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판권기

참여연구진

연구요약

목차

제1장 서론 28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8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9

제2장 국내 지하차도 설계 및 유지 관리 현황 32

2.1. 국내 지하차도관련 연구 및 설계동향 32

2.2. 기존 지하차도의 설계/시공/유지관리 현황 36

2.2.1. 지하차도 설계 및 유지관리방안 조사 36

2.2.2. 배수시설 투수성능 저하 영향 검토 51

2.2.3. 지하수위를 고려한 부력방지공법 적용현황 55

2.3. 지하차도 유역모델링 및 설계의 적정성 검토 59

2.3.1. 대상유역 선정 및 유역특성 분석 59

2.3.2. 대상유역 수리/수치모델링 및 모형실험 계획 수립 68

제3장 지하수 흐름특성에 따른 물순환 효과 분석 100

3.1. 대상유역에 대한 1차원 유역모델링 100

3.1.1. 대상유역 분석 100

3.1.2. 지표수모델링(SWMM)을 위한 입력자료 구축 112

3.1.3. 2차원 지하수 모형 입력자료 보완 및 유역모형결과 분석 116

3.2. 대상유역에 대한 지하수 흐름특성 분석 128

3.2.1. 지하수 모델링 입력자료 구축 128

3.2.2. 3차원 지하수모델링 및 실측자료를 통한 모형 보정/검증 135

3.3. 대상유역에 대한 LID 물순환 효과 분석 139

3.3.1. SWMM LID 개요 및 대상유역의 개발 후 현황 139

3.3.2. LID공법 적용에 따른 유출변화 특성 분석 144

3.3.4. LID공법 적용에 따른 지하수변화 특성 분석 152

3.4. 유출 지하수 재이용 및 활용방안 분석 156

3.4.1. 유출지하수의 활용 사례 156

3.4.2. 용도별 유출지하수의 활용을 위한 수질관리기준 159

3.4.3. 대상유역 유출지하수 활용방안 검토 163

제4장 지하차도 설계시 합리적인 지하수위 결정방안 174

4.1. 주변환경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추이 174

4.1.1. 지하차도의 지하수 영향 고려 현황 174

4.1.2. 지하수위저감공법 적용현장 지하수위 측정 결과분석 179

4.1.3. 실내 모형시험에 의한 지하차도 안정성 검토 187

4.2. 시나리오별 지하차도의 부력 안전성 검토 199

4.2.1. 지하수위저감공법 적용 지하차도 부력안정성 검토 199

4.3. 지하차도의 설계지하수위 영향 고려(안) 205

4.3.1. 수치해석 개요 205

4.3.2. 지하수위 변화를 고려한 지하차도 U-type 구간의 부력 안정성 평가 206

4.4. 설계 지하수위(Box 및 U-type)의 적용한계 검토 215

4.4.1. 대상유역의 지하수 함양량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 모델링 215

