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11
제1장 서론 20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0
제2절 연구목표 23
제3절 추진체계 25
제2장 국내외 지상파 방송 환경 변화 27
제1절 DTV전환 후 세계방송시장 변화 27
1. 세계 방송시장 현황과 변화 27
2. 스마트 서비스 등장과 이용자 변화 31
3. 미디어 경쟁 현황 35
제2절 지상파 차세대 방송 동향 38
1. 차세대 실감미디어 38
2. UHDTV 개요 41
제3절 기술발전과 시청자 권익 관계 49
1. 기술발전과 미디어의 변화 49
2. 기술발전과 시청자 권익 51
제4절 지상파 다채널방송의 필요성 57
1. 지상파 다채널방송의 개념 57
2.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기술 62
3.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도입의 필요성 67
제3장 지상파 다채널 해외 사례 71
제1절 미국 71
1. 디지털 전환과 MMS 출현 배경 71
2. MMS 정책 개요 76
3. MMS 서비스 현황 79
4. 평가와 제언 87
제2절 영국 90
1. 현황 90
2. 정책적 논점 113
3. 향후 전망 116
제3절 프랑스 118
1. 배경과 목적 118
2. 주파수 배분과 다채널 정책 121
3. 지상파 다채널 방송과 프랑스 방송 산업의 구조적 변화 131
4. 결론 및 시사점 139
제4절 독일 141
1. 독일의 방송 수신 환경 141
2. 방송 및 텔레서비스 사업자 현황 142
3. 지상파디지털전환 과정 144
4. 향후 전망 및 시사점 151
제4장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도입 방안 154
제1절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도입 목적 154
1. 시청자 권익 확대 154
2.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이용 157
제2절 전송기술 관련 규정 160
제3절 사업자 선정과 도입 방법 164
제4절 지상파 다채널방송 도입을 위한 법령 개정 필요성 168
제5절 채널 구성 및 운용 175
제6절 광고 및 재송신 179
제5장 결론 182
제1절 결과 요약 및 함의 182
제2절 연구한계 및 제언 187
참고문헌 188
판권기 193
[그림 1-1] '지상파 다채널방송 서비스' 정책방안 연구의 목표 24
[그림 1-2]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과정 25
[그림 1-3] 연구 추진체계 26
[그림 2-1] 플랫폼 사업자의 콘텐츠 및 단말기의 사업으로의 확장 29
[그림 2-2] 콘텐츠 사업자들의 유통플랫폼 사업 진출 32
[그림 2-3] 방송기술의 발전 방향 전망 39
[그림 2-4] TV 세대 발전 과정 40
[그림 2-5] HDTVㆍUHDTV 시야각, 시청거리 42
[그림 2-6] 국내 차세대 방송기술 로드맵 46
[그림 2-7] 전 세계 4K UHDTV 출하량 전망 47
[그림 2-8] 방송 기술의 발전 50
[그림 2-9] 지상파 DTV의 멀티캐스팅의 예시 57
[그림 2-10] 데이터 전송량에 따른 MMS 구현의 예 58
[그림 2-11] 매체별 광고의 시장 포지셔닝 변화 전망 59
[그림 2-12] 뉴미디어 시대 지상파 방송을 둘러싼 환경 69
[그림 3-1] 영국 디지털 지상파 다채널 방송 개요 93
[그림 3-2] 프리뷰 출범 이전의 디지털 멀티플렉스 구성 94
[그림 3-3] 프리뷰 출범 이후의 디지털 멀티플렉스 구성 95
[그림 3-4]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의 디지털 멀티플렉스 재구성 97
[그림 3-5] BBC가 디지털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채널 구성 105
[그림 3-6] 멀티플렉스별 채널 배치 현황 107
[그림 3-7] 채널 5의 채널 구성현황 110
[그림 3-8] 영국 디지털 지상파 플랫폼 비즈니스 모형의 변천 112
[그림 3-9] 지상파 멀티플렉스 구성과 HD 채널 현황 123
[그림 3-10] 프랑스 디지털방송 가구점유율 추이 132
[그림 3-11] 프랑스 TV 채널 시청점유율 135
[그림 3-12] 프랑스 신규 지상파 디지털채널들의 시청점유율 136
[그림 3-13] 독일의 방송 수신 유형별 점유율(2013년 기준) 141
[그림 3-14] 독일의 DVB-T 현황 146
[그림 3-15] 도심인 베를린과 산악인 게라 지역의 DVB-T 도달범위 147
[그림 3-16] 튀링엔주 게라 지역의 공영MUX와 민영MUX의 BVB-T 평균도달범위 148
[그림 3-17] 베를린지역의 지상파디지털방송 Multiplex 구성(2012년12월 현재) 149
[그림 4-1] 10대 미래 신규 서비스 162
[그림 4-2] 미래방송환경의 다매체간 서비스 융합 16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