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4 외부 라이브러리 추가 4.1 가장 기본적인 방법 4.2 그 외 다양한 방법 4.2.1 다른 모듈의 소스 코드 참조하기 4.2.2 디버그 모드와 릴리스 모드에 맞게 참조하기 4.2.3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참조하기 4.2.4 공개 라이브러리 참조하기 - JAR 파일 4.2.5 공개 라이브러리 참조하기 - AAR 파일 4.2.6 로컬에 있는 AAR 파일 참조하기 4.2.7 .so(JNI) 파일 참조하기 4.3 Omni Notes 사례
chapter 5 멀티 프로젝트 활용 5.1 Android 뷰와 Project 뷰 5.2 안드로이드 라이브러리 모듈 만들기 5.3 로컬 저장소 만들기 5.3.1 로컬 저장소는 언제 필요한가 5.3.2 로컬 저장소 만드는 방법
chapter 6 테스트 6.1 로컬 유닛 테스트 6.2 안드로이드 테스트 6.3 Espresso 연동하기 6.4 로컬 유닛 테스트의 제약사항
chapter 7 빌드 변형 7.1 빌드 타입 7.2 앱 서명 첨부하기 7.3 제품 특성 7.3.1 제품 특성 생성하기 7.3.2 제품 특성 확인하기 7.3.3 제품 특성 제대로 활용하기 7.3.4 제품 특성으로 특정 기능 활성화하기
chapter 8 고급 활용 8.1 확장 플러그인 8.1.1 CheckStyle 플러그인 8.1.2 Retrolambda 플러그인 8.1.3 람다 표현식 사용해보기 8.2 리소스 줄이기 8.3 기타 유용한 팁 8.3.1 APK 생성 시 버전명 자동 기입하기 8.3.2 생성된 APK를 특정 폴더로 복사하기
부록 A Git 콘솔에서 Gradle 활용하기 A.1 최신 소스 코드 받아 바로 빌드하기 A.2 클린하고 다시 빌드하기 A.3 빌드하여 타깃에 바로 APK 설치하기 A.4 라이브러리 의존성 확인하기
이용현황보기
(안드로이드를 위한)Gradle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이용한 빌드 자동화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197809
005.268 -16-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197810
005.268 -16-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안드로이드 개발자에 맞춘 Gradle 입문서 이 책은 안드로이드 개발 경험이 있는 개발자 중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Gradle의 기본적인 내용을 빠르게 학습하고자 하는 독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간단한 안드로이드 앱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다면 누구든 이 책을 이해하는 데 문제가 없습니다. 책에 있는 예제는 Hello World와 간단한 버튼이 있는 UI 정도로 매우 간단합니다. 그동안 Gradle에 관한 책은 몇 권 있었지만,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바로 따라 해보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저자가 실무에서 겪은 내용을 알기 쉽게 풀어냈습니다. Gradle의 백미는 멀티 프로젝트의 활용입니다. 현재 이클립스로 진행 중인 개발 프로젝트가 있다면 단지 Gradle로 동일하게 변환하는 데 만족하지 말고 독립적인 기능을 별도 모듈로 구성하여 멀티 프로젝트로 구성해 보기를 추천합니다. Gradle 내부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책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버전 2.0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