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5

Abstract 7

Ⅰ. 연구 과제 개요 10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0

2. 연구 추진 체계 11

3. 연구 추진 일정 12

4. 연구 추진 경과 13

4.1. 연구 절차 13

4.2. 연구 추진 경과 13

Ⅱ.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 검토 14

1. 읽기 교육 이론 및 연구 동향 14

1.1. 읽기 교육 관련 이론 14

1.2. 읽기 교육 연구 동향 15

2. 국내외 읽기 교육과정 분석 22

2.1. 분석 자료 23

2.2. 분석 내용 23

Ⅲ. 한국어 읽기 교육 동향 및 요구조사 분석 43

1. 한국어 읽기 교재 분석 43

2. 한국어 읽기 교육 현황 및 요구조사 분석 46

2.1. 요구조사 개요 46

2.2. 읽기 교육 현황 및 요구조사 분석 결과 51

Ⅳ.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 개발 내용 61

1.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 개발 방향 61

2.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 개발 원리 63

2.1. 내용의 포괄성과 대표성 64

2.2. 내용의 계열성과 연속성 65

2.3. 내용의 균형성 65

2.4. 적용의 융통성 65

2.5. 사용의 편리성 66

3.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 개발 내용 67

3.1. 성격 67

3.2. 목표 68

3.3. 등급 체계 70

3.4. 교육 시간 70

3.5. 내용 체계 72

3.6. 등급별 성취 기준 76

3.7. 등급별 내용 기술 78

3.8. 등급별 교수 방안 85

3.9. 등급별 평가 방안 92

Ⅴ. 한국어 읽기 교육 모형 95

1. 사실적 이해를 위한 읽기 95

2. 추론적 이해를 위한 읽기 100

3. 비판적 이해를 위한 읽기 105

4. 감상적 이해를 위한 읽기 111

Ⅵ.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의 실제 119

1.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 적용 119

1.1. 등급별 성취 기준 활용 방안 119

1.2. 등급별 내용 활용 방안 124

1.3. 읽기 교육과정 활용 방안 132

2. 한국어 읽기 자료의 선정 및 개작 방안 136

2.1. 한국어 읽기 자료의 선정 기준 136

2.2. 한국어 읽기 자료 개작의 유의점 139

2.3. 한국어 읽기 자료의 개작 방법 140

2.4. 한국어 읽기 자료 개작의 예 141

[부록 1]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의 등급별 텍스트 유형 154

1. 텍스트 유형 - 초급 수준 154

2. 텍스트 유형 - 중급 수준 162

3. 텍스트 유형 - 고급 수준 170

[부록 2] 한국어 읽기 교육의 유의 사항 및 지침 178

판권기 182

표목차

〈표 1〉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 개발 연구 절차 13

〈표 2〉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수(유형별ㆍ시기별) 17

〈표 3〉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주제 18

〈표 4〉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24

〈표 5〉 한국어과 교육과정(KSL) 내용 체계 25

〈표 6〉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25

〈표 7〉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요소 26

〈표 8〉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27

〈표 9〉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내용 체계 28

〈표 10〉 한국어능력시험(TOPIK) 내용 체계 28

〈표 11〉 유럽공통참조기준(CEFR) 내용 체계 29

〈표 12〉 미국 National Standards 내용 체계 30

〈표 13〉 해외 한글학교 교육과정 내용 체계 30

〈표 14〉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과정 등급별 성취 기준 31

〈표 15〉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과정 읽기 등급별 성취 기준 33

〈표 16〉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학습 내용 성취 기준의 구성 원리 34

〈표 17〉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읽기 영역 등급별 성취 기준 34

〈표 18〉 국어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 등급별 성취 기준 36

〈표 19〉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 성취 기준 37

〈표 20〉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등급별 성취기준 38

〈표 21〉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 영역 성취 기준 39

〈표 22〉 유럽공통참조기준(CEFR) 등급 구분 40

〈표 23〉 유럽공통참조기준(CEFR) 등급별 성취 기준 40

〈표 24〉 미국 외국어교육 표준안(National Standards) 학년별 성취 기준 41

〈표 25〉 분석 대상 교재 수 43

〈표 26〉 분석 대상 교재 45

〈표 27〉 최근 3년간 해외(국가별) 초ㆍ중등학교 한국어반 개설 현황 47

〈표 28〉 국외 한국(어) 학과 개설 대학 48

〈표 29〉 국내 대학 내 한국어교육 기관 49

〈표 30〉 설문 문항 구성 50

〈표 31〉 표준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 등급 체계 70

〈표 32〉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 교육 시간 71

〈표 33〉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 내용 체계 72

그림목차

〈그림 1〉 연구 동향 분석 절차 16

〈그림 2〉 요구조사 절차 50

〈그림 3〉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간의 상관성(Brady, 1992) 61

〈그림 4〉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개발 모형(Nunan, 1988; Johnson, 1989) 62

〈그림 5〉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모형 63

〈그림 6〉 일주일 계획이나 방학 계획에 관련된 읽기 자료 133

〈그림 7〉 박물관 게시물, 게시판 관련 읽기 자료 134

〈그림 8〉 여행 관련 읽기 자료 135

〈그림 9〉 환경과 교육 관련 읽기 자료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