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개요 5

제1장 서론 2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8

1. 연구 배경 28

2. 연구 목적 30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31

1. 연구 범위 31

2. 연구 방법 33

3. 연구 과정 33

제3절 연구 한계 및 기대 효과 35

1. 연구 한계 35

2. 연구 기대 효과 35

제2장 지역 관광자원 개발 개념 및 연구방법론 36

제1절 지역 관광자원 개발 관련 개념 37

1. 지역 관광자원 개념 37

2. 지역 관광자원 개발 개념 및 유형 42

제2절 연구방법론 분석 50

1. 국가 차원의 미래관련 연구 50

2. 미래 연구방법론 검토 53

3. 지역 관광자원 개발 연구방법론 59

제3장 지역 관광자원 개발 정책 및 동향 분석 63

제1절 지역개발 및 지역관광 정책 변화 추이 64

1. 지역개발 정책 변화 64

2. 관광자원 개발 정책 변화 74

제2절 문화체육관광부 지역 관광자원 개발 현황 86

1. 지역 관광개발 재정 규모 86

2. 지역발전특별회계 사업 89

3. 관광진흥개발기금 사업 93

4.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역 관광자원 개발 정책 특성 103

제3절 타 부처 지역관광 개발 관련사업 현황 113

1. 국토교통부 113

2. 농림축산식품부 119

3. 해양수산부 124

4. 환경부 131

5. 행정자치부 136

6. 산림청 140

7. 타 부처 지역 관광자원 개발 특성 150

제4절 일본 지역관광 개발정책 동향 156

1. 일본 관광정책의 흐름 156

2. 일본 지자체의 관광개발정책의 성격 162

3. 지역관광개발 사업 향후 방향: DMO를 통한 조직화 172

제4장 지역 관광자원 개발 영향요인 175

제1절 전문가 심층인터뷰(FGI) 176

1. 조사 개요 176

2. 내용 분석 : 회차별 178

3. 종합분석 및 시사점 192

제2절 전문가 설문조사 204

1. 조사개요 204

2. 분석 결과 206

3. 시사점 225

제5장 지역 관광자원 개발 주요이슈 및 향후 과제 227

제1절 정책 시사점 및 지역 관광자원 개발 이슈 분석 228

1. 지역 관광자원 개발 영향요인 228

2. 지역 관광자원 개발 정책 이슈 230

제2절 지역 관광자원 개발 변화 방향 232

1. 관광패러다임의 변화 232

2. 지역 관광자원 개발의 변화 234

제3절 향후 연구과제 236

1. 후속 연구내용: 2단계 236

2. 후속 연구방법: 2단계 237

참고문헌 238

ABSTRACT 241

[부록] 전문가 설문조사서 243

판권기 254

표목차

〈표 2-1〉 지역의 개념 37

〈표 2-2〉 관광자원의 개념적 정의 39

〈표 2-3〉 관광자원의 분류 40

〈표 2-4〉 지역자산 유형 구분 41

〈표 2-5〉 관광개발의 개념적 정의 42

〈표 2-6〉 일반 관광개발과 지역 관광개발의 비교 44

〈표 2-7〉 관광자원 개발 방식 비교 46

〈표 2-8〉 주체별 관광자원 개발 방식 비교 47

〈표 2-9〉 관광개발 부문별 이해관계자 47

〈표 2-10〉 지역관광개발사업 법ㆍ제도적 정의 48

〈표 2-11〉 지역관광개발사업 현황(문화체육관광부) 49

〈표 2-12〉 지역관광 개발 관련 미래방향 연구 50

〈표 2-13〉 각 분야의 미래 전망관련 연구 51

〈표 2-14〉 미래연구의 대표적 정의 53

〈표 2-15〉 국내 미래연구 동향 54

〈표 2-16〉 주요 미래연구 방법론의 장ㆍ단점 57

〈표 3-1〉 우리나라 지역개발 변천과정 (1) 67