제5장 지하차도 U-TYPE 구간 뒷채움재료의 특성에 따른 토압의 영향 224

5.1. 지하차도 U-TYPE 구조물의 토압영향 검토 224

5.1.1. 지하차도의 설계 수평토압 적용 현황 224

5.1.2. 뒤채움재의 토질 및 다짐도 등에 따른 수평토압 영향 226

5.2. 장기 변형을 고려한 수평토압 영향 검토 233

5.2.1. 장기 거동을 고려한 수평토압 분석 233

5.2.2. 원심모형 시험 등에 의한 수평토압 변화 양상 분석 241

5.2.3. 현장계측(세종시)결과에 의한 수평토압 변화 양상 분석 245

5.3. 뒷채움재 다짐도의 영향 및 수평토압 적용 248

제6장 물순환 효과를 고려한 지하차도 구조물의 설계효율화 방안 제시 254

6.1. 지하차도 설계효율화를 위한 해석 시나리오 구축 254

6.1.1. 지하차도 구조물 해석 시나리오 구축 254

6.2. 지하차도 기초의 설계 및 시공 효율화 방안 256

6.2.1. 지하차도 기초의 설계 효율화 방안 256

6.2.2. 지하차도 기초의 시공 효율화 방안 267

6.2.3. 설계·시공 효율화를 통한 유지관리 개선 271

6.3. 지하차도 설계 및 유지관리 대안 제시 281

6.3.1. 제안공법의 기능 및 우수 저류시설 효과 검토 281

6.3.2. 물순환 효과를 고려한 U-type 구조물 침투저류조 제안 286

6.3.3. 실내시험에 의한 안정성 검토 289

6.3.4. U-type 구조물 침투저류조의 계획 293

제7장 결론 302

참고문헌 308

표목차

[표 1-1] 준공사업지구 포함 LH 현장 29

[표 2-1] 관련 연구사례 35

[표 2-2] 지하차도 설계에 고려되는 하중의 종류 37

[표 2-3] 지하차도 건설관련 기준, 시방 및 지침 39

[표 2-4] 부력에 대한 안전율 43

[표 2-5] 도시지역 도로배수 시설의 설계빈도 46

[표 2-6] 토목섬유 막힘현상의 기준 52

[표 2-7] 제3 지하차도 지층 분포상태 53

[표 2-8] 영종하늘도시 현장 원지반 기본 지반특성 53

[표 2-9] 부력방지 대책공법의 종류 및 적용성 58

[표 2-10] 지하차도 부력방지 대책공법 선정 사례 59

[표 2-11] 용도별 지하수 개발·이용현황 62

[표 2-12] 유역별 지하수 개발 및 이용 실태 63

[표 2-13] 지점별 지하수 이용 현황 64

[표 2-14] 세종시 대상유역 지층분포 65

[표 2-15] 영종도 대상유역 지층분포 66

[표 2-16] 세종시 대상유역 지하수위 계측 66

[표 2-17] 영종도 대상유역 지하수위 계측 결과 67

[표 2-18] 지하차도 구조물 현황 및 특성 69

[표 2-19] Manning 조도계수-Overland flow 75

[표 2-20] 지면 저류 추정 값 76

[표 2-21] Manning 조도계수-Closed conduit 77

[표 2-22] Manning 조도계수-Open channels 78

[표 2-23] 침투량 계수 79

[표 2-24] Green-Ampt 침투 매개변수 81

[표 2-25] SCS CN값 82

[표 2-26] MODFLOW 프로그램 패키지 97

[표 3-1] 세종시 유역의 표고별 면적비율 103

[표 3-2] 세종시 유역의 경사별 비율 103

[표 3-3] 영종도 유역의 표고별 면적비율 105

[표 3-4] 영종도 유역의 경사별 비율 106

[표 3-5] 대상유역 주변 기상관측소 현황 111

[표 3-6] 각 기상관측소별 월 평균 증발량 112

[표 3-7] 세종시 유역 입력자료 114

[표 3-8] 영종도 유역 입력자료 115

[표 3-9] 용호천 유량 계측 결과 116

[표 3-10] 소유역별 지표면 유출량 118

[표 3-11] 소유역별 침투량 119

[표 3-12] 소유역별 지표면 증발량 120

[표 3-13] 소유역별 지표하 증발산량 121

[표 3-14] 소유역별 지하수 유출량 122

[표 3-15] 세종시 유역 지표면 물 수지 분석 124

[표 3-16] 세종시 유역 지표하 물 수지 분석 124

[표 3-17] 영종도 유역 지표면 물수지 분석 124

[표 3-18] 영종도 유역 지표하 물 수지 분석 124

[표 3-19] 계절별 유출 특성 125

