 37
가. 영국 Bridge Academy Hackney 38
나. 프랑스 예술가 양성 프로그램 39
다. 미국 Holyday in the Museum 39
라. 캐나다 힙합댄스 프로그램 41
마. 미국 NYSP(The National Youth Sports Program) 스포츠 프로그램 41
바. 캐나다 TREES(Teen Recreation and Education Enhancement Services) 대안학교 프로그램 : 뉴튼(Newton) 아트 프로그램 42
사. 국외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43
5. 프로그램 운영모형 개발 이론 45
Ⅲ.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 개발 과정 50
1. 프로그램 운영모형 개발절차 50
가. 문헌 연구 50
나. 요구 분석 50
다. 내용 구성 50
라. 타당성 검증 50
마. 운영모형 개발 51
바. 시범 운영 51
사. 평가 및 수정보완 51
2. 학교 밖 청소년 특성 및 요구조사 53
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3
나. 자기계발 프로그램 욕구조사 결과 62
다. 학교 밖 청소년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시사점 74
3. 실무자 설문조사 76
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76
나.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 79
다. 프로그램 운영모형 개발에 대한 의견 96
라. 실무자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시사점 107
4. 학교 밖 청소년 심층 면접 109
가. 목적 109
나. 조사 대상 109
다. 심층 면접 질문 내용 110
라. 심층 면접 결과 요약 111
마. 학교 밖 청소년 심층 면접의 시사점 117
5. 실무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 120
가. 목적 120
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질문 내용 121
라. 심층 면접 결과 요약 122
마. 실무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 시사점 129
6. 전문가 자문 132
가. 프로그램 운영절차에 대한 자문 132
나. 운영모형 전반에 대한 자문 134
7. 시범 운영 및 평가결과 135
가. 프로그램 평가 135
나. 프로그램 운영모형 평가 139
Ⅳ.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 143
1.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의 구성원리 143
2.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 구성요소 144
3.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최종) 145
가. 투입 145
나. 전환 146
다. 산출 147
라. 성과 148
4.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절차 149
가. 준비단계 151
나. 실행단계 152
다. 사후단계 153
5.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 예시 154
가. 문화ㆍ예술 프로그램 154
나. 신체단련 프로그램 157
다. 봉사활동 프로그램 160
라. 환경보존 프로그램 164
Ⅴ. 연구요약 및 제언 168
1. 연구요약 168
2. 연구의 의의 및 제언 172
제2부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매뉴얼 177
Ⅰ.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절차 178
1. 준비단계 180
2. 실행단계 189
3. 사후단계 199
Ⅱ.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양식 모음 205
양식 1. 프로그램 참여 신청서 206
양식 2. 참가자 명단 207
양식 3. 면접 질문지 208
양식 4. 확정통보 안내문(OT 참석 안내) 209
양식 5. 사정기록지 210
양식 6. 역할분담표 211
양식 7. 준비상태 체크리스트 212
양식 8. 프로그램 참여 계약서 213
양식 9. 모범 참여자 상장 214
양식 10. 점검 체크리스트 216
양식 11. 인터뷰 질문지 217
양식 12. 현장학습 만족도 218
양식 13. 세부 활동 계획서 219
양식 14. 언론보도 220
양식 15. 수료증 221
양식 16. 참여 후기 소감문 222
양식 17. 간담회 회의보고서 223
양식 18. 출석부 224
양식 19. 개별 멘토링 225
양식 20. 프로그램 점검 일지 226
양식 21. 동아리 운영 계획 228
양식 22. 동아리 활동일지 229
참고문헌 230
[부록 1]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운영모형 조사 청소년용 설문지 236
[부록 2]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운영모형 조사 실무자용 설문지 243
[부록 3]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효과성 사전ㆍ사후설문지(만족도 포함) 249
[부록 4]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관련 프로그램 모음 256
1. 문화ㆍ예술 영역 256
2. 신체단련 영역 263
3. 봉사활동 영역 265
4. 환경보존 영역 266
5. 과학정보 영역 268
프로그램 모음 참고자료 271
Abstract 277
판권기 280
그림 1. 최근 5년간 전국 초중고 학업중단율 추이 25
그림 2. 자기계발 사이클 28
그림 3. ADDIE 모형에 근거한 본 연구의 운영모형 개발과정 47
그림 4. 논리모델 49
그림 5.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 개발절차 52
그림 6. 청소년이 인식하는 가정의 경제적 수준 56
그림 7. 정규학교 중단 시기 58
그림 8. 정규 학교 중단이유(복수응답) 60
그림 9. 현재 가장 고민하고 있는 것 62
그림 10. 현재 자신의 진로목표(복수응답) 63
그림 11. 정규 학교 중단 후 경험해 본 자기계발 영역(복수응답) 67
그림 12. 참여 희망 자기계발 영역(복수응답) 69
그림 13. 자기계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얻고 싶은 점(복수응답) 72
그림 14. 관련실무 경력(평균) 79
그림 15. 학교 밖 지원업무 경력(평균) 79
그림 16. 실무자가 생각하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관련 고민 80
그림 17. 센터 이용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목표(복수응답) 81
그림 18. 자기계발 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인식 82
그림 19.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 경험 84
그림 20. 개설 희망 자기계발 프로그램 86
그림 21. 학교 밖 청소년이 희망하는 자기계발 프로그램(복수응답) 88
그림 22.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 시 어려웠던 점(복수응답) 90
그림 23.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계발 프로그램 참여 목표(복수응답) 92
그림 24. 학교 밖 청소년이 자기계발 프로그램을 통해 얻고 싶은 점(복수응답) 93
그림 25.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매뉴얼 수록 희망 내용(복수응답) 100
그림 26.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 148
그림 27. 자기계발 프로그램의 전체 운영구조 15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159383 | 362.7 -16-9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