〈표 3-2〉 우리나라 지역개발 변천과정 (2) 68

〈표 3-3〉 국토종합계획의 변화 70

〈표 3-4〉 국토종합계획에서 관광개발 부문 특성 72

〈표 3-5〉 우리나라 관광개발 변천과정 (1) 77

〈표 3-6〉 우리나라 관광개발 변천과정 (2) 78

〈표 3-7〉 1차~3차 관광개발기본계획 특성 79

〈표 3-8〉 3차 관광개발기본계획 전략 및 추진과제 81

〈표 3-9〉 제5차 권역별 관광개발계획 수립 지침상 항목별 계획 내용 83

〈표 3-10〉 제1차~4차 관광진흥5개년 계획 내용 84

〈표 3-11〉 2016 관광부문 예산ㆍ기금 재정 현황 86

〈표 3-12〉 지역발전특별회계 예산 87

〈표 3-13〉 지역관광관련 사업 현황 - 지역발전특별회계 88

〈표 3-14〉 생활기반계정 지역관광개발사업 현황 - 관광자원 개발 89

〈표 3-15〉 광역관광권 개발사업(동ㆍ서ㆍ남ㆍ지) 90

〈표 3-16〉 경제발전계정 지역관광개발사업 현황 91

〈표 3-17〉 새만금 국제관광단지 개발 92

〈표 3-18〉 지역관광관련 사업 현황 - 관광진흥개발기금 93

〈표 3-19〉 남해안 관광활성화 95

〈표 3-20〉 지역관광관련 사업 : 관광기반확충사업 내용 96

〈표 3-21〉 지역방문의 해 지원 사업 99

〈표 3-22〉 지역관광관련 사업 - 관광산업육성 사업 내용 100

〈표 3-23〉 공연예술활용 관광자원화 사업 101

〈표 3-24〉 국악관광자원화 사업 예산 102

〈표 3-25〉 지역관광관련 사업 - 외래관광객 유치 사업 내용 102

〈표 3-26〉 지역관광관련 사업 예산(2012년~2016년) 104

〈표 3-27〉 지역관광개발 정책 대상 단위 106

〈표 3-28〉 지역관광관련 사업 현황 (국토부) 113

〈표 3-29〉 지역관광 직접 연관사업(上) 세부내역 (국토부) 117

〈표 3-30〉 지역관광관련 사업 현황 (농림부) 120

〈표 3-31〉 지역관광 직접 연관사업(上) 세부내역 (농림부) 122

〈표 3-32〉 지역관광관련 사업 현황 (해수부) 124

〈표 3-33〉 지역관광 직접 연관사업(上) 세부내역 (해수부) 128

〈표 3-34〉 지역관광관련 사업 현황 (환경부) 131

〈표 3-35〉 지역관광 직접 연관사업(上) 세부내역 (환경부) 134

〈표 3-36〉 지역관광관련 사업 현황 (행자부) 137

〈표 3-37〉 지역관광 직접 연관사업(上) 세부내역 (행자부) 139

〈표 3-38〉 지역관광관련 사업 현황 (산림청) 141

〈표 3-39〉 지역관광 직접 연관사업(上) 세부내역 (산림청) 146

〈표 3-40〉 부처별 지역관광자원 개발관련 사업 종합 150

〈표 3-41〉 부처별 지역관광관련 사업 예산(2015~2016년) 151

〈표 3-42〉 일본 도도부현의 관광진흥조례 제정현황 159

〈표 3-43〉 관광청의 관광지역만들기 지원사업 목록 161

〈표 3-44〉 일본 도도부현(都道府県)의 관광진흥계획 책정현황 163

〈표 4-1〉 1~4차 자문회의(FGI) 주요 질문사항 177

〈표 4-2〉 1~4차 자문회의(FGI) 주요 결과: 지역 관광자원 개발 문제점 192

〈표 4-3〉 1~4차 자문회의(FGI) 주요 결과: 지역 관광자원 개발 정책 개선방향 197

〈표 4-4〉 전문가 조사 내용 205

〈표 4-5〉 문화체육관광부 지역관광 사업의 중요도와 기여도 206

〈표 4-6〉 문화체육관광부 지역관광 사업의 직무별 중요도와 기여도 차이 208

〈표 4-7〉 관광 활성화 기여 정도 210

〈표 4-8〉 타 부처 지역관광 사업의 중요도와 기여도 211

〈표 4-9〉 타 부처 지역관광 사업의 직무별 중요도와 기여도 비교 213

〈표 4-10〉 긍정적 영향요인 215

〈표 4-11〉 부정적 영향요인 215

〈표 4-12〉 각 단계별 긍정ㆍ부정 요인 비교(평균점수) 216

〈표 4-13〉 정책방향 우선순위 216