[표 3-20] 청주 기상관측소 1년 누적 최대 강우량 126

[표 3-21] 인천 기상관측소 1년 누적 최대 강우량 126

[표 3-22] 지하수 모델링의 구성-세종시 유역 129

[표 3-23] 지하수 모델링의 구성-영종도 유역 131

[표 3-24] 비압밀 퇴적물의 고유 투수계수와 수리 전도도 132

[표 3-25] 세종시 유역 적용 함양율 133

[표 3-26] 영종도 유역 적용 함양율 134

[표 3-27] 모델링 입력인자-세종시 유역 134

[표 3-28] 모델링 입력인자-영종도 유역 135

[표 3-29] 정류상태의 관측수위와 계산수위 비교표 137

[표 3-30] 정류상태의 관측수위와 계산수위 비교표 139

[표 3-31] 계획용지별 불투수비율 142

[표 3-32] 세종시 LID 유출저감 효과 분석을 위한 모의 조건 142

[표 3-33] 영종도 LID 유출저감 효과 분석을 위한 모의 조건 144

[표 3-34] 투수성 포장재 설치에 따른 유출특성-세종시 유역 145

[표 3-35] 투수성 포장재 적용에 따른 침투특성-세종시 유역 146

[표 3-36] 투수성 포장재 적용에 따른 지하수 유출특성-세종시 유역 146

[표 3-37] 투수성 포장재 설치에 따른 유출특성-영종도 유역 147

[표 3-38] 투수성 포장재 적용에 따른 침투특성-영종도 유역 147

[표 3-39] 투수성 포장재 적용에 따른 지하수 유출특성-영종도 유역 148

[표 3-40] 저류시설 적용에 따른 유출특성-세종시 유역 149

[표 3-41] 저류시설 적용에 따른 침투특성-세종시 유역 150

[표 3-42] 저류시설 적용에 따른 지하수 유출특성-세종시 유역 150

[표 3-43] 저류시설 적용에 따른 유출특성-영종도 유역 151

[표 3-44] 저류시설 적용에 따른 침투특성-영종도 유역 151

[표 3-45] 저류시설 적용에 따른 지하수 유출특성-영종도 유역 152

[표 3-46] 유출지하수 활용 세부용도 및 주요 사항 157

[표 3-47] 유출지하수 활용 목록 및 활용사례 158

[표 3-48] 시설별 유출지하수 발생량 및 이용량 158

[표 3-49] 용도별 이용량 159

[표 3-50] 중수도 수질기준 159

[표 3-51] 하천의 수질환경기준 160

[표 3-52] 하천의 생활환경기준 서술적 수질상태 이해표 161

[표 3-53] 하·폐수처리 재처리수의 용도별 수질기준 162

[표 3-54] 호소수 수질환경기준 163

[표 3-55] 지하수 수질분석 결과 164

[표 3-56] 일한호수 공원 수질기준 166

[표 3-57] 유출지하수 처리공정 168

[표 3-58] 유출지하수의 하천유지용수 적용시 유지관리비용 169

[표 4-1] 부력에 대한 안전율(Fs) 177

[표 4-2] 지하차도 유지관리 기준 수위 지하수위계의 관리기준 180

[표 4-3] 지하수위 설치위치 및 측정 홀 깊이 185

[표 4-4] 지하수위계 센서 위치 및 측정결과 186

[표 4-5] 설계 투수계수, k 189

[표 4-6] 영종하늘도시 제3 지하차도 축소모형 무게 190

[표 4-7] 세종시 5생활권 제3 지하차도 축소모형 무게 191

[표 4-8] 영종하늘도시 #3 지하차도 상사비 193

[표 4-9] BLOCK-05, No.211 부력계산 결과 202

[표 4-10] 시나리오별 현장지반(BLOCK-05, No.211) 지하수위(EL. m) 202

[표 4-11] BLOCK-05, No.658 부력계산 결과 204

[표 4-12] 시나리오별 현장지반(BLOCK-05, No.658) 지하수위(EL. m) 204

[표 4-13] 수치해석 요소별 입력물성 207

[표 4-14] 수치해석 요소별 입력물성 209

[표 4-15] 해석에 적용된 지하수위 조건 210

[표 4-16] 지하차도 주변 지반변위 212

[표 4-17] 각 대상유역 지하차도 안정성 해석 결과 215

[표 5-1] 도로 구조물 뒤채움재 품질관리 기준 227

[표 5-2] SB-1, SB-2 재료의 기준 227

[표 5-3] 토입계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흙의 단위중량과 내부마찰각(도로설계 편람) 231

