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7

제2장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개요 9

2.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전체 구조 9

2.2. 기본입력자료 (ICON; BCON) 생산 개요 14

2.3. 기상자료 (MCIP) 생산 개요 15

2.3.1. 기상자료 생산 15

2.3.2. 시간 분할을 통한 자료 산출 17

2.4. 배출량 (EMISSION) 생산 개요 19

2.5. 광해리 계수 (JPROC) 생산 개요 23

제3장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설치 24

3.1. 모델 기본 환경 설정 24

3.1.1. 필요한 프로그램 24

3.1.2. 하위 폴더 생성 24

3.1.3. 모델 하위 구성 25

3.2. 모델 설치 26

3.2.1. 기본 프로그램 설치 26

3.2.2. 프로그램 설치 확인 26

제4장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수행 27

4.1. 모델 수행 기본 환경 27

4.2. 전체적인 모델 수행 방법 (쉘스크립트) 28

4.3. 입력자료 생산 29

4.3.1. 초기 농도자료 (ICON) 30

4.3.2. 측면 경계자료 (BCON) 30

4.3.3. 광해리 계수 (JPROC) 30

4.3.4. 기상자료 (MCIP) 31

4.3.5. 배출량자료 (EMISSION) 35

4.3.6. 황사 배출지역 구분자료 (DUST) 37

4.3.7. 해양ㆍ육지 구분자료 (OCEAN_1) 37

4.4.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수행 37

4.4.1. 모델 수행 37

4.4.2. 모델 장기 수행 39

4.4.3. 모델 수행 결과 40

제5장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결과 표출 41

제6장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예측 효율성 검증 44

6.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검증 개요 44

6.2. PM10 검증 결과 44

6.2.1. 2014년 27개 지점 월 평균 예측 PM10 검증 44

6.2.2. 월별 관측과 예측 패턴의 일치성 검증 (Taylor diagram) 46

제7장 준현업 시스템 구축 및 운영 49

7.1. 전지구 UM 모델 결과 확인 49

7.2. 광해리 계수 산출 50

7.3. 모델 입력 기상자료 산출 50

7.4. 모델 입력 배출량자료 산출 51

7.5. 예측 자료 생성 51

7.6. 실시간 모델 결과 분석 52

7.7. 모델 후처리 55

제8장 참고문헌 57

[부록 A]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수행 쉘스크립트 59

[부록 B] 배출량 생산 쉘스크립트 62

[부록 C] 기상자료 생산 쉘스크립트 65

[부록 D] 광해리계수 생산 쉘스크립트 72

[부록 E] 초기 입력자료 생산 쉘스크립트 74

[부록 F] 결과 표현 NCL 코드 77

[부록 G] 참조할 명령어 목록 84

[부록 H] 관련 약어 목록 85

표목차

표 1.0.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개발 역사 (국립기상연구소, 2014) 8

표 2.1.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서브루틴 목차 (국립기상연구소, 2014) 13

표 2.3.1. MCIP 프로그램 수행 시 필요한 대기 예측 변수 (국립기상연구소, 2014) 16

표 2.4.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수행을 위한 배출량 목록 (국립기상연구소, 2014) 20

표 2.4.2.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수행에 사용되는 배출량 목록의 구성 성분 (국립기상연구소, 2014) 22

표 4.3.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수행을 위한 입력자료 종류 29

표 4.4.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최종 출력 파일 목록 (국립기상연구소, 2014) 40

표 6.2.1. 6시간 간격으로 산출된 72시간 예측자료와 관측치와의 월별 상관계수(국립기상연구소, 2014) 48

표 7.3.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수행을 위한 연직 좌표계 (국립기상연구소, 2014) 51

표 7.6.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결과 실시간 분석 목록 (국립기상연구소, 2014) 54

표 7.7.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결과 및 백업 파일 목록 (국립기상연구소, 2014) 55

표 7.7.2.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후처리 과정에 사용된 연직 압력 층분화 (국립기상연구소, 2014) 56

그림목차

그림 2.1.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도메인 및 지형 높이 (국립기상연구소, 2014) 9

그림 2.1.2.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핵심 프로그램 구성 (CMAQ v4.6, 2007) 10

그림 2.1.3.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프로세스 구성 (CMAQ v4.6, 2007) 11

그림 2.1.4.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프로그램 구조 (국립기상연구소, 2014) 12

그림 2.2.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수행을 위한 초기 농도자료 (ICON) 및 측면 경계자료 (BCON)의 전처리 과정 (CMAQ v4.6, 2007) 14

그림 2.2.2.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BCON 파일의 구성 (CMAQ v4.6, 2007) 15

그림 2.3.1. MCIP 분할 작업 개념도 (국립기상연구소, 2014) 17

그림 2.3.2.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수행을 위한 기상자료 전처리 과정 (MCIP) (CMAQ v4.6, 2007) 18

그림 2.3.3. Cross 및 dot 격자점의 관계 (CMAQ v5.0, 2012) 18

그림 2.4.1. 각 화학물질 농도의 일 변화량 (국립기상연구소, 2014) 21

그림 2.5.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수행을 위한 광해리 계수 생산 전처리 과정(CMAQ v4.6, 2007) 23

그림 4.3.1. MCIP 수행을 위한 입력 및 출력 파일 구성 (CMAQ v4.6, 2007) 31

그림 5.1.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로부터 산출된 지표면 PM10과 바람 정보를 모델 수행 도메인에 대해 표출 43

그림 6.2.1. 2014년 27개 지점 월평균 3시간 관측 및 예측 PM10 비교 (국립기상연구소, 2014) 45

그림 6.2.2. 2014년 관측치에 대한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로부터 예측된 PM10의 bias (좌)와 RMSE (우) (국립기상연구소, 2014) 46

그림 6.2.3. 2014년 5월 26일 15 KST의 COMS Dust Index 이미지 (좌)와 황사 발원 농도 (우) (국립기상연구소, 2014) 46

그림 6.2.4.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2014년 2월 6시간 평균 예측 PM10에 대한 일치성 검증 그래프 (국립기상연구소, 2014) 47

그림 7.0.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의 준현업 시스템 흐름도 (국립기상연구소, 2014) 49

그림 7.6.1.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결과 실시간 분석 예: 동아시아의 지표상 (a) 황사 PM10, (b) 비황사 PM10, (c) 전체 PM10, 한반도의 지표상 (d) 황사 PM10, (e) 비황사 PM10, (f) 전체 PM10,... 52

그림 7.6.2. 황사ㆍ연무통합예측모델 결과 실시간 분석 예: (i) 중국, (j) 북한, (k) 남한과 (l) 일본 내의 지점별 연직 농도의 시계열 분석 (국립기상연구소, 2014) 53

이용현황보기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현업운영가이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82151 551.559 -16-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82152 551.559 -16-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