〈표 4-14〉 사회변화에 부응한 지역관광 중요성과 시급성 217

〈표 4-15〉 지역관광 정책 전환 중요성과 시급성 217

〈표 4-16〉 예산ㆍ재원 확충 중요성과 시급성 218

〈표 4-17〉 지역관광인프라 확충 중요성과 시급성 219

〈표 4-18〉 법ㆍ제도 정비 중요성과 시급성 219

〈표 4-19〉 지역기반의 관광추진 중요성과 시급성 220

〈표 4-20〉 조직ㆍ행정의 개선 중요성과 시급성 221

〈표 4-21〉 문제점 및 애로사항 주요 키워드 222

〈표 4-22〉 지역관광자원 개발사업 방안 주요 키워드 222

〈표 4-23〉 정책과제 제안 주요 키워드 223

〈표 4-24〉 종합분석 224

〈표 5-1〉 지역관광자원 개발 영향 요인 229

〈표 5-2〉 정책방향 우선순위 230

〈표 5-3〉 사회변화에 부응한 지역관광 중요성과 시급성 231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목적 (1차 연구ㆍ2차 연구) 30

[그림 1-2] 연구의 범위 (1차 연구ㆍ2차 연구) 32

[그림 1-3] 연구의 과정 34

[그림 2-1] 지역자산의 구성 및 구성 요소 41

[그림 2-2] 관광개발 정책 영역의 확장 45

[그림 2-3] 미래연구 방법론별 사용빈도(순위) 55

[그림 2-4] 지역별 Top 10 미래연구 방법론(순위) 56

[그림 2-5] 미래 지역 관광자원 개발 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모형 60

[그림 3-1] 지역개발정책 변화 64

[그림 3-2] 국토종합계획의 변천과 1인당 명목 GNI 변화 71

[그림 3-3] 지역관광개발정책 변화 74

[그림 3-4] 관광 및 지역개발에서의 권역별 관광개발계획 위상 82

[그림 3-5] 지역관광자원 개발 정책 개발 대상 107

[그림 3-6] 지역관광자원 개발 수단 변화 107

[그림 3-7] 지역관광자원 개발 지원규모와 사업내용 분석 111

[그림 3-8] 부처별 (지역)관광 예산 현황 154

[그림 3-9] 부처별 지역관광자원 개발 지원규모 및 사업내용 특성 155

[그림 3-10] 일본 DMO 구조 174

[그림 4-1] FGI를 통한 지역관광개발 정책방향 시사점 203

[그림 4-2] 문화체육관광부 지역관광 사업의 중요도와 기여도 207

[그림 4-3] 직무별 중요도 비교 209

[그림 4-4] 직무별 기여도 비교 209

[그림 4-5] 타 부처 지역관광 사업의 중요도와 기여도 212

[그림 4-6] 직무별 중요도 비교 214

[그림 4-7] 직무별 기여도 비교 214

[그림 4-8] 사회변화에 부응한 지역관광 중요성과 시급성 217

[그림 4-9] 지역관광 정책 전환 중요성과 시급성 217

[그림 4-10] 예산ㆍ재원 확충 중요성과 시급성 218

[그림 4-11] 지역관광인프라 확충 중요성과 시급성 218

[그림 4-12] 법ㆍ제도 정비 중요성과 시급성 219

[그림 4-13] 지역기반의 관광추진 중요성과 시급성 219

[그림 4-14] 조직ㆍ행정의 개선 중요성과 시급성 221

[그림 5-1] 지역관광자원 개발 영향 요인(수요ㆍ공급 요인) 228

[그림 5-2] 관광패러다임 변화 232

[그림 5-3] 관광정책 패러다임 전환 233

[그림 5-4] 분야별 관광개발 패러다임의 전환방향 235

이용현황보기

지역 관광자원 개발방향 연구. 1, 현황 분석편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16389 338.4791 -16-168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16390 338.4791 -16-168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