[표 5-4] 토입계산용 일반적인 흙의 단위중량과 내부마찰각(철도설계지침 및 편람) 231

[표 5-5] 흙의 단위중량(한국지반공학회) 232

[표 5-6] 각 지반 요소별 특성치 235

[표 5-7] Interface 요소별 특성치 236

[표 5-8] 지반의 Creep 거동 특성치 236

[표 5-9] 현장 뒤채움재 시료의 토성 개요 236

[표 5-10] 현장 뒤채움재 시료의 습윤밀도 237

[표 5-11] 구간별 토압 측정 결과 245

[표 5-12] 3축 변위계 측정결과 247

[표 6-1] 지하수 유동해석에 따른 지하차도 주변 지하수위 분석 256

[표 6-2] 지하차도별 배수펌프 운전 현황 262

[표 6-3] 지하차도 지하수위 저감공법 3D 모형시험 연직변위 측정결과 278

[표 6-4] 지역내 우수유출저감 저류조별 특징 285

[표 6-5] U-type 구조물 침투저류조 3D 모형시험 연직변위 측정결과 292

[표 6-6] U-type 구조물 침투저류조 관리기준(안) 297

[표 6-7] 공사직후 부력대책공별 개략 공사비 비교 298

그림목차

[그림 2-1] 도시부 도로배수시설의 구성 45

[그림 2-2] 도심지 도로배수 계통 설계흐름 45

[그림 2-3] 집수정 설계사례 48

[그림 2-4] 눈막힘 현상 가능성을 나타내는 동수경사비 52

[그림 2-5] 제3 지하차도, 제4 지하차도 연결부 연약지반 54

[그림 2-6] 대상유역1 - 세종특별자치시 행정중심복합도시 60

[그림 2-7] 대상유역2 - 영종하늘도시 61

[그림 2-8] 지하차도 및 토질 조사 위치 65

[그림 2-9] 계측기 설치안 68

[그림 2-10] 대상유역의 수치모델링 계획 70

[그림 2-11] SWMM 5 구성 71

[그림 2-12] SWMM 유역 배수의 개념도 71

[그림 2-13] 소유역의 세부유역 구분 72

[그림 2-14] 가상의 소유역 73

[그림 2-15] 소유역 추적에 적용하는 비선형 저수지 모형 84

[그림 2-16] 지하수 매개변수와 개념도 86

[그림 2-17] (i,j,k)셀과 주변 셀의 입체도 93

[그림 3-1] 세종시 대상유역 항공사진 101

[그림 3-2] 세종시 유역의 소유역의 분할 101

[그림 3-3] 연구 대상지역의 위성사진 102

[그림 3-4] 연구 대상 지역의 소유역 분할도 102

[그림 3-5] 세종시 유역의 TIN분석도 104

[그림 3-6] 세종시 유역의 수치표고분석도 104

[그림 3-7] 세종시 유역의 경사도 분석도 105

[그림 3-8] 영종도 유역의 TIN분석도 106

[그림 3-9] 영종도 유역의 수치표고분석도 107

[그림 3-10] 영종도 유역의 경사분석도 107

[그림 3-11] 세종시 유역의 지질계통도 109

[그림 3-12] 영종도 유역의 지질도 및 지질계통도 110

[그림 3-13] 각 유역의 기상관측소 월 평균 강우량 111

[그림 3-14] 대상유역의 토지이용도 113

[그림 3-15] 대상유역의 토양도 113

[그림 3-16] SWMM을 이용한 대상유역 모형 구축 115

[그림 3-17] 보정결과 116

[그림 3-18] 영종도 유역 모형 보정 결과 117

[그림 3-19] 지표면 유출량 118

[그림 3-20] 소유역별 침투량 119

[그림 3-21] 소유역별 지표면 증발량 120

[그림 3-22] 소유역별 지표하 증발산량 121

[그림 3-23] 소유역별 지하수 유출량 122

[그림 3-24] 물 순환 모식도 123

[그림 3-25] 세종시 2011년 유출모의 결과 127

[그림 3-26] 영종도 1990년 유출모의 결과 127

[그림 3-27] 해석 절차 128

[그림 3-28] 지하수 모델링 구성-격자망 및 경계조건 130

[그림 3-29] 지하수 모델링 구성-모델링 지역의 대상 영역 및 격자망 131

[그림 3-30] 모델링 지역 관측정 위치 136

[그림 3-31] 모형보정 결과 136

[그림 3-32] 정류상태의 지하수위 분포 137

[그림 3-33] 모델링 지역 관측정 위치 138

[그림 3-34] 모형보정 결과 138

[그림 3-35] 정류상태의 지하수위 분포 139

[그림 3-36] SWMM 모형 내 LID 구성 140

[그림 3-37] LID 유출 개념도 140

[그림 3-38] 세종시 대상유역 개발계획평면도 141

[그림 3-39] 영종도 대상유역 개발계획평면도 143

[그림 3-40] 개발후 LID 적용에 따른 건기와 우기의 지하수위 분포 153

[그림 3-41] 개발후 LID 적용에 따른 계절별 지하차도 종방향 지하수위 변화 153

[그림 3-42] 우기시 시나리오별 지하차도 종방향 지하수위 변화 154

[그림 3-43] LID 적용시 건기와 우기의 지하수위 분포 155

[그림 3-44] 개발후 계절별 지하차도 종방향 지하수위 변화 155

[그림 3-45] 수질분석을 위한 지하수 채수 위치 164

[그림 3-46] 수질분석을 위한 지하수 채수 위치 167

[그림 4-1] 지하수위와 수압의 고려 175

[그림 4-2] 영종 하늘도시 지하수위저감공법 적용 개략도 179

[그림 4-3] 현장에 설치된 지하수위계 180

[그림 4-4] 제3 지하차도 계측기 설치평면도 181

[그림 4-5] 제3 지하차도 구간 시공 중 지하수위 계측결과 예(2009.12) 182

[그림 4-6] 제3 지하차도구간 운영 중 지하수위 계측결과 예(2015.06) 182

[그림 4-7] No.1 ~ No.4 : Box 및 U-Type 구간의 배면에 설치 183

[그림 4-8] No.1 : Block-16〈측점 No.670+5m 지점〉 183

[그림 4-9] No.2 : Block-17 중간지점〈측점 No.671+7.5m 지점〉 184

[그림 4-10] No.3 : Block-19 중간지점〈측점 No.673+5m 지점〉 184

[그림 4-11] No.4 : Block-21 중간지점〈측점 No.676+5m 지점〉 185

[그림 4-12] 지하수위No.1~No.4(측점 No.670~676) 186

[그림 4-13] 영종도 제3 지하차도 지하수 흐름 영향범위 해석 결과 188

[그림 4-14] 영종도 제3 지하차도 지하수 영향범위 단면 189

[그림 4-15] 영종하늘도시 제3 지하차도 모형 191

[그림 4-16] 세종시 5생활권 제3 지하차도 모형 191

[그림 4-17] 아크릴 토조 192

[그림 4-18] 키올리나이트 비율에 따른 혼합토의 투수계수 변화 194

[그림 4-19] 키올리나이트 중량 비율에 따른 혼합토의 투수계수 변화 195

[그림 4-20] Push-pull dial tension gauge 센서 및 설치 196

[그림 4-21] 표준사 및 키올리나이트 혼합시료 조성 196

[그림 4-22] 모형지반 조성결과 197

[그림 4-23] 실시간 지하수위 측정 카메라 및 모니터 197

[그림 4-24] 영종하늘도시 제3 지하차도 부력시험 결과(U-type) 198

[그림 4-25] 세종시 제3 지하차도 부력시험 결과(U-type) 199

[그림 4-26] 지하차도 박스구간 부력시험 결과 199

[그림 4-27] U-type 구간 개구율 단면 형상 예(10m x10m 정사각형) 200

[그림 4-28] 지표까지 포화된 경우 U-type 구간 개구율에 대한 안전율 변화 200

[그림 4-29] 영종하늘도시대표 검토단면 201

[그림 4-30] BLOCK-05, No.211 부력 안정성 201

[그림 4-31] 세종시 대표 검토단면(계속) 203

[그림 4-32] 세종시 대표 검토단면 203

[그림 4-33] BLOCK-5, No.658 부력 안정성 203

[그림 4-34] 부력에 의한 구조물 피해 사례 205

[그림 4-35] 부력 및 양압력에 의한 구조물 피해양상 206

[그림 4-36] 세종시 유역 지하차도 No.3 U-type 단면 207

[그림 4-37] 해석모델의 경계조건 208

[그림 4-38] 영종도 유역 지하차도 No.3 U-type 단면 209

[그림 4-39] 영종도 유역의 수치해석모델 개략도 209

[그림 4-40] 세종시 지하차도 지하수위에 변화에 따른 지반의 소성변형 양상 211

[그림 4-41] 영종도 지하차도 지하수위에 변화에 따른 지반의 소성변형 양상 212

[그림 4-42] 세종시 지하차도 구조물 모멘트 및 전단력도 213

[그림 4-43] 영종도 지하차도 구조물 모멘트 및 전단력도 214

[그림 4-44] 정류상태 모의를 통한 지하수위 분포 216

[그림 4-45] 지하차도 주변 지하수위 관측위치 216

[그림 4-46] 개발전 계절별 지하차도 종방향 지하수위 변화 217

[그림 4-47] 개발 후 건기와 우기의 지하수위 분포 218

[그림 4-48] 개발 후 계절별 지하차도 종방향 지하수위 변화 218

[그림 4-49] 정류상태 모의를 통한 지하수위 분포 219

[그림 4-50] 지하차도 주변 지하수위 관측위치 220

[그림 4-51] 개발후, LID 미적용시 계절별 지하차도 종방향 지하수위 변화 220

[그림 5-1] 검토단면 233

[그림 5-2] 해석 모델 각 구성 요소 및 크기 234

[그림 5-3] 현장 뒤채움재 시료의 입경가적곡선 237

[그림 5-4] 해석 수행 과정 238

[그림 5-5] 시간경과에 따른 지반 변위 벡터(성토 50년 후, BC5 model) 239

[그림 5-6] 시간경과에 따른 수평토압 변화 양상 240

[그림 5-7] 카이스트 지오센트리퓨지 시험동 및 시험장비 241

[그림 5-8] 강성 박스와 Ko 모사용 박스 242

[그림 5-9] 시간에 따른 수직, 수평응력의 변화 243

[그림 5-10] 시간에 따른K0 값의 변화 243

[그림 5-11] 시간에 따른 수직, 수평응력의 변화(10g 까지) 244

[그림 5-12] 시간에 따른 Ko 값의 변화(10g 까지) 244

[그림 5-13] 토압계(No.2_수직(바닥)) 246

[그림 5-14] 토압계(No.2_수평(배면 1.5m, 6.0m)) 246

[그림 5-15] 토압계(No.3_수평(배면 1.5m, 3.5m)) 246

[그림 5-16] 토압계(No.4_수평(배면 1.5m)) 247

[그림 5-17] 3축 변위계(Z : 수평)(측점 No.671) 248

[그림 5-18] 옹벽 및 박스 구조물 다짐도 적용 249

[그림 5-19] 다짐에 의한 일시적인 하중증가 예(Lee and Roh, 2007) 249

[그림 5-20] 뒤채움 다짐시공으로 인한 토압 250

[그림 6-1] 지하차도 구조물 해석 시나리오 255

[그림 6-2] 지하차도 지하수위저감공법 적용현황 257

[그림 6-3] 지하차도 측면부 지하수위저감공법 적용현황 259

[그림 6-4] 지하차도 저면부 지하수위저감공법 적용현황 261

[그림 6-5] 지하차도 구조물 침하측정 결과 예(S-7) 263

[그림 6-6] U-type 구간 유도배수 연결관 및 우수관로 연결 264

[그림 6-7] 저면배수 적용과 대수층 영향 265

[그림 6-8] 대수층 차수그라우팅 예 266

[그림 6-9] 저면부와 측면부의 지하수위저감 효율화 267

[그림 6-10] 현장 개요도 267

[그림 6-11] 개착 지하차도부 영구배수 개요 268

[그림 6-12] 개선된 구조물뒤채움 시공방식 270

[그림 6-13] 지하수위 적용 개요도 272

[그림 6-14] 지하차도 측면 지하수위저감 공법 표준단면도 272

[그림 6-15] 지하차도 지면 지하수위저감 공법 표준단면도 273

[그림 6-16] 세종시 제3 차도 모형단면 및 제작결과[원문불량;p.249] 274

[그림 6-17] 지하차도 지하수위 저감공법 원안 및 개선안 시험단면 275

[그림 6-18] 지하차도 지하수위 저감공법 시험 예(원안) 276

[그림 6-18] 지하차도 지하수위 저감공법 시험 예(원안)(계속) 277

[그림 6-19] 지하차도 지하수위 저감공법 3D 모형시험 278

[그림 6-20] 지하차도 부력작용에 따른 지반변위(원안) 279

[그림 6-21] 막힘 현상 가능성을 나타내는 동수경사비 280

[그림 6-22] 저류시설의 종류 283

[그림 6-23] BLOCK-05, No.211의 U-type 구조물 단면 286

[그림 6-24] U-type 구조물 침투저류조 활용(예) 287

[그림 6-25] U-type 구조물 저판 확장을 통한 안전성 확보 287

[그림 6-25] U-type 구조물 저판 확장을 통한 안전성 확보(계속) 288

[그림 6-26] 지하수위 레벨에 따른 안전율 변화 288

[그림 6-26] 지하수위 레벨에 따른 안전율 변화(계속) 289

[그림 6-27] 영종도 제3 차도 모형단면 및 제작결과[원문불량;p.265] 290

[그림 6-28] U-type 구조물 침투저류조 시험 단면 291

[그림 6-29] 지하차도 지하수위 저감공법 3D 모형시험 292

[그림 6-30] U-type 구조물 저류조 배수관 적용 예 294

[그림 6-31] 지하차도 U-type 구조물 침투저류조 295

[그림 6-31] 지하차도 U-type 구조물 침투저류조(계속) 296

[그림 6-32] 지하차도 U-type 구간 저류조 구조물 시공 296

[그림 6-33] 시간경과에 따른 부력대책공 개략 공사비 변화 299

이용현황보기

지하수위 형성에 따른 지하차도의 설계 효율화 방안 수립 = Establishment of efficient methods in design of under-pass structures considering ground-water level change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49772 625.7 -16-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49773 625.7 -16-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